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입체조형` 수업의 활용재료로서 이쑤시개의 유용성 연구 -산업디자인학과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이길순 ( Lee Kil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목적은 산업디자인학과의 전공기초교과 `입체조형`에서 조형제작을 용이하고 흥미 있는 수업이 되도록 사용재료 및 제작방법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입체조형` 수업방법으로 이쑤시개 조형의 논리와 사례조사와 실험제작이다. 연구방법은 조형실험으로 수업에서 약 6.5센티 이쑤시개를 재료로 다양한 입체조형 제작을 했다. 본 실험을 위해 다음 조건을 설정했다. 1) 조형의 주제와 소재 사용은 자유이고 제한을 두지 않는다. 2) 재료사용은 주 재료는 이쑤시개이고, 보조 재료는 자유 선택이며 임의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표현계획이 가능하다. 3) 본 작업의 기대효과는 이쑤시개 사용의 조형표현 가능성 확장과 재료로서 유용한 방법적 경험이다. 이상 세 가지 목표와 조건에 따라 제작하고 학생의 소감과 지도교수의 직관적 분석과 평가를 하였다. 조형작업은 관찰이 중요하여 이를 경험토록 하였다. 결론으로 `입체조형`의 재료로서 이쑤시개 사용은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 근거는 이쑤시개의 `입체조형` 제작수업의 결과에서 나타났다. 이 제작수업에서 유용성의 효과는 1)입체조형 활용기법 발안능력 배양. 2)점, 선, 면, 괘 등 표현과 다차원적 조형표현, 감성가치의 경험. 3) 목재의 특성이해, 산업디자인전공 감각개발. 4)이쑤시개 활용성 확산 모색. 5)다양한 표현 가능성 인지. 6)조형과 가치개발의 필요성 인식. 7)창의성 유발 매체로서 인식 등으로 평가되었다. 물론 한계적 요소도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을 통하여 이쑤시개가 `입체조형` 수업의 재료로 유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a viable, yet fun and engrossing way of using materials and assembly methodology for the Dimensional Form class of the foundation year of industrial design majors. The scope of this paper covers the may usages of the toothpick as a basic element for such assembly and class assignments. The methodology to undergo such discovery was to give students toothpicks, roughly 6.5 centimeters long, and see how they approach this assignment. The following were considered in this observation: 1) no limitation on what the students could make, or add in materials 2) the main material used must be the toothpick with additional supportive materials added when it was felt useful to do so. 3) the expected outcome of this assignment was to see how creative students could be with a strictly limited set of materials. Based on the above three criteria, we asked for student opinions as well as the insight of instructors as well as their analysis. As form making relies heavily on observation it is also important that students practice and hone this skill. In conclusion, we found that using toothpicks for an assignment in the Dimensional Form curriculum was useful. The basis for such a conclusion is found in the final assignments conducted in that class. The findings are broken down as the following: 1) adapting skills learned during the assignment with increased observational skills 2) point, line, plane principles as well as multi-dimensional form-making and emotional experience 3) understanding wood as a form making material 4) the toothpick as a element to build and expand 5) alternate methods of expression 6) a need to express form in an accurate way 7) a viable method of creativity etc. There were of course, a few limitations discovered during this observation. Through this paper we would like to show the viability of the toothpick as a tool for understanding dimensional form.

