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속도로 길어깨차로제어시스템(LCS) 운영 전 · 후 차로별 교통류 특성에 관한 연구

        이동윤,정가형,우승국,정문석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최근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에서 길어깨차로제어시스템(Lane Control System, 이하 LCS) 시행 시 길어깨차로와 일반차로간 통행 특성이 변칙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대표적 사례로 경부고속도로 부산방면의 안성JC부터 천안JC까지 LCS 시행 시 본선 차로보다 길어깨차로에서 통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높은 특징이 지속적으로 발견되었다(과속차량 다수 목격). 이에 본 연구에서는 LCS 시행 전과 시행 후의 차로별 차량 통행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안전한 길어깨차로제어시스템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도로공사의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는 VDS 교통량(15분 집계), 통행속도(15분 집계) 자료를 경부고속도로의 안성JC부터 천안JC까지 구간(부산방향)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자료 수집시 교통흐름이 가장 안정적인 10월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통행량이 집중되는 주말, 월요일, 금요일을 제외하였다. 교통류 특성 분석을 위해 수집한 VDS자료의 결측값을 제거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속도의 분포와 교통량에 따른 속도의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통계 패키지 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간-속도 분포 분석결과, 본선 차로보다 길어깨차로에서 통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높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길어깨차로의 통행속도와 인접한 차로의 통행속도 분포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시간대에서 약 10~20km/h 정도 통행속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차로별 속도편차와 차량간 속도 분산이 크기 때문에 사고 위험성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교통량-속도 분포 분석결과, 시간-속도 분포 분석결과와 같이 본선 차로보다 길어깨차로에서 통행하는 차량의 속도가 높은 특징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길어깨차로와 인근 차로간 속도편차 및 차량간 속도 분산을 줄일 수 있는 LCS 전용 과속단속카메라 설치 정책을 제안하였다. 이외에도 길어깨차로 기하구조 개선, 그루빙 설치, 요철포장 등 다양한 기법 적용을 통해 길어깨차로 통행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향후에서 고속도로의 길어깨차로를 주행한 경험이 있는 고속도로 이용자를 대상으로 위험요소, 이용정도, 이용이유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한 길어깨차로 운영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선거제도의 변화와 민주화 이후 선거개혁 :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의 사례 Cases of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Indonesia

        이동윤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2003 국제지역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동남아시아 국가들 중 민주화를 이룩한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의 선거제도 변화과정과 민주화 이후 이들 국가들이 추진하여 온 선거개혁의 내용들을 살펴봄으로써 선거제도와 민주주의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에 입각한 선거제도의 ‘경쟁성(competitiveness)'과 ’공정성(fairness)' 개념을 통하여 각 국가들의 선거제도 변화 과정을 검토하였으며, 민주화 이후 이들 국가들에서 진행되어 온 선거개혁의 내용들을 포괄적으로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세 국가들의 선거제도는 민주화 이전까지 경쟁성과 공정성의 차원에서 모두 미약한 수준을 표출하였으나, 민주화 이후 경쟁성을 회복하고 공정성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선거개혁이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민주화 이후 이들 국가들의 선거개혁은 공통적으로 선거제도의 경쟁성과 공정성을 복원하고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으나, 보다 세부적인 내용에서는 그들 국가들의 정치사적 경험에 입각하여 선거과정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처방을 달리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hanges of electoral system and the electoral reforms after democratization in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Indonesia, and to comp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lectoral reforms after democratization in each country. In particular,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competitiveness' and 'fairness' of electoral system. Based on these concepts, it also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and the contexts if electoral reforms. This paper proposes that each country has experienced various changes of electoral system, and they similarly tried to elevate its competitiveness and the fairness by electoral reform after democratization. But the method of electoral reform is somewhat different in each country. The Philippines emphasized the competitiveness of electoral system by adopting the party list system and the guest candidate system. Thailand and Indonesia also improved the basic competitiveness of electoral system, and for the stability of party politics, limited the participation of non-partisan candidate in electoral process. Thailand made the distribution threshold of parliamentary seat in the party list system. Indonesia limited small parties, which received only small number of votes, to participate in next elections.

