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교 도서관의 현실적 매력

        이덕주,Lee, Deok-Ju 한국도서관협회 1997 圖協會報 Vol.38 No.4

        필자 이덕주 선생은 서울시사서교사협의회와 서울중등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 사립학교 담당 총무, PC통신 하이텔네에 있는 작은모임 ‘학교도서관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대표를 맡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오해에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들의 현실에 대해 정확히 알리지 못한 사서교사들의 책임도 있다고 보아 이 글을 썻다고 한다. -편집자주

      • KCI등재

        1908년 만주 부흥운동에 관한 연구

        이덕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8 No.-

        중국과 만주지역 교회는 의화단 사건(1900년) 여파로 선교의 절망적 상황에 처해 있었다. 그런 침체된 분위기를 쇄신하고 다시 선교의 활력을 되찾게 만든 것이 1908년 만주 부흥운동이다. 이 운동은 1907년 1월에 일어난 평양 부흥운동 현장을 목격하고 중국을 방문한 맥라렌 부인과 하남주재 선교사 고포드가 만주 심양과 요양에 들러 한국 부흥운동의 실상을 전함으로 촉발되었다. 한국교회 부흥운동 소식을 접한 만주와 중국주재 선교사들은 같은 부흥운동이 중국에서도 일어나기를 고대하며 준비 기도를 시작하였다. 특히 요양지역 선교를 담당하고 있던 더글라스는 1908년 1월 중국인 전도자 장사정과 호만성을 평양으로 파송하여 직접 평양 부흥운동의 실상을 보고 오도록 하였고 이들의 방문보고와 2월 9일부터 시작된 고포드의 요양집회에서 비로소 한국에서와 같은 토착교인들의 통성기도와 공개자복, 회개와 배상을 통한 영적 갱신, 그리고 자발적 헌금과 헌신, 자원 전도운동이 나타났다. 부흥운동을 거치면서 만주지역 교회와 교인들 사이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우선 토착 교인들은 회개와 중생, 성결에 이르는 기독교의 본질적인 신앙 체험, 즉 ‘영적 각성’을 체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회 안에 화해와 일치, 협동과 연합의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또한 은혜를 체험한 교인들의 윤리적 갱신과 실천은 기독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선입견과 편견을 해소하였고 교회의 종교적 권위와 사회적 지도력을 향상시켰다. 여기에 토착 교인들의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전도운동으로 인해 무너졌던 예배당과 기독교 학교가 복구되었고 선교에 활기를 띰으로 교세는 의화단사건 이전으로 회복되었다. 요양과 심양에서 발화된 만주 부흥운동은 1908~09년 그 불길이 만주 일대로 확산되었고 1910년 4월에는 북경의 연경대학교 학생들 사이에서도 부흥운동이 일어나 헌신적 전도자들에 의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처럼 중국교회 부흥에 중요한 계기를 만들어 준 만주 부흥운동의 동기와 단초를 1907년 평양 부흥운동이 제공했다는 점에서 한․중 양국교회 관계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870~80년대 한국교회의 복음 수용과 전파 과정에서 한글성서 번역과 인쇄 및 반포의 거점이 되었던 만주교회가 의화단사건이후 침체에 빠져 있을 때 한국교회가 부흥운동의 열기를 전함으로 위기를 벗어나 선교의 활력을 되찾도록 만듦으로 한국교회는 ‘선교의 빚’을 갚았을 뿐 아니라 ‘아시아에서 아시아로’ 이어지는 신앙교류와 선교협력의 아름다운 전통을 수립할 수 있었다. 그것은 19세기 일부 서구 제국주의 기독교 국가들이 추구하였던 강압적 무력을 동원한 ‘힘의 선교’가 아닌 섬김과 봉사로 이루어지는 ‘사랑의 선교’였다. The situation of mission work in the earlier time of 1900s in Manchuria was very gloomy and critical at an anti-foreign atmosphere of the Chinese people after the Boxers' riot in 1900. But the atmosphere of stagnation was changed into that of growth and vitality in the latter days of 1900s by the Manchurian Revival Movement in 1908. The Manchurian Revival began in Laoyang(遼陽) with the return of two westerners from Korea, Mrs. D. McLaren and Mr. J. L. Goforth, who had just visited Pyengyang with news of religious awakening movement in that country. Especially Mr. Goforth, a pioneer of Canadian Presbyterian mission in China, on returning to his mission field Honan(河南), gave an account of the spiritual movement to the Churches at Laoyang, Moukden(瀋陽), Peitaho(北戴河) and Chikungshan(鷄蚣山) at which prayer meetings immediately began by the missionaries in order to be happened the similar phenomena in China. And it was in January 1908 that Mr. G. Douglas, a Scots presbyterian missionary of Laoyang, sent two Chinese evangelists to Korea, Mr. Chang(張賜禎) and Mr. Hu(湖萬成), who came across the Yalu to Pyengyang where they met Korean Church leaders, saw nearly two thousand people who were gathered for the study of the Bible and the evangelistic campaign, and were impressed greatly. On 9th Feb. 1908 just after their returned reporting, moreover, the one week- evangelistic meeting began at Laoyang Church led by Mr. Goforth who told the congregations about the revival in Korea and gave the address from the text, "Not by might, nor by power but by Spirit