      • KCI등재
      • KCI등재

        안경의 시대적 가치 확장과 디자인의 신 경향성 연구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현대 안경은 그 역할이 더욱 확장되어 본격적인 시대 가치를 표현하는 럭셔리 패션아이템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경이 사용되고 있는 실태를 배경으로 이 시대 안경디자인 경향성과 선호되는 안경브랜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간의 외양 표현을 촉진하는 안경디자인의 근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그 방법으로 명품안경 하우스브랜드에서 나타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성격이 다른 6개의 안경 하우스브랜드를 선택하여 디자인에서 표현된 브랜드정체성과 시대적 특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6개 안경 하우스브랜드 디자인의 특징적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안네 엣 발렌틴(Anne et Valentin)의 ‘LIBE A76’은 그로테스크와 엘레강스한 스타일과 청아한 색감 및 실루엣이 특징이고, 몬테로사(Monterosa)의 ‘Brig’은 놈코어((Normcore)의 절제된 세련미, 테오(Theo)의 ‘Shuffle’은 아방가르드한 실험성과 독특한 형태성을 보여 주었고, 린드버그(Lindberg)의 ‘Strip 9700’은 스마트 기술성과 편의성 및 국제적 어워드를 세계 최다로 수상 하였다. 크롬하츠(Chrome Hearts)의 ‘GITTIN ANY’은 프리미엄과 중세기풍의 예술성 그리고 부의 상징성이 특징이었고, 햅터(Hapter)의 ‘txt1001’은 이노베이션과 신소재 그리고 혁신적 시도 등이 특징이었다. 6개 안경브랜드의 사례에서 각각 특징 있는 디자인을 구사하며 독자적인 브랜드 정체성을 유감없이 시각화하여 보여주었다. 이러한 사례분석의 결론으로 안경은 기술보다도 패션이 더 중요한 성공의 요인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rn eyewear with expanded roles and function have become an authentic fashion icon representing “luxury” as expressing contemporary values in our soci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ferred brands and design trends based on the background of its usages in the contemporary era. The research also seeks recent tendency of eyewear that reflects a personal expression from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within high-end line of the house brand products. Total six brands of the different attribut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o approach findings of “brand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design trends.” The findings of the survey are; 1) ‘LIBE A76’ of Anne et Valentin brand appears its identity as being grotesque and elegant with pure colors and tones, 2) ’Brig’ of Monterosa brand shows restrained sophistication of the aesthetics, 3)’Shuffle’ of Theo brand experiments unique form and shape of Avant-Grade, 4)’Strip 9700’ of Lindberg brand received most awards on the smart technology and convenience 5) ’GITTIN ANY’ of the Chrome Hearts brand appears its characteristic as being represented for a premium and artistic value of Middle Ages era style and a symbol of wealth, 6) ’txt1001’ of Hapter brand innovated a new material. In conclusion, each brand shows its own identity and design through visual appearances. This finding underpins that consideration of the fashion style is more important than considering mechanical development for making the eyewear design successful.

      • KCI등재

        한국기초조형학회 성장기의 운영정책과 성과 고찰 - 2004~5년 실태를 중심으로-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한국기초조형학회는 1999년 7월 창립한 이후 13년을 지내오는 동안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빠르고 건실한 학술적 성장을 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는 학회창립 후 최단기간에 학술지 ‘기초조형학 연구’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승인되었으므로 이와 같은 평가는 적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학회의 창의적인 경영과 재정 건실성도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우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운영방법이 학회 가운데 모범적인 사례가 되고 있고 일부 다른 학회들이 운영을 모방을 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그래서 이러한 모범적인 성장이 어떻게 하여 가능하게 되었는지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학회는 성장기에 발전적인 사업정책을 펼쳤으며 그중에서 회원정보 명확화 추진, 학회 홈페이지 개선, 학술지의 연4회 증간 등을 정열적으로 추진하였다. 이 정책 추진의 성과로 학회의 성장이 도모되었다. 특히 소통을 잘 할 수 있는 인적요소는 학회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당 학회의 성장기 발전이 가능하였고 그런 환경 속에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업들이 유익하게 전개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당 학회가 성장기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것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은 후속세대를 위해서도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KSBDA) was founded in July 1999. Since then, KSDBA has recognized as its academic growth during 13 years, has been more robust and faster,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This Society journal ``Research of Basic Design & Art Studies`` was approved to listed journals by Kore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within the shortest period, after the founding KSDBA. In addition, This Society`s creative management and fiscal health are more superior, compared with other societies. Such management method of KSBDA is the best case about academic society management, and seems to be the case also appears to mimic the operation of othe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se exemplary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by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KSBDA`s management. And then evaluation will be needed to find out. Society has promoted growth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policies. The Society had propelled project and planned policy for internet site improvements, clarification of membership information and a journal published at four times during the year. This project had been pursued passionately, and Society had been made significant advances by this policy. In particular, the human elements that can communicate well, had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Society`s rapid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In such an environment, Society`s project which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had been deployed. This study has to research on per Society of the role as a catalyst in the development of growth. I just think it`s worthwhile for subsequent gener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동북아 디자인의 공통적 가치와 국제화 모색 -야나기 무네요시와 빅터 파파넥의 관점에 기초하여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1

