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한국 政治權力의 獨占化 現象 : 民主發展의 맥락에서

        이남영 숙명여자대학교 현대사회발전연구소 1991 현대사회연구 Vol.4 No.-

        이 硏究의 目的은 "왜 政治權力이 한국사회의에서 集中化하는 傾向이 있는가?" 라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정치에 있어서 권력구조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로 權力의 집중화 경향을 지적할 수 있다. 과거에도 권력 집중현상이 강했고, 지금도 역시 그러하다. 조선시대에도, 해방후의 정치사 속에서도 우리는 지속되어 오는 정치권력의 집중화 경향을 본다. 즉 "한국사회에서는 정치권력이 집중화 하는 경향이 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 연구는 그러한 주장이 어떠한 원인 때문에 성립되는가를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1) 첫째로 정치권력 집중화를 설명하는 기존 이론들과 비교할 때, 새로운 시각의 이론―즉 공익산출이론―에 입각하여 설명해 보고자 한다. 공익산출 이론은 소위 형식이론(formal theory)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과거에 제기되어 온 여러 이론들의 한계들을 여러 가지 의미에서 극복하는 논리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이론을 한국정치에 처음 적용시켜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임이 분명하다. (2)둘째로, 공익산출이론과 정치문화적 접근방법을 함께 적용하여, 우리사회에 만연되고 있는 불신풍조가 권력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논리적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특히 survey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경험적인 기반을 확보한다. 과거 여러 이론들이 추상적, 규범적 수준에서 제시되어 온 것에 비하여, 본 연구는 실증적 기반을 확보함으로서 이론과 구체적인 현실과를 조응해 보고자 한다. (3) 세째로, 이 연구는 결국 한국의 민주발전이라는 커다란 명제에 수렴된다. 정치권력의 과도한 집중화는 결국 개인자유의 폭을 제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개인의 인권보호 및 확립을 저해시켜온 결과를 초래하였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 권력집중이 야기되는가에 대한 이해는 결국 권력의 과도한 집중을 완화하는 여러 가지 처방의 제시를 가능하게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연구는 우리 정치체제의 특성 중의 하나가 정치 권력의 집중이라는 점을 역사적으로 논술하고자 한다. 조선시대 末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정치에서 나타난 권력의 집중화 현상을 간략히 논함으로써, 본 연구의 핵심명제―즉 권력의 집중화 현상―의 현실적 중요성을 부각시켜 보고자 한다. 또한 만일 그러한 정치권력의 집중화 현상이 한국 정치의 특징이라면, 그러한 특징을 단순히 사실로 인정하는 수준에서 만족해야 하는가? 아니면 그 원인을 철저히 규명함에 의해 권력의 집중화 현상을 방지하는 처방의 문제까지 다루어야 할 것인가? 라는 당위론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려 한다. 다음 제2장에서는 권력의 집중화 현상과 민주발전과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음미해 보고자 한다. 민주발전이란 여러가지 의미를 담고 있는 개념이기 때문에 여러 민주주의 이론가들의 견해를 다각적으로 소개하면서 권력과의 관계를 음미해 보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왜 권력의 집중화하는 현상이 '공익산출이론'에 의해 설명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다루려 한다. formal theory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와 아울러 '공익산출'이론의 논리적 구조가 왜 권력집중 문제를 설명하는 데 유용한가를 제시해 보이려 한다. 제4장에서는 공익산출이론으로 부터 주요가설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즉 불신풍조의 문제가 왜 권력집중 현상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논리적으로 논한다. 또한 그러한 논의에 대하여 가능한 경험적인 자료들을 동원하여 논의의 핵심을 이루는 주요 가설들을 검증한다. 제5장은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논의된 주요 골자와 발견들을 집중으로 논하게 된다. 주요 연구결과 및 그 결과의 정치적 의미(implication)가 논의된다.

