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천연유지류 처리재의 발수성능 평가

        이동흡(Dong-Hub Lee),오형민(Hyung-Min Oh),강창호(Chang-Ho Kang),손동원(Dong-Won Son),김종인(Jong-In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천연물계의 유지를 목재에 처리하여 발수성능을 평가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지는 아마인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콩기름, 들기름, 해바라기씨기름이다. 발수성 평가는 흡습성, 흡수성 시험과 접촉각 시험으로 하였다. 발수 처리한 목재를 빛과 수분에 의해 촉진열화 시킨 후에 열화정도를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촉진열화된 처리목재의 발수성능을 흡수성 시험과 접촉각 시험을 통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br/> 흡습성 시험결과, 흡습 초기에는 무처리에 비하여 흡습량이 적으나 흡습처리 시간이 증가할수록 무처리의 흡습량에 가까워져 48시간 흡습처리 후에는 흡습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접촉각 시험의 결과, 처리재와 무처리재간의 결과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지의 농도와 종류에 따른 접촉각변화는 흡습성 시험과 같이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천연유지의 발수성능으로는 기상열화에 대한 안정성이 낮았다. 천연오일 단독처리만으로는 광열화에 대한 안정성을 기대하기 어려웠다.<b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ater repellent effectiveness of natural oil treated wood. Linseed oil, castor oil, olive oil, bean oil, perilla oil and sunflower oil were used in this test.<br/> For evaluation of water repellent of natural oil treated wood, moisture absorption test, water-drop contact angle test and color difference test of accelerated decomposition by UV and water were used. <br/> The moisture absorption amount of natural oil treated wood was less than untreated wood until 3 hours, but it was increased with time, there was no big difference with oil treated wood and untreated wood after 48hours.<br/> Oil treated wood and untreated wood showed big difference on contact angle test. It was no big difference by kind and oil concentration. Natural oil treated wood did not showed stability on the weather aging test. Contact angle test could be used on evaluation of wood surface status treated with natural oil. <b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가 집성재 제조용 레조르시놀 수지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

        이동흡 ( Dong Heub Lee ),이종신 ( Jong Sh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4 목재공학 Vol.42 No.1

        흰개미 방제 및 방곰팡이 효력이 입증된 저독성 네오티코치드계 목재보존제가 집성재 제조용 레조르시놀계 접착제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Q, CUAZ, 네오니코치드계 약제를 도포 처리한 다음 건조시킨 소나무 판재를 사용하였으며, 집성 접착 후에 블록 전단시험편을 채취하여 상태 및 촉진 열화 시험 후의 전단접착력과 목파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ACQ 및 CUAZ 처리 집성재는 무처리 및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 처리 집성재에 비하여 낮은 전단접착력을 보여 접착력 저하가 인정되었다. 이것은 이들 방부제 중에 함유되어 있는 구리화합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 처리 집성재는 상태 및 촉진열화 시험 후에도 가장 우수한 전단접착력을 나타내 레조르시놀계 접착제의 접착성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effect of neonicochid type wood preservatives on adhesive properties of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for laminated wood manufacture was examined. By the previous studies, it was verified that the neonicochid type preservative has a high termite-proofing and anti-mold effectiveness. Commercial ACQ (ammoniacal copper quaternary compounds) and CUAZ (copper azol compounds) were used as comparison preservatives of effects on adhesive properties. The wood specimens used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rora) after application with preservatives and then bonded with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Adhesive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shearing strength of adhesive bond and wood failure to dry condition or after accelerated aging test. Of all laminated woods, the wood specimens spread with ACQ or CUAZ showed the lowest shearing strength of adhesive bond. We estimated that the decrease of shearing strength was caused by copper in the ACQ or CUAZ preservatives. On the application of the neonicochid type preservatives, the wood specimens showed the highest shearing strength even after accelerated aging tes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opper-free neonicochid type preservative not affected the curing of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 KCI등재

        네오니코치드계 목재보존제의 방곰팡이 효력

        이동흡 ( Dong Heub Lee ),이종신 ( Jong Shi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4 목재공학 Vol.42 No.1