        디자인과 공예의 개념과 성격은 기본적으로 민중의 생활과 기술, 풍속 그리고 내면세계가 담겨져 있다. 그리하여 이것을 용(用)과 미(美)의 가치로 표출한다. 특히, 전통공예는 각 나라나 민족, 지역에 따라 그 양태의 특성을 보이고 있고 한국의 공예도 이러한 점에서 역시 나름의 특징이 있다. 본 연구 중에서 공예에 관해서는 한국공예에 심취하여 많은 글을 썼던 일본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디자인은 그 특징에 따라 다양한 관점과 견해를 보일 수 있을 것이나 현대디자인에서 새로운 가치를 강조한 빅터 파파넥의 견해를 중심으로 상고하고 연구하였다. 오늘날 공예와 디자인은 인간의 진솔한 생활과 정신세계, 예술성 그리고 실용가치에 따른 민중생활의 표출 그리고 세계화와 지역성 확장, 보편성 문제 등 여러 가지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공예와 디자인분야에서 탁월한 식견과 판단을 가졌던 두 선각자의 혜안에 기초하여 동북아시아의 공예, 디자인이 국제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숙고하였다. 역사를 통해 본 공예, 디자인의 진정한 가치와 오늘날 발전하는 동북아시아의 민중들의 삶의 단면을 통하여 이 지역의 특징이 국제화 할 수 있는 가치를 모색하였다.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craft reflects the lives, culture, skills, and minds of the people who created them. Their values are expressed in usage and beauty. In particular, traditional craft shows unique characteristics of its nation, people, and region. Korean craft is also unique in its own way. In this study, research on craf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Yanaki Muneyoshi, a Japanese scholar who was fascinated by Korean craft and left numerous writings on the subject. As of design,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subject,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views of Victor Papanek, who stressed new values in modern design. Today craft and design represent many aspects of the world such as our daily lives, mindset, artistic valu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globalization. Based on the insights of the two pioneers, this study contemplates on ways to internationalize craft and design of Northeast Asia and seeks values that can be spread to the world through true historical values of craft/design and modern lives of Northeast Asian people.

