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핵의학과 전용화장실에서 측정된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 대한 연구

        문재승,정희일,정해성,신민용,김수근,박대성,김현기,김화산,이형남,안병필,이동호,Moon, Jae-Seung,Jeong, Hyi-Il,Jeong, Hae-Seong,Sin, Min-Yong,Kim, Su-Geun,Park, Dae-Seong,Kim, Hyun-Ki,Kim, Hwa-San,Lee, Hyung-Nam,Ahn, Byeong-Pil,Lee, Dong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1

        목적 : $^{18}F$-FDG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환자가 사용하는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을 측정하여 같은 구역 내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종사자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18}F$-FDG 370 MBq (10 mCi) 방사성핵종이 투여된 후 전용화장실을 1회 사용한 대상 환자는 본원이 60case(그룹1), 부천성모병원은 일평균 환자 수에 따라 50case(그룹2)와 10case(그룹3)으로 분류하였다. 방사선 측정기를 이용한 측정시간은 08:00, 10:00, 13:00, 15:00, 17:00이었으며 측정부위는 좌변기 4부위, 세면대, 휴지통이었다. 병원별 전용화장실의 3개월간 피폭누적량을 측정하였으며 PET/CT를 운영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용화장실 유무 및 종사자들의 이용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일평균 환자 수는 $12.18{\pm}1.33$명, $6.62{\pm}2.21$명, $10.5{\pm}1.58$명이었다. 그룹1, 그룹2, 그룹3에 대한 좌변기의 평균 표면오염도($Bq/cm^2$)는 $8.38{\pm}4.56$, $2.64{\pm}3.90$, $4.59{\pm}4.38$로 그룹1에서의 표면오염도가 그룹2, 그룹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1 m 높이에서의 표면오염도 및 공간선량율에서는 그룹3, 그룹2, 그룹1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룹1에서의 세면대 및 휴지통의 표면오염도($Bq/cm^2$)는 $0.12{\pm}0.12$, $25.26{\pm}22.55$이었다. 표면오염도 수준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여 보았을 때 측정시간별 표면오염도 차이는 그룹1이 그룹2, 그룹3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폭누적량은 본원이 0.78 mSv/3개월, 부천성가병원이 0.37 mSv/3개월이었다. 전용화장실의 공동사용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조사대상 31개 병원 중에 16.12%인 5개병원에서 환자와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일평균 환자수가 많을수록 전용화장실의 표면오염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휴지통의 표면오염도는 원자력법에서 고시하고 있는 기준값인 $4Bq/cm^2$를 훨씬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장실 전체공간에 대한 피폭누적량은 작게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를 참조해 볼 때 환자들과 같이 사용하는 기관들이 있었음으로 전용화장실 이용에 대한 특별한 주의와 적절한 제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atients injected with FDG use the bathroom that Measured surface contamination level and spatial dose rate. This study about the effect that result affects workers in same part. Materials and Methods: Group1 is St. Vincent' s hospital's 60case. Group 2 is Bucheon St. Mary's hospital's 50case. Last case is lower the average daily number of patients than group 2. Measured time is 8:00, 10:00, 13:00, 15:00 and 17:00. Measured part is 4 point of toilet, basin and wastepaper basket, also measured accumulation dose of toilet during 3 month. Hospitals is installed PET/CT ware surveyed on presence of bathroom that used only by patient and worker has been using the bathroom. Results: The highest average surface contamination level of toilet is group1($8.38{\pm}4.56$), but the highest spatial dose rate is group3. Cumulative exposure dose measured by TLD during 3months is St.Vincent's hospital 0.78 mSv and Bucheon St.Mary's hospital 0.37 mSv. And result of survey is 16.12% worker using the bathroom. Conclusions: The more daily number of patient, the higher surface contamination level of bathroom. Especially, wastepaper basket's surface contamination level is exceed the reference value $4Bq/cm^2$. Based on This survey, Bathroom require special attention and proper decontamination.

      • KCI등재
      • 農村地域計劃樹立을 위한 地域分類 : 全北 農村地域을 中心으로 The Case of Jeonbug Province

        丁安聲,李東鎬 全北大學校 1989 論文集 Vol.31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roup areas(155Myeons) in Jeonbug Province an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by regional types. We attempt to drive the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by type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hich integrates multiple variables concerning regional characterstics is adopted and Tabular Analysis by the main indicators is imployed. PCA model will provide the two integrated indicators for grouping rural areas ; the measure of urbanization and the measure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Thus, we can divide the object regions for analysis into four major types and nine minor groups by corssing the two indicators. Type A(group AⅠ, AⅡ)is the region which has good agricultural environment typically,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on the conservation of existing farmland. Type D (group DⅠ, DⅡ) is the region that has unfavorable conditions for urbanization as well as agricultural development, therefore it requires innovational development in agriculture. Type U (group UⅠ, UⅡ) is the region which makes a good score in the measure of urbanization, so that the land use for urbanization should be required. Type T (group TⅠ, TⅡ, TⅢ) region makes good scores both in urbanization and in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so it is faced with a competition for land use between the two. Considering this point, we should try to adjust the land use rationally in such a regional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