      • KCI등재

        통섭의 시대 민속춤 즉흥의 창의성 연구 - 포스트모던댄스 즉흥과 비교론 -

        이남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통섭의 시대 민속춤과 포스트모던댄스의 즉흥 창의성 비교를 통해 한국적 통섭 방법을 제 언하고자 한 연구이다. 불확실한 현대에서 즉흥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과정 은 예술 분야에서 즉흥을 통해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과 흡사하다. 민속춤과 포스트모던댄스에서 나타 나는 즉흥의 강조는 곧 현재성에 대한 강조로 연결되어 관객을 무대에 참여하게 하는 즉흥 춤이 된다. 그런데 현재를 인식하는 관점의 차이에 따라 민속춤은 감성을 중심으로 흥과 신명을 중시하고, 포스트모 던댄스는 이성을 반대하는 방식으로 인식적 속성을 띤다.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민속춤은 단순미와 ‘무기교의 기교의 움직임’으로 기량의 역량을 조절하고 움직임을 향유하는 데 있어 모두의 춤이 되길 지 향했다. 포스트모던댄스는 이전에 무용 작품 움직임이 될 수 없었던, 일상 움직임을 통해서 ‘움직임 언어 의 확장’을 가지고 왔다. 민속춤과 포스트모던댄스의 현재성에 대한 강조로 즉흥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 하고 있지만, 그 현재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차이에 의해 지향성에 차이가 난다. 민속춤 즉흥 창의성 방식은 각각의 차이를 받아들이면서, 변화를 제어하는 것이 아닌 변화 자체가 되어 즐기는 것에 있었다. 서로 다른 분야와의 통섭이란 어려운 문제이다. 단순한 기술적, 기능적 접근이 아닌 다름을 통해 오히려 적극적으로 연희를 완성하는 민속춤의 특성은 통섭을 위한 한국적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의 방법으로는 민속춤과 포스트모던댄스의 즉흥을 살펴봄으로써 즉흥을 표현하는 방식을 파악하고 즉흥 의 기법이 되는 관객의 참여 움직임, 예술가의 움직임, 포스트모던댄스의 접촉즉흥을 민속춤 접촉즉흥의 방식과 비교의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그리고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한국만의 즉흥 창의적 특성을 파악하고 통섭과 관련해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Korean method of consilience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improvisational creativity of folk dance and postmodern dance in the era of consilience.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and showing creativity through improvisation in the uncertain world in modern society is similar to that of expressing creativity through improvisation in the art field. The emphasis on improvisation in folk dance and postmodern dance leads to an emphasis on presentness and becomes an improvisation dance that invites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stage. According to view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present, however, folk dance emphasizes fun and excitement centering on sensibility, and postmodern dance has cognitive properties in a way that opposes reason. In order to invite participation, the folk dance aimed to become a dance for everyone in enjoying the movement and controlling the competence of the skill with the simplicity of beauty and the “movement of the technique of non-technique” Postmodern dance brought 'extension of movement language' through daily movements, which could not have been a movement in a dance work in the past. The importance of improvisation is recognized as an emphasis on the presentity of folk dance and postmodern dance, but the goal differs by the difference in how to accept the present. By accepting the difference in folk dance’s improvisational creativity method, it does not control the change, but enjoy the change itself. Interaction with different fields is a difficult problem. The characteristic of folk dance that actively completes theatricals through a difference rather than a simple technical and functional approach, can be a Korean methodology for consolidation.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 인간 형상 제시양상에 따른 우리춤 특성 연구

        이남영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oduce the theatrical performances of prehistoric Korean dances an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it through the human figure presented on Bangudae Petroglyphs which can be said as the origin of Korean art. Focusing on directionality and plasticity found on the literatur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Bangudae Petroglyphs, the relationship to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frontality of the human figure is believed to have danced using the sacred tree and masks in the form of magician, shaman, and sorcerer who symbolize authority and power. Side facing emphasizes a behavior of human and can be thought with the tradition of Korean dance, where audience's participatory dance is important even in the field of religious rituals. Northern facing or rock facing can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summer solstice ceremony and temporality of night ritual. The natural movement of Korean dance rather than techniques and naturalistic aesthetic that emphasizes unending curve can be found in the Korean dan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late to the structure of Shinmyung Talchum (mask dance) and Madang Gut (shaman dance ritual) where artists and audiences make together through each independent story rather than narrative arc. The pres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can be understood. 본 연구는 우리 예술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반구대 암각화의 인간 형상을 통해 선사시대 우리춤의 연행적 모습을 재현하고 우리춤 특성을 밝히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문헌에서 나타난 반구대 암각화의 특성인 방향성과 조형성을 중심으로 우리춤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인간 형상의 정면성은 권위와 힘을 상징하는 주술가, 샤먼, 무당의 형상으로 우주목과 탈을 사용하여 춤을 추었을 것으로 본다. 측면성은 인간의 행위를 강조하는 것으로 종교적 제의의 현장에서도 관객의 참여적 춤을 중요시 여기는 우리의 춤 전통과 연관하여 생각해볼 수 있다. 암면의 북향은 죽음과 재생의 의례, 하지 제사, 의례의 밤의 시간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조형적 특성으로 기교보다는 자연스럽게 나오는 한국춤의 움직임과 끊이지 않는 곡선을 강조하는 자연주의적 심미관을 우리 춤사위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이야기의 기승전결보다는 각각의 독립적 이야기를 통해 예술가와 관객이 같이 만들어가는 신명의 탈춤과 마당굿의 구조와 연관할 수 있다. 이는 현재 한국춤의 특징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속곳춤의 인류학적 표현성 연구 - 빅터 터너(Victor Turner)개념을 중심으로 -

