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 건축에서 건축적 유산(遺産)의 활용방식에 대한 연구 - 르 코르뷔지에 집합주거의 주요개념을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5

        It is clear that the new paradigms of housing and architectural types that Le Corbusier suggested have clear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specifically what his methods were while placing emphasis on the past things that Le Corbusier applied to cultivate and advocate this innovative think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extracting instances of architects making direct mentions of a certain architectural assets regarding work related to housing, and considering those application methods. Through an analysis, this study is to describe what kinds of the architectural assets, or methods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description, this study argues that architectural assets was applied in the housing compos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methodologies as the basis of an argument of design theory, as well as in the reinterpretation of values on housing. Lastly, this study notes that the majority of innovative thinking or architectural elements recognized as Le Corbusier created are rooted in the past, and that he always adhered to and embraced studies on things of old.

      • KCI등재

        르코르뷔지에의 창 이론에 나타난 건축적 함의 - 1920년대 주요 저작과 발표를 대상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2

        Le Corbusier's window theor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theories in modern housing. However, studies focusing on its whole context and meanings in detail are very limited. With this backgroun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implicit meanings in his all documents about window concepts, included in his major publications such as「Vers une architecture」, 5 points of new architecture etc. There are three steps. First, finding major ideas and background logic in his books. Second, analyzing the famous argument between Perret & Le corbusier about the window’s form. Finally, interpreting his intention of the horizontal window concept from the 1st & 2nd publications of 5 points. Through analysis, the full implication of the horizontal window and the glass wall concepts appeared.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window and the independent frames showed up. His concept of window is based on his anthropocentricism. And it is a way to approach to the perfection of house which is the ultimate goal. Especially, that means it is his social vision that any social class of people can have the favorable human living conditions by the common window module and the mass production housing.

