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물치에 대한 Nocardia seriolae의 인위감염과 조직학적 관찰

        이남실(Nam-Sil LEE),한현자(Hyun-Ja HAN),김명석(Myoung-Sug KIM),도정완(Jeong-Wan DO),정승희(Sung-Hee JUNG),조혜인(Hyae-In CHO),김진도(Jin-Do KIM)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6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8 No.3

        Snakehead, Channa argus were intraperitoneally infected with Nocardia seriolae. at the concentrations of 1.5×10<SUP>7</SUP> cfu/㎖ or 1.5×10<SUP>8</SUP> cfu/㎖. The infected fish were kept in aquaria at 25℃ and 30℃ for 3 weeks. Clinical signs and mortality were monitored daily to evaluate the virulence. All artificially infected fish showed the same clinical sign found in naturally infected fish. All the fish infected with 1.5×10<SUP>8</SUP> cfu/㎖ of N. seriolae died within 24days. N. seriolae showed higher virulence to snakehead at the temperature 30℃. Internal lesions such as whitish nodules in the infected internal organs were not correlated with mortality but some degenera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all the infected organs within a week. Whitish nodules in the infected organs which are the typical character in nocardial infection was initially found at two weeks after the artificial infection in snakehead.

      • KCI등재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8 No.-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은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이 후설의 현상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며 그러한 한에서 그것이 전적으로 후설의 현상학의 틀을 벗어나 있다는 견해를 피력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정당하지 않다. 그 이유는 저 연구자들이 이러한 견해를 피력하면서 전거로 제시하는 레비나스의 후설 현상학 비판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비나스의 현상학과 후설의 현상학의 관계를 올바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철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글의 목표는 바로 지향성, 구성, 초월론적 주관 등 초월론적 현상학의 핵심적인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후설의 현상학에 대해 레비나스가 가하는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를 토대로 레비나스가 현상학적 전통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해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필자는 1장에서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해 레비나스가 가하는 비판을 후설의 지향성 개념에 대한 비판과 구성, 초월론적 주관에 대한 비판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거기에 이어 필자는 2장에서 후설의 지향성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3장에서는 후설의 구성 개념과 초월론적 주관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4장에서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이 후설에 의해 정초된 현상학의 전통 속에 있다는 사실을 해명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Levinas's criticism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nd shows that there are fundamental similarities between Husserl's phenomenology and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According to Levina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could be called a phenomenology of representation, since it could deal only with th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He maintains that th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n Husserl knows nothing about the exteriority as the other in an absolute sense, since it is not a passive, but an active intentionality. For this reason, the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s the bearer of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a center of the constitution as a free and subjective creation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Levinas's criticism is highly problematic in many respects. Contrary to what Levinas maintains,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not always active, there is also passive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Moreover, 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is not the only topic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Various types of non-representational intentionality, for example, the intentionality of enjoyment, the intentionality of transcendence or the evaluative intentionality as the main topics of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have been also analyzed in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It is not the case that intentionality in Husserl's phenomenology, might it be active or not, might it be representational or not, knows nothing about the exteriority, since its basic character is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the other. For this reason, transcendental subjectivity as the bearer of the constitu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a center of a free and subjective creation of the meaning of the object. There are fundamental similarities between Levinas's phenomenology of the other and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e former could be regarded as a phenomenology that has developed in detail one of the motives that could already be found in the latter.

      • KCI등재

        후설의 현상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연속성 문제

        이남인(Lee, Nam-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7 No.-

        이 논문은 후설의 현상학에서 이성과 감성이 서로 연속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 하는 문제를 해명함을 목표로 한다. “연속”이란 개념은 수학적 개념인데, 이 논문에서는 이 개념을 수학적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 이성과 감성이 연속적이라 함은 양자 사이에 정도의 차이만 존재할 뿐 질적 차이는 존재하지 않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감성이 낮은 단계의 이성으로 파악될 수 있거나 가능태로서의 이성으로 파악될 수 있을 경우 양자는 연속적이다. 우리는 1-2절에서는 논리연구를 비롯한 후설의 초중기 저술을 중심으로 지향성의 문제를 살펴본 후 그의 초중기 현상학에서 이성과 감성이 비연속적인 것으로 규정되고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거기에 이어 3-5절에서는 그의 초중기 현상학에서 후기 현상학으로 넘어가면서 지향성 개념이 수정된다는 사실을 살펴보고 이처럼 지향성 개념이 수정되면서 이성과 감성이 연속적인 것으로 규정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볼 것이다. 후설은 자신의 현상학을 이성주의 내지 합리주의로 간주하였는데, 마지막으로 우리는 6절에서 이성과 감성의 관계에 대한 앞서의 논의를 토대로 그가 추구한 이성주의의 정체에 대해 간단히 살펴볼 것이다.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clarify whether continuity exists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in E. Husserl’s phenomenology. Continuity is originally a mathematical concept, but, in this paper, we do not use the concept of continuity in the mathematical sense. The proposition that continuity exists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means that there is only a gradual, not a qualitative difference between them. If the sensuous could be considered to be a reason of a lower degree or a potential reason, continuity does indeed exist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In section 1, I will attempt a preliminary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reason and that of the sensuous. In sections 2-3, I will show that, in Husserl’s phenomenology of the early and the middle periods, it is conceived that a discontinuous relation exists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In sections 4-6, I will show that, in his later phenomenology, it is conceived that a continuous relation exists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Husserl conceives of his phenomenology as a rationalism and, in section 7, on the basis of the discussions on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the sensuous, I will attempt to illuminate some aspects of Husserl’s rationalism.

