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를 배려한 공간 측면에서의 디자인 특성 연구

        이은영 ( Eun Young Lee ),이돈일(교신저자)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수명연장과 급격한 출산율 저하로 인해 고령화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과 같은 추세로는 오는 2021년에는 총인구의 14%를 접어들어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현대 사회에서는 고령층과 함께 하는 사회로의 변화가 여러 방면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올바른 공간 환경조성을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방법은 먼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와 고령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사용자를 배려하는 유니버설디자인과 인클루시브 디자인에 대한 연구 흐름을 짚어보고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후, 유니버설/인클루시브 디자인 원칙과 지침들의 의미와 특징을 비교하여 공간 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특성과 세부항목을 도출하고, 세부항목들을 고령자의 기준에서 사회적ㆍ신체적 상황을 고려하여 세부항목의 중요도, 적정성을 파악하기 위해 1차로 전문가 집단, 2차로 고령자 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종합 분석을 해본 결과, 인클루시브 디자인 특성 중 안전성, 실용성, 편리성, 대응성, 적응성, 친화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열되었다. 각 특성별 5개의 항목 중 가장 높은 중요 항목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이용 중 실수를 하더라도 안전한 공간,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물리적ㆍ인적요소가 준비된 실용적 공간, 지속적인 신체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편리한 공간, 모든 사람이 접근하기 쉬운 공간, 휠체어, 보행보조기 등 적응하기 용이한 공간, 위화감ㆍ거부감이 드는 요소가 없는 친화적인 공간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정의내린 특성과 도출된 세부항목들을 발전시켜 실내 공간, 보행 공간, 공공시설, 공간 내 구성요소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연구해볼 필요성이 있었다. The higher life expectancy caused by the advance in medical technology and the rapid decrease in birth rate have speeded up the ageing of society. All things being equal,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expected to account for 14% of the overall Korean population in 2021. It is required in many aspects to change into a society more concerned for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proper space, giving full consideration to the phys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s for research method, a review of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d,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into universal design and inclusive design that were concerned about diverse users, and establish theoretical concepts. Then a comparison was made on the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universal/inclusive design to draw detailed items to evaluate the spatial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and physical conditions of the aged, surveys were conducted on first, the group of experts and second, the group of the aged in order to comprehend the significance and propriety of the detailed items. Among the 5 items for each characteristics,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the safe space even when the user makes a mistake while using it; the practical space that is equipped with physical and human factors that can provide help; the convenient space that can help the user minimize constant bodily efforts; the space that provides easy access for all people; the space that provides easy access for wheelchairs and walking frames; the friendly space that has no elements that cause feeling out of place and repulsion.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develop further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ed items drawn from the present study so that they may help to offer specific guidelines that can evaluate indoor space, walking space, public facilities, and components in a space.

      • KCI등재

        인클루시브 디자인 특성을 적용한 노인 보행환경 평가 연구 -대구광역시 노인복지관 접근로를 중심으로-

        이은영 ( Eun Young Lee ),이돈일(교신저자) ( Don I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노인 보행을 위하여 노인복지관 접근로를 중심으로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특성을 적용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항목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지는 2015년 9월을 기준으로 운영중인 대구광역시 내 노인복지관 14개소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인클루시브 디자인의 고찰과 분류되는 특성에 맞는 접근로로써의 평가항목을 수립하였으며, 이 평가항목으로 현장조사를 통하여 분석결과와 문제점을4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응성에 해당하는 평가항목에 대하여는 76.8%로서, 4가지 특성의 항목 중 가장 높은 평점을 차지하여 노인복지관을 진입하여 출입구까지 연결되는 보행로는 대체적으로 조성이 잘 되어 있었다. 둘째, 노인 보행에 가장 고려해야 할 편리성과 안전성에 해당되는 항목들은 평균 40.6%로 절반에 미치지 못하며 주로 보도와 차도가 연석 등의 공작물로 구분되지 않은 곳이 14개소 중 5곳으로 사고의 위험이 우려되고, 2013년 이후 개설된 2개소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보행 장애물과 보도 블럭의 훼손도가 있었다. 또한 통합성 항목의 경사로 손잡이가 미설치되어 있는 곳이 많아 미끄러짐의 위험이 있었다.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 대다수가 여가를 즐길수 있을 정도로 보행에 지장이 없을지라도, 이용자는 노인이라는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그러므로 보행에 있어서 법적 기준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물리적 문제점를 해결하고 노인을 포함한 모든 보행자가 방해받지 않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보행 환경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come up with an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ccess roads near senior welfare centers with an application of inclusive design features; it also aims to provide improvement details via itemized analysis.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 of 14 senior welfare cent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evaluation items under 4 different categories are based on the inclus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access road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items under correspondence marked 76.8%. It scored the highest among the 4 categories proving that the pedestrian passage from the center gate leading to the entrance door was well established. Second, the items under convenience and safety,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eatures for the senior walking environment, scored 40.6% and were below the average. 5 out of 14 centers were in danger of accidents as the traffic lanes and the sidewalks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by secondary structures. In addition, quite a few places were missing handles for ramps, an item under integration, and increased the danger of slipping. Though the majority of the aged who use the welfare center have no problem walking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one must not overlook the fact that they’re still of old 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olve basic physical problems including legal criteria for walking, and to establish saf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for pedestrians of all ages.