      • KCI등재

        초창기 프랑스 사회주거에 나타난 기원적(起源的) 특성에 대한 연구 : 19세기 중반, 민간 선각자에 의한 실험적 사례를 중심으로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서민주거 연구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서민주거 유형으로 정착한 프랑스 사회주거 분야에 주목한다. 특히, 소수 선각자들에 의한 제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사회주거의 사상적 근간으로 작용할 만큼 영향력이 큰 초창기 사례를 대상으로 한다. 사례들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특징과 건축적, 운영적 실현방안 등의 고찰을 통해 오늘날 사회주거의 기원적 특성을 정의한다. 향후 서민주거 개발에 관련한 가치관을 환기하고 방향설정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연구 의의가 있다. 각 사례별 특징에 따라 분석관점을 달리하였고 비교를 통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공통 기준표에 따른 분류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파랑스테어, 시떼 나폴레옹, 파밀리스테어, 물루즈 노동자 주택단지 이상의 사례들은 공통적으로 박애주의에 입각한 민간의 노력이 사회적 진보를 이끌었다는 차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르 꼬르뷔제의 1920~30년대 집합주거 주동구성방식 연구 - 임메블르-빌라에서 제시된 초기개념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르 꼬르뷔제의 집합주거 대표작, 마르세이유 유니떼 다비따시옹(1946~52)은 흔히 현대 고층집합주거 유형의 효시라고 인식된다. 이 주동의 유형이 20년대 초의 그가 제안한 임메블르-빌라(Immeuble-Villas 1922,1925)로부터 본격적으로 발전된 사실 또한 잘 알려져 있다. 이 둘의 사이인 20~30년대에는 르 꼬르뷔제 작품전집 상의 목록으로만 한정했을 때, 건설된 6건을 포함한 총 19건의 집합주거계획이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 기간 동안 계획된 주동들에 주목, 그 구성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전반적인 주동 구성방식의 변화의 흐름과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로써 최초의 이론모델인 임메블르-빌라에 담긴 근대적 이상이 점차, 최종모델인 유니떼 다비따시옹의 구성을 갖추어가는 일련의 과정을 파악, 집합주거 주동의 실질적인 구현과정을 조명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르 꼬르뷔제 집합주거의 해석에 있어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Unité d’Habitation(1946~52), Marseille, which is the most well-known collective housing designed by Le Corbusier, is recognized as the first of modern high-rise collective housing. This housing type was also famously based on Immeuble-Villas(1922/1925), which he proposed in the early 1920s. Between the two periods, during the 1920s and 1930s, a total of 19 collective housing plans including six constructed ones are found in the list of the Le Corbusier’s works. Focusing on the housing planned during this period,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ions and understand the overall change and correlation with housing. This study will examine the progress in which the modern ideal shown in the first theoretical model, Immeuble-villas,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final model, Unité d’Habitation, and the practical process of housing implementation.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Le Corbusier collective housing and propose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프랑스 사회주거의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 80년대 이후 저가임대료주택(HLM) 단위주거의 공간구성개념을 중심으로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민간개발의 고급형 주택과 다르게 정부 주도의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거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전제로 한다. 때문에, 그 사회적 비중과 역할, 저비용 등의 특수 여건들로 인해 독특한 건축적 해법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대형 단위주거의 축소판과 같은 중소형 임대 단위주거를 어렵지 않게 접하게 된다. 이는 곧 공공임대주택 계획 시 전제가 되어야할 고유의 건축적 가치관과 구성 관점의 재정비가 필요한 상황임을 의미한다. 또한, 단위주거에서 추구해야할 공간적 가치와 거주의 궁극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성과가 희소한 데에도 문제는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시각의 확대를 통한 비교의 관점을 제시하고 자, 프랑스 저가임대료주택(HLM)의 단위주거의 공간구성에 주목하였다. 근대 이후 HLM은 그 전개과정에서 많은 문제들이 있어왔고 지금도 여전히 시행착오를 겪으며 개선책을 모색하는 중에 있다. 본론에서는 개발위주 주거정책의 대실패 이후 반성과 혁신의 70년대를 지나, HLM 단위주거계획에 나타난 주요 공간구성방식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정의하였다. 제시된 건축적 성과들에서는 공통적으로, 기본적인 삶의 질, 거주방식의 합리성과 자유로움, 거주에 관한 건축의 역할에 관한 성찰이 드러났다. 그러한 사고는 다양한 공간적 시도로 구체화되었고 그 해석을 통하여 HLM 단위주거에 반영된 건축적 주안점과 궁극적인 지향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의 관점이 도출되었다. 순수한 공간적 가치 추구, 주거를 통한 생활방식의 제시, 개별의 가치와 형평성 추구의 관점이다. 이 세 가지 지향점은 모두, 가진 자와 덜 가진 자 간의 소득 재분배 개념 즉, 사회적 연대의식이라는 사회주거의 성립이념에 근간을 둔 건축적 실천 방향이었다. 이 연구가 국내 공공임대주택 단위주거계획에 있어서 건축적 지향점 모색과 고유한 구성방법론의 정비를 위한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르 꼬르뷔제 집합주거에 나타난 사회적 작용 개념 연구 - 마르세이유 유니테 다비따시옹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6

        마르세이유 유니테 다비따시옹(Unité d’Habitation de Marseille, 이하 UM)은 르 꼬르뷔제의 작품 중 처음으로, 건축가 생전인 1964년에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잘 알려져 있듯이 UM이 오늘 날 현대 건축과 사회에 남긴 의미와 영향력은 기념비적이라 할 만하다. 이러한 평가는 단일한 집합주거동의 구성을 통해서 근본적인 인간의 거주와 생활, 공동체와 사회, 도시문제 등 매우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주거의 ‘사회적 기능’을 직접적으로 제시한 것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UM에 내재된 사회적 관계 측면에 주목하여, 그러한 작용이 구체적으로 UM의 어떤 부분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지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UM에 관한 해석의 폭을 확대하고, 궁극적으로는 국내 집합주거 연구에 있어서 주거구성방식이 주민은 물론 사회와 도시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비교와 점검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Unité d’Habitation de Marseille(UM)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among works of Le Corbusier(LC) in 1964 when the architect was alive. As it is well known, meaning and influence that UM left for today’s modern architecture and society is monumental. This assessment is from the direct suggestions of ‘social functions’ of very extensive and complex housing, such as fundamental human habitation and life, community and social and urban problems through composition of single clustered house. This study focuses on social relations which are inherent in UM and investigates which part of UM operates in which way in details. Through this, it became a chance to expand the width of interpretation on UM, an ultimate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for comparison and investigation for influence of residential construction on people, society and the city when it comes to study for domestic clustered house.