      • KCI등재

        후설의 현상학적 사회윤리학의 의의와 과제

        이남인 ( Nam In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人文論叢 Vol.69 No.-

        In the 1920`s, Husserl developed his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in his two manuscripts on “Gemeingeist” and his five articles on “the ethics of renewal”. It is the aim of this paper 1) to clarify the basic structure of Husserl`s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2)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and 3) to delineate some important tasks that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has to solve in the future. Section I shows that there are various dimensions to phenomenological ethics such as empirical phenomenological ethics, regional phenomenological ethics, formal phenomenological ethics,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ethics. Section 2 and Section 3 clarify, respectively, the general structure of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developed 1) in Husserl`s manuscripts on “Gemeingeist” and 2) in his five articles on “the ethics of renewal”. Section 4 shows the significance of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developed in the manuscripts on “Gemeingeist” and the five articles on “the ethics of renewal”, on the one hand, and the future tasks that this phenomenological social ethics has to solve,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몇 가지 측면에 대한 해명

        이남인(Nam In Lee)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9

        This paper is a reply to the questions that Seung-Ho Lee has raised in his review article on Phenome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by Nam-In Lee, Paju: Hangilsa, 201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some important issues of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by responding to the questions raised by him. In chapter 1, I will summarize the questions raised by him in his review article. His questions are as follows: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various kinds of phenomenology?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lived-experience as the object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experience? What is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or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intentionality an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causality an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hat is the role of mathematic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reafter I will attempt to reply to his questions. In chapter 2, I will show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y consists in striving to become a rigorous science. In chapter 3, I will show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experience is a sub-field of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at is again a sub-field of phenomenology. In chapter 4, I will indicate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the lived-experience is defined as all qualitative. In chapter 5, I will show that the unitary component common to all kind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lived experience consists in the fact that they all strive to clarify the intentionality. In chapter 6, I will show that the qualitative causality, not the natural causality, is the object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chapter 7, I will clarify how mathematics understood as a qualitative science could serve as the mean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 KCI등재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이남인(Nam In Lee)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7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assess E.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could meet each other and carry out various kinds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section 1, I will delineate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It is the core of his project of consilience to unify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and therefore he claims that it is in principl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of consilience. In section 2, I will examine the basic structure of knowledge in the humanities and show that, in principle, the project of consilience cannot be carried out. In section 3, I will show the difficulties that Wilson`s projectof consilience has with respect to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In section 4, I will deal with the various types and ways of properly carrying out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In section 5, I will show that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has some more difficulties that are not to be discussed in detail in this paper. We also need to critically assess them in order to prepare a more solid ground for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 KCI등재

        본능적 지향성과 가치경험의 본성

        이남인(Lee, Nam-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 Vol.63 No.-

        이 논문의 목표는 발생적 현상학적 욕구주의로서의 발생적 현상학적 가치론을 전개하면서 가치경험의 본성을 해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1절에서 욕구주의가 무엇을 뜻하는지 해명하고 2절에서 가치경험의 본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본능 현상을 분석해야 할 필요성을 검토한 후 본능이 무엇을 뜻하는지 해명할 것이다. 거기에 이어 3절과 4절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가치경험에서 본능이 담당하는 역할을 해명하면서 발생적 현상학적 욕구주의를 전개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5절과 6절에서는 가치경험의 본성에 대해 살펴보고 7절에서는 앞으로의 과제를 검토하면서 전체적인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will try to develop a genetic phenomenology of valuing as a genetic-phenomenological conativism. In section 1, I will clarify what conativism means. In section 2, I will show the necessity of paying attention to the various kinds of instinct in order to clarify the nature of valuing, and I will also attempt to clarify the concept of instinct itself. Thereafter in sections 3 4, I will analyze the role of instinct in the – genesis of the manifold forms of valuing. In sections 5-6, I will illuminate the nature of valuing. Finally, in section 7, I will conclude with some remarks on the future tasks of the genetic phenomenology of valuing.