        이남영 한국연기예술학회 2023 연기예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빅터 터너의 통과 의례인 ‘분리-전이-통합’의 개념을 속곳과 관련된 의례의 춤에 대입하여 표현성을 연구하였다. 이는 획일화되는 세계 문화보편주의의 해결 방안으로 문화적 다양성과 예술현장 에서의 콘텐츠활용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속곳춤은 중심이 아닌 사회적으로 주변부인 여성의 춤이 자, 민중이 주체가 되는 춤이다. 하나로 수렴되는 현상을 분산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춤을 연구의 핵심 으로 삼았다. 속곳춤은 기본적으로 여인들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춤이다. ‘분리’의 단계를 만들어 내 는 춤의 대상은 마을의 안전을 해치는 도깨비, 원혼, 질병이다. 부정의 대상을 강압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적 생명성을 강조한 쫓아냄의 춤을 춘다. ‘전이’는 빅터 터너가 중요시한 의례 단계이다. ‘리 미날리티(Liminality), 커뮤니타스(Communitas)’로 경계, 반구조, 중간단계의 시공간이다. 이때 여성은 오 히려 사회적 억압의 기제에서 벗어나 여성성이 강화된 춤을 춘다. 그것은 사회적으로 드러낼 수 없었던 속옷을 드러내고 심지어 아랫 속옷을 위로 입고 춤을 추는 전복적 형상을 만들어 낸다. 커뮤니타스에서 좀 더 여성들의 집단성이 강화된다. 그 표현방식으로 남녀 모두에게 금기시 되는 피의 드러냄이다. 의례 에서 피는 부정과 오염이다. 하지만 속곳에 피를 묻혀 극단적 더러움을 표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여성의 월경을 연상하게 한다. 월경은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여성성의 상징이자 생명으로 인해 죽음이 공존 함을 드러낸다. 피 묻은 속곳을 디딜방아에 씌우거나, 막대기에 걸어 부정의 대상들을 쫓아내는 것은 여 성의 신성한 힘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통합’은 전이의 국면을 함께 경험함으로써 다시 돌아가게 되는 일 상은 다른 일상이 된다.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조한 여성들을 사회에 필요한 일원으로서 자긍심 을 느끼게 한다. 이 과정에서 의례의 엄격함보다는 모두가 참여하도록 한 의례의 간결함에 있다. 표현에 있어 단순함은 공감의 신명을 공유할 수 있는 힘이 된다. 본 연구에 나타난 특성을 통해 작품에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expressiveness by applying Victor Turner’s concept of ‘separation-transitionintegration’, a rite of passage, to a ritual dance related to a place. It aims to promote cultural diversity and utilization of contents in the art scene as a solution to global cultural universalism. Sokkgot dance is a dance of women who are socially peripheral rather than central, and a dance in which the people are the main actors. This dance, which has the power to disperse the phenomenon of convergence, was the core of the research. It is basically a dance in which women pray for the well-being of the village. The objects of the dance that create the stage of ‘separation’ are ghosts, spirits, and diseases that harm the safety of the village. It is a dance of exorcism that emphasizes feminine vitality rather than forcibly removing unclean objects. ‘Transition’ is a ritual stage that Victor Turner emphasized. ‘Liminality, Communitas’ is a boundary, semi-structure, and in-between time and space. At this time, women perform a dance that strengthens their femininity by breaking free from the system of social oppression. It creates a subversive figure that reveals underwear that cannot be revealed socially and even dances with the lower underwear on top. It creates a more feminine collectivity in the communitas. As a form of expression, it is the display of blood, which is taboo for both men and women. In ritual, blood is unclean and polluting. However, by expressing extreme uncleanness through the use of blood on the inside, it paradoxically evokes women’s menstruation. Menstruation is a symbol of femininity, capable of giving birth to life, but it also reveals the coexistence of death with life. Putting a bloody insole on a treadmill or hanging it on a stick to drive away the unclean is a way to reveal the power of feminine divinity. ‘Integration’ is a phase of transition that is experienced together, so that the routine that is returned to becomes a different routine. The women who have helped solve the village’s problems feel a sense of pride as necessary members of society. In this process, it is not the rigor of the ritual but the simplicity of the ritual that allows everyone to participate. Simplicity in expression is the power to share the mandate of empathy. It is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is study be utilized in artworks.