        국내산 저독성 목재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저독성 살충제인 디노테프란과 살균제인 IPBC 및 프로피코나졸, 그리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며 살균력을 가지고 있는 정향오일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29종의 약제를 제조하였다. PDA 배지와 목재 시험편을 사용하여 이들 약제의 방곰팡이 효력을 조사하였다. 용제와 유화제는 방곰팡이 효력을 보이지 않아 조제 약제의 방곰팡이 효력은 4종의 유효성분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PDA 배지 시험에서 비교적 높은 균사 생장 억제력을 보인 것은 IPBC의 함유 비율이 높은 약제였으며, 프로피코나졸은 IPBC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냈다. 많은 약제들이 PDA 배지 시험에서는 비교적 높은 균사 생장 저해성을 보였으나 목재 시험편 시험에서는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PDA 배지와 목재 시험편 시험에서 모두 완벽한 방곰팡이 효력을 나타낸 것은 3종에 불과하였으며 디노테프란과 IPBC로 구성된 약제와 여기에 정향 오일을 첨가한 약제뿐이었다. To development of the low toxic preservatives, we prepared 29 kinds of chemicals using dinotefuran of low toxic insecticide, IPBC and propiconazol of fungicide, and clove oil has fungicidal activity, but is harmless to humans. I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iveness of mycelial growth and anti-mold effectiveness to treated PDA medium and wood specimen with prepared chemicals. It was not showed anti-mold effectiveness that solvent and emulsifier form preservatives. Therefor, we thought that only four component, dinotefuran, IPBC, propiconazol and clove oil, has anti-mold effectiveness. In the PDA medium test, the preservative which has much IPBC showed high anti- mold effectiveness. By the wood specimen test, it was known that many prepared preservatives which showed good inhibitory effectiveness of mycelial growth in the PDA medium test, have not anti-mold effectiveness. Of all prepared preservatives in this study, only three preservatives containing dinotefuran and IPBC, or adding clove oil appeared the excellent anti-mold effectiveness.

      • KCI우수등재
      • 폐 CCA처리재의 소각처리

        손동원(Dong-won Son),이동흡(Dong-heub Lee),이현미(Hyun-mi Lee),이명재(Myung-je Lee)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4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3 No.2

        사용이 끝난 폐 CCA 처리재의 폐기를 위한 안전한 소각 방법을 찾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CCA 처리재를 온도를 달리하여 소각한 후 중금속의 잔존량을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비소가 비산되는 온도조건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소각처리가 끝난 소각재 내에 잔존하는 CCA 유효성분인 중금속을 다양한 용제로 회수한 후 회수율을 비교하였다. 연소 후, 잔존하는 중금속 분석에서 비소는 300℃에서는 비산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CCA 처리재를 저온으로 연소하면 비소의 비산은 방지 할 수 있으나, 300℃에서 중량감소율이 55%에 머물러 소각 후 잔류물을 매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온으로 소각 시 비산되는 비소를 포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마련이 필요하며, 고온으로 소각하여도 소각재중에는 크롬과 구리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이들을 회수 하는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실험결과 소각재중에 남아있는 중금속 회수에는 10% 질산으로 처리한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safety disposal methods of waste CCA treated wood. The heavy metals of remnant were analyzed after combustion of CCA treated wood at different temperatures. Arsenic volatilized temperature was detected. The removal rate of heavy metals by acid in the ash were examined.<br/> Through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in order to protect volatilize arsenic, combustion of CCA treated wood should be do under the 300℃. But when CCA treated wood combustion under 300℃, it's weight-loss rate was 55%, so land reclamation dependence will be increased. When CCA treated wood combustion at high temperature, the land reclamation dependence could be reduced, but the arsenic that volatilize into the atmosphere should be captured. When it burns with high temperature, the ash contains lots of copper and chromium, so removal of heavy metal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이현미 ( Hyun Mi Lee ),이동흡 ( Dong Heub Lee ),황원중 ( Won Joung Hwang ) 한국목재공학회 2013 목재공학 Vol.41 No.6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wood preservative process using copper, the penetration ACQ-2 preservative agent into Douglas fir wood and its degradati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ouglas fir is Known to be difficult for preservative agent injection. To find the hindrance factor o the preservatives movement, the rat height, ray density, and length of tracheid were measured and observed by a stereoscopic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compared in the well-penetrated parts of preservatives and insufficient par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length, and density between both parts, except for the pits of the wood elements observed in SEM micrograph. More declosed prts were found in the well-penetrated parts of preservatives. Decay characteristics of wood specimen treated with various ACQ concentrations by brown-rot fungi was observed by an optical microscope. The decayed properties of tracheid, rays, and resin canals was found in the non-treated wood specimens and it was also found that some extent of preservatives concentration is necessary to protect the deca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