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빈곤’을 생각해보다: 주관성연구, Q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도희,김기운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9

        In this study, 'poverty', which we think in our daily life, started from something. In particular, this study typified the perception of poverty by using the ‘Q methodology’, a subjective research method, to examine individual subjective opin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ypeI> is a「Retraction type」, and poverty is a problem of 'Retention', 'Individual Effort Problem', 'Social Structure Problem', 'Low Status' and 'Laziness'. <TypeII> is a「Individual Problem type」, and emphasizes 'Individual Effort Problem', 'Laziness', 'Incompetence', 'Starvation' and so on. <TypeⅢ> is a「Basic Problem type」, and emphasizes the basic element of life such as 'The Food and Shelter problem', 'Starvation', 'Laziness', and 'No Money'. <TypeIV> is a 「Resource Distribution Problem Type」 that emphasizes the problem of resource allocation according to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is study typifies the perception of poverty using subjectivity research method on 21st century and expects converging extension study to empirical studies for generalization. ‘본 연구는 우리가 일상에서 생각하는 ‘빈곤’은 과연 무엇인가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개인적인 주관적 의견을 살펴보기 위하여 주관성연구방법인‘Q방법’을 활용하여 빈곤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유형으로 정의되었다. <TypeⅠ>은 「Retraction type」으로, 빈곤이란 ‘Retraction’, ‘Individual Effort Problem’, ‘Social Structure Problem’, ‘low status’, ‘Laziness’ 등으로 ‘되물림의 문제’임을 강조하였다. <TypeⅡ>는‘Individual Effort Problem’, ‘Laziness’, ‘Incompetence ’, ‘starvation ’ 등을 강조하고 있어, 「Individual Problem type」으로 명명하였다. <TypeⅢ>은 ‘The food and shelter problem’, ‘starvation’, ‘Laziness’, ‘No Money’ 등의 삶의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문제를 강조하고 있어, 「Basic Problem type」으로 명명하였다. <TypeⅣ>는「Resource Distribution Problem type」으로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에 따른 ‘자원분배의 문제’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관성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1세기 빈곤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였으며, 이에 대한 일반화를 위해서 향후 본 연구에서 출발하여 실증연구로의 융합적 확장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도체육관 운영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와 서비스 요인 분석

        이도희,오경아,Lee, Do-Heui,Oh, Kyung-Ah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9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는 유도체육관 운영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와 서비스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원활한 유도체육관 운영을 위하여 수련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에 대해 가이드(guide)가 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된 11부를 제외하고 총 339부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IBM SPSS 2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alph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유도체육관 운영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와 서비스 요인이 수련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운영, 지도자, 커뮤니케이션, 수련생가치, 시설, 입지 요인 순으로 모두 수련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첫째, 운영 요인에서 상해보험 가입 여부, 체육관 자유로운 이용, 운동 프로그램 운영 요인 순으로 수련생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지도자 요인에서는 지도자 신뢰도 요인이 영향을 미쳤고, 셋째 커뮤니케이션 요인에서는 회원 간 의사소통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넷째, 수련생가치 요인에서는 건전한 여가활동과 운동수행능력 향상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다섯째, 시설 요인에서는 부대시설 수준과 주요시설 수준 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입지 요인에서는 체육관의 가시성 여부 요인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도체육관 입지 형태(역세권, 주거지역, 상업지역)에 따른 체육관 특성의 차이에 대해서는 우선 역세권에 위치한 체육관은 수련생가치, 입지, 커뮤니케이션, 시설이 수련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역에 위치한 체육관은 운영, 수련생가치, 커뮤니케이션, 시설이 수련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업지역에 위치한 체육관은 운영, 입지, 커뮤니케이션, 시설이 수련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urpose of study was to Analysis on Location and Service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and Use of Judo Gym.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on Judo coach by studying what effects of location and use factor on trainee satisfaction. The survey was done through 350 copies and excluding 11 copies ran an analysis on the remaining 339(96.8%) copies. After question investigating the data which is collected used IBM SPSS statistics 21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location, coach, trainee value, facility, communication in Judo gym location and use factors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Second, Program operation, Gym quit use, Whether or not to insure in management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Third, Coach credibility in coach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Forth, Member communication in communication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Fifth, Wholesome leisure, Athletic ability improving in trainee value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Sixth, main facility level, additional facility level in facility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Seventh, Visibility in location factor showed (+)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And location type(station area, residential district, commercial area) of Judo gym showed (+) effect on management, trainee value, location, communication, facility.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 사회성인가 기업성인가? -근거이론의 상황모형과 과정분석을 중심으로-