of God" which made the people who were possessed by God' Spirit, outburst weeping, confessing their sins and crying for mercy. And also, Mr. Goforth went to Moukden and held also a meeting at 16th Feb. But at this meeting, people received the 'Shengling ti Kantung'(聖靈之感動) after Mr. Hu's testimony of Korean revival and showed the similar phenomena, such as vocal united praying, confession of sins openly, restitution, and voluntary offering of money and days for evangelism as in Laoyang and Pyengyang. This was the beginning of the Manchuria Revival Movement. From 1908 to 1909, the spiritual fever of the revival movement was spread to the Manchurian cities, such as Pensihu(本溪湖), Anping(安平), Tunghwa(通化), Kaiyuen(開元), Yilu(懿路), Newchang(牛庄), Tieling(鐵嶺), Paoting(保定) etc. It was also at last in Apr. 1910 that a revival meeting was held by the native evangelists from Tieling among the students of the Methodist University(燕京大學校) in Peking(北京), and over 300 students volunteered to give themselves to the inland mission work. In this way, the revival movement was spread to the whole land of China by the native pastors and preachers. In Oct. 1909, on returning from his furlough, Dr. J. Ross, a pioneer of Protestant mission in Manchuria, could find out that a great change was happened in his mission field. So many native Church leaders and members, who had been disappointed and timid in religious life, testified their spiritually awakened lives in moral regeneration, embodied the reconciliation and peace among the people, built up the voluntary, and united cooperation in mission works. So the native Christians could recover the vitality of faith and mission, and also, the Church statistics of 1910 show the ongoing growth after the Manchurian revival of 1908. Furthermore the moral and conscientious lives of the regenerated Christians could not only get rid of the negative and anti-Christian prejudice of non-believers, but also help to acquire of Church leaders' authority and leadership over the social community. Thus the native and indigenous Church could be formed by the self-propagation in evangelism, the self-supply in Church economics, and the self-government in politics by Chines Christians. In the history of relationship and inter-change of faith between China and Korean Churches, we must point out that the ...

      • KCI등재

        RFID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덕주,임동균,신승중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0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6

        최근 유통물류를 비롯한 산업 전반에 걸쳐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RFID 시스템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기술 인력도 현재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공부하는 학생들이 RFID 시스템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여러 가지 규약에 의해 제안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의의가 있다. 별도의 RFID 전용칩을 사용하지 않고, 마이크로콘트롤러를 사용하여 저가격 RFID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RFID 시스템을 활용하여, 학생증 발급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Thesis is abou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of overall industry including physical distribution. Most RFID systems in Korea are imported, and there are also problems in manpower. In order to prevent these kinds of problems, students made to get and easy access to RFID system. The purpose of is to solve the regulation problems. We made an application software to practice RFID system implemented, which have several modules so that it can be easy for users to understand RFID system. We also invented a system which makes student ID to help users understand how RFID system is implemented in real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