      • KCI등재

        IOT 홈서비스 국내 이동통신 체험매장의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정준웅(석사과정) ( Jun Ung Jeong ),이돈일(조교수) ( Don Il Lee ),김주연(교신저자) ( Joo Yun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IT기술의 발달로 고도화된 통신기술과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로 인하여 IOT홈서비스에 대한 needs가 다양하게 요구 되고 있다. IOT는 사람 사물 공간이 인터넷으로 연결된 기술로 특히, 이동통신기술에 많은 부분이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IOT는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분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스마트 홈을 지향하는 IOT홈서비스이다. 현재 IOT홈서비스는 IT업체와 가전업체, 통신사 중심의 플랫폼 속에서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이동통신매장에서 판매, 홍보되고 있다. 따라서 IOT의 특성상 IOT홈서비스 기기는 기존 스마트 기기와는 소비연령층, 구매 사유 등 여러 측면에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하므로 구매 전부터 구매 후까지의 제공 서비스는 일반 이동통신매장의 서비스와는 다르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의 특성요인에 대하여 상품특성요인, 물리적 환경 특성요인, 고객서비스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체험매장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디자인적 요소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인 ‘고객여정 맵’을 통하여 서비스가 시작되는 시작과 끝인 사전 서비스, 현재 서비스, 사후 서비스로 나누어 사전 서비스는 체험 전, 현재 서비스는 체험 중, 사후 서비스는 체험 후로 구분 하였다.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을 방문한 고객이 제공 받게 되는 서비스의 순서에 따라 각각의 터치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서비스디자인특성을 고객이해, 예절, 유형성, 커뮤니케이션, 대응성, 신뢰성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 통신사 SKT, KT, LG유플러스의 IOT홈서비스 체험 존을 직접 방문 경험이 있는 이용자와 이동통신 매장에서 3년 이상 근무경력이 있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IOT홈서비스 체험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특성을 인터뷰 및 평가지를 통해 평가한 결과, 고객이해와 대응성의 특성은 다소 부족하게 나타났고, 커뮤니케이션, 유형성, 신뢰성의 특성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IOT홈서비스 체험매장의 서비스디자인 특성에 가장 적합한 공간은 체험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고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매장으로 성장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ue to the advanced development of IT-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 Network-based smart device, several IOT home service needs have been required. In the IOT (Internet of things) people-object-space ar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and it is fact that a large part of it is concentrated speciall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OT field is becoming indispensable in our lives and the oriented IOT home service Smart home is their representative. Customers existing smart device customer IOT home services are different. So, Providing service to after purchase before purchase, unlike a typical mobile communication shop service is believed that it should be provided. In this study, through theoric study about the IOT Home Services Experience Shop characteristics factors, and service design. The characteristic of the service design and experience store was drawn. Based on this, the representative domestic communication companies SKT, KT, LGU + were evaluated through evaluation form and interview with the target user that had visit IOT home service experience shop. As a result, the customer``s understanding and responsiveness characteristics appeared somewhat insufficient and the communication, tangibles, and reliability characteristics showed relatively higher. Accordingly, in the service design characteristics of IOT Home Services Experience Store, through the most efficient and high customer service satisfaction shop it can be seen that the growth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