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텝 테스트를 이용한 제2형 당뇨환자의 심폐능력과 당화혈색소, 혈압, 혈중지질의 상관관계

        이덕철 ( Duck Chul Lee ),고미영 ( Mi Young Koh ),김연수 ( Yeon Soo Kim ),강현주 ( Hyun Joo G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6 체육과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텝 테스트를 통해 제Ⅱ형 당뇨환자의 심폐능력을 파악하여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하고, 당화혈색소, 혈압, 혈중 지질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임상에서 손쉽게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심폐능력 측정, 운동처방, 사후 평가를 할 수 있는 스텝 테스트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실험군은 E병원에 내원하는 제Ⅱ형 당뇨환자, 40, 50, 60대 남여 각각 15명씩 90명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S병원에 내원하는 일반인 중 당뇨병이 없는 사람 중에 실험군과 동일 연령의 남녀 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텝 테스트는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역학 연구에 적합한 "Tecumseh" 스텝 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으로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을 구하였다. 건강한 일반인과 제Ⅱ형 당뇨환자의 심폐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심폐능력과 수축기혈압(p<.05), 당화혈색소(p<.05), 중성지방(p<.05)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스텝 테스트의 심박수와 자전거를 이용한 최대산소섭취량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본 연구는 당뇨환자에서 심폐능력이 수축기혈압, 당화혈색소, 중성지방과 관련성이 있으며 임상에서 제Ⅱ형 당뇨환자의 운동처방을 위해 스텝 테스트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the step test for the clinical purpose in type Ⅱ diabetic patients by study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measured by step test and HbA1c,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the experimental group, 90 patients with type Ⅱ diabetes who were composed of 15 females and 15 males in each age bracket of 40`s, 50`s and 60`s were selected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E hospital`` in Seoul. The control group of 90 people without diabetes were selected among the people who visited ``S hospital``. And "Tecumseh" step test was used for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assessments. For the data processing, ``pearson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HbA1c,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ardiorespiratory fitness of control and that of the patients with type Ⅱ diabetes(p<.01), which were assessed by a step test a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ardiorespiratory fitness, HbAlc, systolic blood pressure and serum triglyceride(p<.05). Also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maximal oxygen consumption by cycle ergometer and heart rate during the recovery after step t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st cardiorespiratory fitness for the exercise prescription and prognosis prediction and step test can be used to test cardiorespiratory fitness in the type Ⅱ diabetic patients.

      • KCI등재

        규칙적 운동과 제2형 당뇨병 발생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공복혈당장애군을 대상으로-

        엄홍대,이덕철,이상이,김연수,Um, Hong-Dae,Lee, Duck-Chul,Lee, Sang-Yi,Kim, Yeon-Soo 대한예방의학회 2008 예방의학회지 Vol.41 No.1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an impaired fasting glucose group. Methods :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in 19,440 men and 4,297 women, aged 30-69 years,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at baseline who had undergone biennial medical evaluation throug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rom 2000 to 2004. Impaired fasting glucose was defined as fasting glucose of 100 to 125 mg/dl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weekly exercise frequenc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aseline exercise status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Results : During the 4-year follow-up, a total of 3,239 men and 283 women developed type 2 diabetes, a cumulative incidence of 16.6% for men, and 6.5% for women. Also, 1,688 men (21.2%) and 127 women (15.2%) developed type 2 diabetes in the obese group. The adjusted relative risk (RR) of developing type 2 diabetes in non-exercising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xercising men regularly (RR= 1.375, 95% CI=1.236-1.529)(p<0.0001), and the RR for non-exercising women was higher than exercising women regularly (RR=1.124, 95% CI=0.711-1.778). The RR for non-exercise men/women in the obese group was 1.571 (95% CI=1.351-1.827)(p<0.0001)/1.869 (95% CI=0.846-4.130). Conclusions : Regular exercise is effective in preventing type 2 diabetes in people with impaired fasting glucose, and particularly in obese people. People with risk factors for diabetes should participate in a regular exercise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12주간의 앉아서 하는 복합 운동이 관절염 노인 여성의 체력과 혈중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연수 ( Yeon Soo Kim ),박성모 ( Seong Mo Bak ),이덕철 ( Duck Chu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3

        노인 중 상당수가 관절염을 경험하고 있고 관절염 노인의 체력과 혈중 지질 수준은 일상생활수행에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65세 이상 관절염 노인 여성 중 운동군 20명, 통제군 16명을 대상으로 앉아서 하는 복합 운동이 체력 및 혈중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운동군은 12주간 주 3회,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으로 구성된 앉아서 하는 복합 운동을 1시간 실시하였고, 실험 전과 후에 체력(신체 구성, 하지 근력, 상지 근력, 심폐지구력, 상지유연성, 하지 유연성, 민첩성), 혈중 지질 수준(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사후 신체 구성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군의 경우 근육량을 제외한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은 각각 약 11%, 6.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경우에는 체지방률의 유의한 변화 없이 체지방량과 근육량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체력 요소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군과 통제군 집단 간 모든 체력 요소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군은 심폐 지구력을 제외한 모든 체력 요소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그러나 대조군의 경우에는 하지 근력과 하지 유연성은 유의한 향상을 나타낸 반면 그 외의 체력 요소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거나 상지근력, 심폐지구력은 각각 10%, 9% 감소를 나타내었다. 셋째, 혈중 지질 수준의 변화는 운동군과 통제군 집단 간 모든 혈중 지질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사전·사후 집단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앉아서 하는 복합 운동은 관절염 노인 여성의 혈중 지질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 했지만, 체력 향상에는 효과적이며, 신체조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ing Seated-Exercise for 12 weeks 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s in arthritis elderly women. Thirty six persons of arthritis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wenty persons were put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ixty persons were made up of the control group. The exercise group took upon seated exercises composed of resistance and endurance training for 1 hour at one time, three times a week through 12 week time period, including warm-up and cool-down. The duration of the exercise increased by 10 minutes every four week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of body compos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12 - week`s seated exercise (p>0.05). However, the fat mass and relative body fat of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by 11% and 6.6% respectively. second, all the physical fitness compon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all the physical fitness components except for cardiorespiratory enduranc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However, upper muscular strength and crdiorespiratory endurance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y 10% and 9%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ll the blood lipid component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lso, Thos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i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data from this study reveals that seated exercise for arthritis elderly women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hysical fitnes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body composition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