      • KCI등재

        겔렌의 본능축소론 비판을 통한 본능 개념의 현상학적 정립

        이남인(Lee, Nam-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최근 20년 사이에 본능 개념은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 발달심리학, 언어학, 윤리학, 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능 개념은 불투명한 상태에 놓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본능에 대한 논의가 체계적이며 조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능 개념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20세기 철학적 인간학을 전개해나간 중요한 학자 중의 하나인 겔렌(A Gehlen)의 본능축소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능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겔렌은 본능을 “본능행동”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본능에 대한 이러한 정의는 정의항(본능행동) 속에 피정의항(본능)이 들어있기 때문에 우선 형식적 관점에서 볼 때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내용적인 관점에서 볼 때도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필자는 겔렌의 본능 개념을 체계적으로 비판한 후 현상학적 관점에서 볼 때 본능은 “유기체가 그 어떤 행동을 하도록 추동하는 내적인 생명적인 힘”으로 규정되어야 함을 밝히고, 이러한 본능 개념을 11가지 관점에서 더 상세하게 해명할 것이다. 거기에 이어 필자는 겔렌의 본능축소론이 부당하며 그 대신 본능확장론이 들어서야 함을 논의하고 이 논문에서 해명한 본능 개념과 관련해 앞으로 더 해명해야 할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전체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다. In the past 20 years, the concept of instinct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evolutionary biology, evolutionary psychology, linguistics, ethics, aesthetics, etc. However, the meaning of instinct still remains unclarified in many respects.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the genuine meaning of instinct so that the discussion of instinct in these disciplines could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genuine concept of instinct on the basis of a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A. Gelen’s theory of instinct-reduction. According to Gehlen, instinct is defined as Instinkthandlung. However, this definition of instinct is problematic from the standpoint of formal logic, since the definiendum (the instinct) is already included in the definiens (Instinkthandlung). Moreover, it faces different kinds of serious material problems. Criticizing Gehlen’s theory of instinct systematically, I will show that instinct should be redefined as “the inner living force that urges an organism to perform a certain kind of action,” and I will attempt to clarify this definition of instinct in a more detailed manner by offering 11 points. Thereafter, I will argue that Gehlen’s theory of instinct-reduction has to be replaced by the theory of instinct-enlargement in human beings. In the conclusion, I will finally point out some issues concerning the concept of instinct which should be discussed in the future.

      • KCI등재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4 No.-

        이 글의 목표는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현상학적 환원을 해명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실제로 그러한 방법에 따라 현상학적 환원의 정체를 해명하면서 현상학적 환원의 의의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우리는 우선 1장에서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 방식을 살펴보고 그러한 방식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거기에 이어 우리는 2장에서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효과적인 해명 방식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며, 3장에서는 이러한 효과적인 해명 방식을 통해 무엇보다도 현상학적 환원이 사태 개시 기능을 지니고 있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해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현상학적 환원이 현상학의 미래에 대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글은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에 대한 하나의 기여를 하고자 한다.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clarify the fun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by assessing Husserl’s strategy to clarify the method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is paper understands itself as a contribution to “the phenomenology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at Husserl attempts to develop in his later phenomenology. In section 1, I will delineate the main features of the strategy Husserl adopts to clarify the method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show the difficulties that it has. In section 2, I will show the appropriate strategy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n section 3, adopting the appropriate strategy discussed in section 2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 will show that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ot a method of abstraction or exclusion, but a method to disclose the matters and to discover the truth. In section 4, I will sketch some important tasks for phenomenology in the future that are related to the issue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 KCI등재

        Husserl의 현상학과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

        이남인(Lee, Nam-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2 No.-

        이 글의 목표는 Husserl의 현상학이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미친 영향을 해명하는 데 있다. 일군의 연구자들은 Schutz가 Husserl의 현상학을 비판하고 거부하면서 자신의 현상학적 사회학을 전개해 나갔으며 따라서 Husserl의 현상학이 Schutz의 현상학에 대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견해가 부당함을 밝히면서 후설이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미친 영향을 해명하는데 있다. 이 논문의 1장은 Weber의 이해사회학의 의의와 한계를 간단히 다룰 것이다. 거기에 이어 2장과 3장에서는 Husserl의 현상학이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2장에서는 Husserl의 현상학적 심리학이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미친 영향을 살펴볼 것이다. 2장의 핵심적인 논지는 Schutz의 현상학적 사회학은 Husserl이 구상한 현상학적 심리학의 한 유형에 해당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Husserl은 현상학적 심리학을 통해서뿐 아니라 초월론적 현상학을 통해서도 Schutz 의 현상학적 사회학에 대해 영향을 미쳤는데, 3장에서는 바로 이 점이 해명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 4장에서는 Husserl의 현상학 속에는 Schutz가 자신의 현상학적 사회학을 전개하면서 실제로 받은 것보다 훨씬 더 풍부한 영감의 원천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간단히 언급하면서 이 논문의 전체적인 논의를 마무리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Husserl’s phenomenology upon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In developing his phenomenological sociology, although Schutz was deeply influenced by Weber, he considers that the interpretative sociology developed by the latter has some difficulties. It is Husserl’s phenomenology that enabled him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Weber’s interpretative sociology and to found a phenomenological sociology as an interpretative sociology in a true sense. In section 1, I will deal with the significance and difficulties of Weber’s interpretative sociology. In section 2, I will deal with the influence of Husserl’s phenomenological psychology. In section 3, the influence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on Schutz’s phenomenological sociology is address, and in section 4, I note that there are some motives in Husserl’s later phenomenology that could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phenomenological soc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