      • KCI등재

        "기초조형학연구"지와 국내 조형예술분야 학술지간 비교 연구-한국학술지인용색인 영향력지수(IF)를 중심으로-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한국연구재단은 학술연구평가제도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 바 있으며 지금 학술활동의 평가에 대한 혁신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이유는 현재 학술지 등재제도는 다가오는 미래에 학술논문의 국제적 가치측정과 통용성에 문제가 있고 학술지간 수월성과 차별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이다. 그래서 이 제도를 계속 존속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우리나라 학문발전을 저해할 수 있어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이 새로운 변화는 학술연구평가 및 관리의 국제적 수준 향상에 고정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초조형학연구``가 조형예술분야 학문적 연구에 기여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당 학술지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여 선도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당 학술지가 국내 조형예술분야 타 학술지와의 영향력 비교를 통하여 현 상황을 측정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그 수준을 인지하게 되었다. 새로운 평가방법 도입으로 영향력지수(Impact Factor)는 학술지의 가치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으로 이에 대한 혁신적 관리가 현안 문제로 부상하게 되었고 아울러 ``기초조형학연구``가 변화하는 국제화시대 환경에서 조형예술분야의 영향력지수가 높은 저명학술지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had heralded the new changes of the academic research evaluation system. And NRF has being promoted to the new change for innovative improvement now. The reason of propulsion to improvement on this system was current academic journal registration system had to many matters on the international value measurement and common use on the future. And the matter point of this system is not to possible assessed accurately to differentiation factor and supremacy excellence respectively between many journals. So, If this evaluation system will used continually, perhaps this system will appear the side effect to growth for scholarly journal of our country. Therefore may be need to changes on this account. In other words, this new changes has fixed on international level growth of the academic research evaluation and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Bulletin of KSBDA`` has proved to contributed for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art and design field. And this research has presented to the way of the development capable of leading with adapt for the chang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was an opportunities to measure the current situation of Impact Factor compare with Korean art and design field journal. As the introduction of a new evaluation method, Impact Factor was have very important criterion to determine for the value of the journals. So impact factor has emerged as current problem for the innovative management. In addition, this study was presented the development plan that ``Bulletin of KSBDA`` can be high impact factor on the journals of Arts and Design field in Korea for changing to the globalize environment.

      • KCI등재

        프레스티지 제품의 가치추구의 특징과 조형적 차별성에 관한 연구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21세기 신흥경제대국 상위계층의 소비의 경향성이 고급화,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경제발전의 수혜자들인 이들이 부를 과시하며 값비싼 명품을 소비하는 세력으로 등장한 것이다. 이에 일부 중산층까지도 이러한 소비행태를 닮아가고 있다. 여성의 패션 아이콘이 가방이라면 남자의 패션 아이콘은 손목시계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아이콘을 활용하여 부를 과시하고 신분을 가장하는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손목시계는 더 이상 실용적인 아이템이 아니며 단지 액세서리이다. 그럼에도 올해 국내 주요백화점과 시계점포에서 남성 손목시계의 매출이 크게 늘어났다. 이점이 현대사회의 가치에 대한 관심을 집중하게 한다. 프레스티지 제품으로 남성 손목시계를 선정했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첫째, 상위 명품브랜드 가치의 정확한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명품디자인 및 상품조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명품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정체성을 탐색하며 소비자에게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게 한다. 둘째, 올해 미국인들이 가장 가치 있는 시계브랜드로 뽑은 IWC 시계를 집중 조명한다. 셋째, 명품이 추구하는 가치와 조형적 차별성을 비교하고 장래 국내 상품브랜드의 명품화를 어떻게 추구할 것인가 방안을 모색한다. 결론적으로 시대를 대표하는 상위계층의 정신적 가치와 삶의 양식과 방법이 표현되는 명품은 그 시대의 문화이며 이에 따라 미래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전개 될 것인지 숙고가 요청된다. The tendency of the consumption of the upper class in emerging economic powers in the 21st century pursues premium and differentiation. Those beneficiaries of economic growth emerged as powers consuming expensive luxury goods showing of their wealth. Accordingly, even some middle class resembles this consumption behavior. While women`s fashion icon is bags, men`s is watches. These people display their wealth using their icon and use it as a means of pretending their identities. Watches are no longer a practical item but just an accessory. Nevertheless, this year, the sales of watches at major department stores and watch shops in Korea have increased greatly. This draws attention to the value of contemporary society. Men`s watch was selected as the prestigious product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focused on the exact evaluation of the value of the top luxury brands. Then, it examines precedent studies on luxury design and product forms, compar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uxury goods, explores their identities and finally provide consumers with accurate knowledge. Second, the spotlight is shed on IWC watch picked up as the most valuable watch brand by Americans this year. Third, it compares among the values the luxury goods pursue and their differentiation, and seeks for plans of how to add values to domestic brands in the future. In conclusion, luxury goods through which the mental values, the modes and ways of life of the upper class representing the time are expressed, are the culture of the time and accordingly, considerations on how the paradigms of the future will develop a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