      • KCI등재

        르 코르뷔지에의 수평창 주장의 과정과 논거에 관한 연구 - 오귀스트 페레와의 창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1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3 No.2

        In the early 20th century, many architects presented new architectural styles in order to show freedom of architecture through independent frames of reinforced concrete, and since then, creative innovation has been emphasized in the same context until today. One of the leading figures who spearheaded such trends at the time was Le Corbusier. This study quoted and examined sequentially the overall arguments of Le Corbusier who debated with Auguste Perret on window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his overall arguments and the basis for each of them, the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vision is the primary purpose, and the provision of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fundamental meaning of windows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windows were the new tool of the time to him, which should liberate human beings, beyond just the device to provide light, wind and views required for life. In particular, to him, horizontal windows were the tool to realize anthropocentrism as well as the factor to determine architecture. Meanwhile, he pointed out the issue of following customs that could not accept the change in architecture including windows, and this is still a significant current issue to us.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an opportunity of contemplating over how to realize in our time Le Corbusier's belief that puts human beings first in architecture.

      • KCI등재

        르코르뷔지에의 대량생산주택 실험의 재해석 - 「건축을 향하여」에 수록된 1910~1920년대 사례를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2

        Le Corbusier's mass production housing experimen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important theories in modern housing. However, studies focusing on its whole context and meanings in detail are very limited. With this background,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terpret implicit meanings in his experimental cases of mass production housing, included in 「Vers une architecture」, focusing on specifically his arguments and basis of assertion. There are three steps. First, finding major ideas and background logic in the mass production housing theory. Second, analyzing each cases’ characteristics. Finally, interpreting his intention of the mass production housing experiment from classifying the cases by features and keywords. Through analysis, the meanings of the ‘standard’ and the ‘machine à habiter’ appeared. Also, the relation between the mass production and those two concepts showed up. His concept of mass production housing is a way to approach to the perfection of house which is the ultimate goal. The concept of ‘machine à habiter’ is a logical basis in order to assert the industrialization of construction and the necessity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housing. Especially, that means it is his social vision that any social class of people can have the same human living conditions by applicating the mass production housing theory.

      • KCI등재

        르 꼬르뷔제 집합주거의 주요 타입별 구성적 특징 연구 - 돔-이노 주택에서 마르세이유 유니테 다비따시옹에 이르는 주거타입들을 중심으로 -

        이길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5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7 No.6

        본 연구는 한국 집합주거의 문제에 보다 심도 있게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적 지식을 제공하고자, 그 근간을 이룬 당대의 외래 집합주거형식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하나의 단초로서, 서구 근대주거 형성에 있어서 가장 주도적으로 활동한 건축가 중 한명인 르 꼬르뷔제의 집합주거계획과 그 탐구과정에 주목 했다.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40여년의 연구과정에 나타난 주요 타입들을 추출, 각각의 구성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총 9가지의 주거타입을 분석한 결과, 주호와 주동 구성의 상호 연계성을 확인하였고, 구조와 건설방식, 공간과 도시조직으로서 주동 구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사고의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우리 주거문화에 깊게 영향을 미친 서구 근대 집합주거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 일차적 참고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gather background knowledge good enough to help any relevant fields to approach these housing-related issues in Korea even more profoundly, this study aims to improve understanding on collective housing types in different countries of these times which had worked as a foundation of housing in Korea. As way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e study first focused on Le Corbusier, one of the most proactive architectures who had mad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formation of contemporary housing in the West, and looked into his collective housing plan and investigation processes. The study then extracted these key types which are observed in his more than 40-year-process of research that had not been yet discussed in detail and investigated constructive features of each type. Findings of the analysis on a total of nine housing types revealed that main units are mutually connected to main blocks. The study was also led to better understanding not only on constructions and building methods but also on development processes of constant interest and thinking in regard to constructions of main blocks as space and city organizations. After all,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significant reference to help our understanding on constructions of the contemporary Western collective housing which had deeply influenced the housing cultur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