        이도희,김현미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4 No.3

        Accoun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round scientific and case study verification based on financial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social enterprises, which have gained attention recently, have a fundamentally different purpose from traditional businesses, this study utilizes grounded theory research methodologies,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s such, through this study the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will be examined based on overall understanding and theoretical evidence concerning management of social enterprises. The necessary mindset to manage such enterprises will be considered in order to present a future roadmap for social enterprises.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s concerning management of social enterprises were formed around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efficiency. Emphasis was placed on improving both the social and entrepreneurial aspects. In short, social enterprises must pursue both social and the entrepreneurial aspects, such as “realizing social values”, “coexistence”, and “value and job creation”. And special, in this study showed the based on “process analysis” and “contingency model” of grounded theoryQualitative research is more than a method, it is a methodology, an analytical paradigm that examines the real world, social phenomena, objects, and people “as they are”, and reorganizes the various complicated phenomena and languages and reveals their intrinsic properties. Through this study, hopefully a new research paradigm can be discovered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and deeper, and more useful, qualitative research. 회계학 연구는 재무적․계량적 정보를 바탕으로 과학적․실증적 검증을 위주로 수행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은 조직 고유의 목적이 일반기업과는 다른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grounded theory)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하여 사회적기업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사회적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고찰하고, 이를 위해 어떠한 운영마인드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검토함으로써 향후 사회적기업 운영목적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분석에 있어서는 질적연구방법론인 근거이론적 접근에서 상황모형(contingency matrix)과 과정분석(process analysis)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과 목적달성을 위한 실행과정, 그 귀결이 무엇인지를 구체화시키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운영 인식은 기관 운영의 목적, 체계성, 운영효율성에서 출발하고, 그 운영 목적은 사회성과 기업성 모두를 제고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가치실현’, ‘더불어 삶’이라는 사회성과 ‘이윤추구 및 고용창출’이라는 기업성을 모두 실현해야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적 가치실현’을 추구해야 함으로 귀결되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근거이론이라는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양적자료 및 연구 뒤에 숨겨진 더 깊고 유용한 질적정보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으로의 활용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 관련 법제 연구

        이도희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문화가정지원법’에 대한 고찰과 개정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의 현황 및 지원정책과 더불어,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현행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법 제1조에서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법률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3조 5항(기본이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행법은 5년마다 지원 및 관련 정책 시행을 규정하고 있고, 3년마다 계획 및 실사조사를 실시하도록 되어있어, 지원정책수립과 계획 및 실사조사 기간의 불일치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셋째, 법조항에서 임의규정(~을 할 수 있다)을 의무규정(~을 해야만 한다)으로의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의 날'을 지정하거나 다른 가족의 날과 함께 지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빠르게 변화되어온 글로벌화는 ‘다문화’라는 새로운 가족구성단위로 이어지면서, 그들을 위한 법제도적 장치에 대한 검토 및 지속적인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and revis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for domestic multicultural families.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long with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polic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First, as in Article 1 of the Act, it proposed to reflect Article 3 of the Article 5(basic ideas)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law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Second, the current law stipulates that support and related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every five years, and by conducting planning and due diligence surveys every three years,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sensus on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support policy and the planning period. Third, the government proposed a revision to the mandatory regulation (that is, it should be done) under the provisions set by law. Finally, we proposed a plan to designate 'Multicultural Family Day' or to designate it with other family days. As the globalization of the members of each country, which has been rapidly continuing in the 21st century,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be able to welcome them and review the act and institutional devices that can be together more than ever.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사회적MCS 구축 방안에 대한 소고

        이도희,이은서 한국회계정보학회 202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2 No.1

        [연구목적]본 연구는 21세기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새롭게 이슈가 되어진 사회적기업의 운영현황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계속기업으로서의 사회적기업의 체계적인 운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일련의 방안모색을 위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현황을 진단하고, 사회적기업 운영 실무자를 대상으로 인터뷰(interview)를 바탕으로 하는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첫째,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일반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사회적기업에도 필요한 조건임을 강조하였다. 즉, 사회적기업 스스로의 자생력 확보 및 지속성장 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 측정을 위한 다각적인 차원의 지표 개발을 모색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사회적MCS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정책적 제고 방안으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 이전에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확산과 더불어, 보다 체계적인 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제고 방안으로 사회적기업 육성정책 이전에 사회적기업에 대한 인식확산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운영관리가 전제되어야 하고, 일련의 체계적 운영을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적MCS 구축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향후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고유의 목적인 ‘사회성’과 계속기업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성’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으로의 확장연구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Q방법을 활용한 장애 인식에 대한 연구