      • 公用收用과 行政상 損失補償

        이동윤 大邱大學校出版部 1990 法政論叢 Vol.5 No.-

        It is unavoidable that the imtervention of state in private life is gradually expanded by various reason in the contemporary state. And above all expropriation against private property is expanded. But despite of the public and social character of property, it is violation of the spirit of the guarantee of property that the loss of an individual caused by expropriation is left. That is to say. to guarantee the equal burden and realize the public welfare and regulate the public and private interest relevantly, it is adaquate to disperse and transfer the special sacrifice to the burden of the whole society by admitting the compensation against the special sacrifice in case that it is violation of justice or principle of equity to leave the accidental and special sacrifice of an individual encountered by public necessity. We can say that this is the very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The property is not guaranteed without just compensation. 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guarantee of the right of the freedom and the social right in the society which the property is not guaranteed. Because it will be gradually expanded to expropriate the property by public necessity, it is reguested to balance the public and private interest prudently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a social constitution state. To realize i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optimal countermeasure by the precedent and theory.

      • 러시아의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

        이동윤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0 유라시아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1993년과 1995년, 1999년에 실시된 러시아의 국가두마 선거결과를 중심으로 러시아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과정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정당정치의 특성이 민주주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기본 전제하에 정당체계 수준에서의 '유효정당수'와 '무소속 의석비율,' 정당과 정당체계 복합 수준에서의 '선거진동성,' 그리고 개별 정당 수준에서의 '정당원 수'와 '정당규모',''정강정책' 등을 분석함으로써 러시아 정당정치와 민주주의 공고화과정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러시아의 정당정치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당일체감 부족과 무소속 의석비율의 문제, 그리고 정치지도자를 중심으로 한 정당의 잦은 이합집산과 난립현상 등은 정당 및 정당체계의 제도화와 안정성을 저해하는 비민주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이미 민주화 이후 5∼6개 주요 정당들을 중심으로 한 다당제적 정당체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개별 정당들 또한 이념적 · 정책적 대결을 통한 대중정당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노력들을 꾸준히 전개함으로써 정당정치의 발전을 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범밀도함수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IIIB족 원소가 도핑된 ZnO의 전자상태

        이동윤,이원재,민복기,김인성,송재성,김양수,Lee, Dong-Yoon,Lee, Won-Jae,Min, Bok-Ki,Kim, In-Sung,Song, Jae-Sung,Kim, Yang-Soo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5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8 No.7

        The electronic states of ZnO doped with Al, Ga and In, which belong to III family elements in periodic table, were calculated using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 was performed by two Programs; the discrete variational Xa (DV-Xa) method, which is a sort of molecular orbital full potential method; Vienna Ab-initio Simulation Package (VASP), which is a sort of pseudo potential method. The fundamental mixed orbital structure in each energy level near the Fermi level was investigated with simple model using DV-Xa. The optimized crystal structures calculated by VASP were compared to the measured structures. The density of state and the energy levels of dopant elements were shown and discussed in association with properties.

      • Landsat TM 위성영상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평가

        이동윤,엄정섭,Lee, Dong-Youn,Um, Jung-Sup 한국공간정보학회 2010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8 No.2

        현재 녹지 연결성 조사는 대부분 현지조사에 의존하고 있어, 특정시기의 특정지점에서 조사된 결과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조사지점의 대표성에 한계가 있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조사 대상물 위치의 부정확, 경제적 비효용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Landsat TM (Thematic Mapper) 영상의 픽셀에 의거한 녹지 연계망을 평가하고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원격탐사 기법이 녹지 연계망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지를 평가하고자 특정 사례 연구지역에 대해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지점에만 국한된 현지조사 방식과 달리 픽셀 기반의 평가는 광역적인 녹지 연계망의 분포실태를 단시간에 제시하였다. 녹지 연계망 훼손 추세 평가는 다양한 시기의 녹지 변화 실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결과가 녹지 연계망 보전과정에서 설득력을 지닌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가 녹지 연계망 감시에서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정책결정이 아닌 직관에 의존하여 왔던 관행을 개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녹지 연계망 보전관련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t present, monitoring programmes for green network have been mainly based on field sampling, which relies on attributes of an area at one point in time, reflecting an emphasis on the small number of in-situ data. One of the major disadvantages of traditional field monitoring is that it is costly,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due to the large number of samples required.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green network based on pixel of Landsat TM satellite image.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a standard remote sensing technology can be used to assist in monitoring the green network based on pixel. The pixel-based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identify area-wide patterns of green network subject to many different type of artificial structures, which cannot be acquired by traditional field sampling.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egradation trends of green network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n indicator to restrict further development of the sites since the quantitative data generated from remote sensing can present area-wide visual evidences by permanent recor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support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in monitoring green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