      • KCI등재후보

        대상관계이론을 통한 효명세자 궁중정재 창작 관계성 연구

        이남영 한국무용연구회 2010 한국무용연구 Vol.28 No.2

        In the history of Korean dance, the figure of Hyo Myoung Crown Prince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reference to the traditional palace dance. As a crown prince govern the country uncrowned in King Soon-Jo, he held 5 performances in a such a short period of time. This study is to shed light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not only the political reason, but also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at the object relationship theor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the individual for Korean traditional palace dance's origination reason by an extension of the society and individuals. As an ideal object, the traditional palace dance is used for the reinforcement of kingship and to realize such an ideal. In reference to the Practical Philosophy, the result that an independent spirit of arts for the traditional palace dance is involved and a period drawn out that the distinction of the traditional palace dance between Chinese music and Korean music is ambiguous. And as the bad object reversely, it could be understood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ior King Jeong-Jo and the obsession he should be a sage King. As an object to represent a filial piety more than King Jeong-Jo and claim as the artistic figure to show him as sage King, he used the traditional palace dance. Finally, the desire for art of Hyo-Myeong crown prince was the exciting destination. Therefore, Hyo-Myeong crown prince had a strong desire with the royal court event. Because the royal authority consolidation was important in that period but it was played a mixed pattern of the content and format 樂, 歌, 戱. By using various types of stage equipments & props, it was manifested as an artistic shape. 한국무용사에서 궁중정재와 관련하여 효명세자라는 인물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왕도 아닌 순조의 시기 대리청정을 하던 세자의 신분으로 3년 4개월의 짧은 기간 동안 5차례의 연회를 거행한다. 이에 정치적인 이유로써만이 아니라 개인의 의식과 무의식과의 관계성을 통한 대상 관계이론이라는 심리적 관점을 도입하여 사회와 개인의 연관선상에서 궁중정재의 창제 이유성에 대한 또 다른 관점으로 조명해 보았다. 효명세자는 이상적 대상으로써 왕권강화를 실현하기 위해 궁중정재를 이용하게 된다. 실학사상과 관련하여 궁중정재에 자주적인 예악관이 개입되고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분이 모호하게 되는 시기가 되는 결과를 도출한다. 그리고 역으로 거부하는 대상으로써 선대 정조와의 비교 및 성군이 되어야 한다는 강박증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정조보다도 더 효를 표상하고자 한 대상으로써 그리고 효명 자신이 성군임을 보이는 예악적 인물임을 표방하기 위한 대상으로써 궁중정재를 이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효명세자의 예술에 대한 갈망은 흥분시키는 대상이었다. 그러므로 궁중 정재를 통해 효명세자의 욕구를 드러낸다. 이에 근거는 왕권강화가 중요했던 시기이지만 왕권강화의 내용보다는 내용과 형식이 樂, 歌, 戱, 놀이가 혼합되는 양상이 연출되며 다양한 형태의 무대장치, 소품의 적극적인 활용 등 예술적인 모습으로써의 궁중 정재가 발현하게 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icacy of the Mixed Member Majoritarian System Under a Strong Presidency: A Korean Case

        이남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평화학연구 Vol.14 No.6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MMM system historically and empirically in order to estimate the MMM’s effect on the actual operations of the Korean political system. Three important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1) Do the electoral systems really affect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political system? (2) Does the MMM system really affect the party and legislative politics? (3) If not,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mpedes the electoral system effectiveness? It can be generally said that the Korean MMM system seems to help producing a two party system by the Duberger’s effects. However, anyone could not deny that even with a two party system, Korea is still undergoing all sorts of political sufferings including a continuing political unrest, frequent realignments among political parties, easily paralyzed national assembly, presidential dictatorship, and so on. Personalized and imperial presidential political powers have frequently crippled the legislative process by controlling most ruling-party members. Needless to say, the system of ‘checks and balances’ between president and national assembly has not worked properly. The study clearly showed that the MMM system failed to create the stability of the party system and to vitalize the National Assemb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