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6 주간 금융 브리프 Vol.25 No.18
미소금융은 대출실적이 꾸준히 증가하며 잘 관리되고 있으나 재정적 사업지속성 제고와 금융취약계층의 자활능력 향상을 위한 금융접근성 확대에 더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미소금융 상품의 대출금리에 원가를 반영하여 상품별·신용등급별로 금리를 차별화하는 한편 대출지원대상 자격완화를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음.
금융 포커스 : 미소금융의 사전컨설팅 및 사후관리 개선방안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4 주간 금융 브리프 Vol.23 No.6
미소금융의 사전컨설팅은 업무절차 간소화와 보고서 체계개선, 사후관리는 단계별 세분화와 채무자의 유형별 구분이 필요함. 이를 통해 미소금융 이용자의 자활가능성을 높이고 연체율 감소를 통한 재정적 지속가능성도 제고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수 있음.
금융 포커스 : 우체국금융 민영화의 해외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3 주간 금융 브리프 Vol.22 No.43
우체국금융은 금융환경 변화와 금융시장 발전이 이루어지면서 세계적으로 민영화되는 추세임. 우리나라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체국금융의 민영화를 추진하되 현재 단계에서는 공정경쟁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임.
금융 포커스 : 미소금융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역할 제고 방안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3 주간 금융 브리프 Vol.22 No.29
미소금융은 연체율 관리와 대출금리 현실화를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함. 또한 지역밀착형 및 관계형 금융 지원과 함께 교육·훈련·컨설팅 등 비금융적 지원을 확대·강화하면 금융소외계층의 자활 능력 향상이라는 사회적 역할이 제고되고 이에 따라 다시 미소금융의 지속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선순환구조가 정착 될 것으로 기대됨.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7 주간 금융 브리프 Vol.26 No.25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화폐는 혁신적이고 저렴한 지급수단의 제공, 화폐주조 및 거래 비용의 절감 등 가상통화의 기술혁신과 장점을 이용하면서도 디지털화폐의 가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음. 지급·청산·결제 측면에서의 효율성 증대뿐 아니라 금융시스템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익명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등을 함께 고려하여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발행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음.
금융 포커스 : 중소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현황 및 시사점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2014 주간 금융 브리프 Vol.23 No.21
해외건설시장에서 국내 대기업은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어 대출 관련 금융비용을 낮추고 보증지원 조건을 완화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