        이도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5 사회연구 Vol.6 No.2

        이 연구는 사회복지분야에서 아직은 우선순위가 되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 복지에 대한 관심과 우리사회의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Q방법을 활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가 사회복지연구임을 고려하여 장애인 및 장애인식에 대한 심리적, 사회적, 제도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34개의 진술문(Q표본)과 36명의 응답자(P표본)의 Q분류(sort)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이 추출되었다. 즉, <유형 Ⅰ>은 중증장애인부터 중도장애인, 장애인과의 생활 경험이 없는 응답자까지 두루 구성하였다. 이들은 주로 제도 및 정책적 차원의 지원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유형 Ⅱ>는 중도장애이거나 가족중 장애인을 둔 응답자가 주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 유형에서는 장애에 따른 심리적·사회적 갈등이 많았음을 나타냈다. <유형 Ⅲ>은 주로 장애인과의 생활경험이 없는 응답자, 동료 또는 복지관련 업무 종사자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유형에서는 장애인은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고, 제도적 지원 등에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한편, 장애인의 경우는 장애의 정도에 따라서, 비장애인의 경우는 장애인과의 생활경험 정도에 따라서 인식에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장애인과의 생활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인의 현실적인 문제를 보다 잘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장애인 스스로가 인식하고 있는 개인적 차원과 비장애인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식에 대한 사회적 차원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여전히 우리사회의 올바르지 못한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문제, 다양한 제도 미비 문제 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향후 보다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의 타당성을 제기할 연구와 더불어 그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제도 및 정책적 지원 효과를 기대해본다.

      • HT22 신경세포 사멸과정에서의 SUMO 수식화 단백질 변화의 분석

        이도희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24 No.-

        산화스트레스가 세포의 사멸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모델 시스템의 하나로 글루타민산 수용체가 소실된 생쥐 해마에서 유래된 HT22 세포주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HT22 세포에 글루타민산을 처리하면 항산화 작용을 하는 시스테인과 글루타치온의 세포내 농도가 감소하면서 세포내 활성산소종 (ROS)의 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세포사멸이 활성화된다. 하지만 어떤 분자적 기전에 의해서 세포사멸이 일어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SUMO 단백질은 작은 크기의 단백질로서 기질단백질에 가역적으로 공유결합하여 수식화를 시키는데 SUMO에 의한 수식화는 표적 단백질의 안정화, 핵과 세포질 사이의 수송, 유전자 발현조절과 같은 다양한 세포내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적단백질의 SUMO 수식화는 여러 스트레스 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특히 산화스트레스에 의해서 전반적 SUMO 수식화 패턴에 광범위한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루타민산에 의해 유도된 HT22 세포 사멸과정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SUMO 수식화 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 다수의 SUMO 수식화 단백질을 동정함으로써 산화스트레스 반응에서의 SUMO 경로가 담당하는 기능 및 세포 사멸에서의 이들 개별 단백질의 역할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하였다. Immortalized neuronal cell lines lacking functional glutamate receptors, e.g. mouse hippocampal HT22 cells, provide a useful model system to study the effects of oxidative damage. Exogenously applied glutamate leads to decrease in cellular levels of free cysteine and glutathione, which causes the accum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 activation of neuronal cell death. It remains unclear, however, how ROS actually causes HT22 cell death. SUMO proteins are a family of small proteins that are covalent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substrates and SUMOylation is known to be involved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including protein stability, nuclear-cytoplasmic transport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SUMOylation of proteins is affected by various stress conditions and oxidative stress is known to significantly modulate the pattern of global SUMOylat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lobal SUMOylation pattern during glutamate-induced HT22 cell death and to search for proteins whose SUMOylation is significantly altered upon oxidative stress, we examined the global SUMOylation pattern by western-blot analysis and identified a number of SUMO-modified proteins substantially altered during HT22 cell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