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꼼수현상”이 그려내는 문화정치의 명암

        이기형(Kee-Hyeung Lee),이영주(Young-Joo Lee),황경아(Kyong-Ah Hwang),채지연(Zi-Yeon Chae),천혜영(Hye-Young Cheon),권숙영(Sook-Young Kw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팟캐스트 프로그램 〈나는 꼼수다〉가 한국사회에 제기한 물음과 도전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기존의 미디어양식과는 매우 차별화된 방식으로 〈나는 꼼수다〉는 정치사회적인 쟁점들을 개입적으로 조명했으며, 이 과정에서 기성의 언론이나 담론생산자들과는 매우 차별화되고 대안적인 접근과 더불어, 구성상의 새로움을 발현한 바 있다. 직설적이고 도발적인 발화와 강한 풍자성, 그리고 이른바 팩트와 가설 사이를 오가며 던지는 추정과 정치권력에 대한 비판과 희화로 특징을 들 수 있는 〈나는 꼼수다〉라는 신생 커뮤니케이션 양식의 부상과 위력은, 수용자대중과 전문가 집단 그리고 정치인들에게 매우 강한 인상을 남겼다. 특히 제도언론이 충분히 역할과 소임을 수행하고 있지 못한 국면에서, 또한 정치권력의 언론장과 공공영역에 대한 압박과 통제가 작동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나는 꼼수다〉는 기성의 언론과는 매우 차별화된 방식으로 정치사회적인 이슈들을 다루었으며, 이러한 대항적인 역할은 다수의 수용자들의 관심과 지지를 끌어내기도 했다. 한편 이 프로그램이 발휘하는 “정치적인 편향성”을 숨기지 않고 강하게 드러내는 관점의 표출 그리고 거칠고 파격적인 어법은 상당한 수준의 논쟁과 논란을 생성하기도 했다. 이 연구는 텍스트분석과 기사분석, 그리고 서면 인터뷰의 방식을 혼용함으로써, 〈나는 꼼수다〉의 정치사회적인 기능과 담화의 매개체로서의 역할, 그리고 이 프로그램의 성취와 한계에 대하여 성찰적인 방식으로 조명하고자 시도했다. 〈Nanen Ggomsuda or I am a Weasel〉 is a radically different communicative form in several ways. It innovatively utilizes podcast, a kind of internet radio format while dealing actively with thorny political issues and scandals in much direct and challenging fashion. Also this program adopts politically-charged parody, sharp critique of current socio-political issues, as well as lively dialogues through which the program provides both acute political awareness and entertainment. As a new kind of talk show and an alternative media form, this program has gained much popularity and attention since its appearanc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journalistic fields and public spheres are in disarray through the government intervention and wrought with fierce partisanship and political polarization, the role of this program needs to be examined both cautiously and contextually. This study aims to shed some lights on the multifaceted and much contentious role of 〈Nanen Ggomsuda or I am a Weasel〉 through a textual reading and discourse analysis, as well as email interviews.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연구를 위한 제언: 현장연구와 민속지학적 상상력을 재점화하기

        이기형(Kee-Hyeung Lee),임도경(Do-Gyeong L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4

        이 글은 문화연구가 전통적으로 중요한 방법론으로 운용하고, 다수의 문화연구자들에게 이론적 측면에서도 커다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참여관찰, 현장연구, 그리고 민속지학 방법론의 함의를 비판적이고 자기성찰적인 방식으로 재론하고자 한다. 특히 문화연구의 외부에서 수행된 《도시빈민의 삶과 공간》이라는 작업을 방법론적 측면의 예시물과 매개물(catalyst), 그리고 비교의 잣대로 삼아서, 그간에 도시공간과 ‘현장’을 다룬 문화연구의 한계를 비판하고, 현장연구가 나아갈 방향성과 참고할 방법론적 단서들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Urban space and place have been the recurrent subjects of intellectual and critical inquiry for cultural studies scholars in Korean since the early 1900s. Though they have provided new ways of understanding the roles of urban space and place, cultural studies' approach to the politics of space, place, and social spatialization has been much lacking in presenting more concrete location studies, empirically rich interpretive methods, and critical awareness about the social others. This study attempts to criticize such a collective trend as well as reintroduce the role of location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ethnographic analysis into the communicational cultural studies in a self-reflexive way. Especially by reviewing and utilizing a pioneering work 'The Lives and Space of the Urban Poor' as an intellectual catalyst,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location and ethnographic analysis in the contemporary setting.

      • KCI등재

        문화연구와 공간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8 언론과 사회 Vol.16 No.3

        공간과 장소라는 개념은 문화연구가 문화지리학, 사회학, 인류학과 더불어 현재 상당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갖고 천착하고 있는 테마이다.이 글은 공간과 장소가 발현하는 ‘시학’과 ‘정치학’을 다양한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데이비드 하비와 마누엘 카스텔로 대표되는 공간의 생성과 변화를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거시이론과 공간을 인류학적인 탐방기와 문학적인 몽타주의 일종인 ‘만보객 되기’로 접근하는 벤야민적 접근법과 공간과 기억을 연계시키는 자전적인 글쓰기와의 접합을 통해서, 이 글은 문화연구가 공간관련 문제틀을 천착하는 하나의 사례와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Space and place have been familiar cross-disciplinary constructs which cultural studies, cultural geography, sociology, and anthropology have wrestled with for years. As the so-called "spatial tum" emerged in human sciences, space-conscious frameworks and spatial concepts have become new and challenging analytic tools for many cultural critics and cultural studies practitioners. This article deals with such contested terms as space, place, and geographical imaginations mainly through autobiograph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By selectively utilizing highly influential frameworks by David Harvey, Walter Benjamin, and others as well as bringing out autobiographical narration of urban memories, this article attempts to make sense of why spatial analysis and geographical understandings matter to cultural studies. This article also presents both visual analysis of cityscape and case study of particular urban forms in order to illuminate alternative ways of interpreting, researching, and imagining the multifaceted roles of urban space and place within particular contexts.

      • KCI등재

        매체 환경 변화 속 신문 ‘문화 저널리즘’의 현황과 명암

        이기형(Kee Hyeung Lee),김세은(Sae Eun Kim),김경희(Kyung Hee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3

        ‘문화’와 ‘저널리즘’이라는 대상을 긴밀하게 연계시키고 그 복합적 함의를 다각도로 진단하는 작업은, 상당한 함의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언론학 영역에서 그리 활발하게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그러한 ‘공백’과 ‘결여’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언론사 문화부 기자들의 활동상을 중심으로 문화 저널리즘의 현황과 역할을 세밀하게 풀어내는 데에 있다. 연구진은 문화 저널리즘에 관한 정의 내리기의 어려움, 분석 범주의 복합성, 수행 가능한 주제 영역과 연구방식의 선정,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대안 등과 같은 문제의식을 고려하여, 연구의 범위와 대상을 주요 일간지 문화부 소속 기자 16명으로 삼았다. 특히 이들의 축적된 경험과 자신들의 작업에 관한 평가, 언론사 내부의 인적·제도적인 관행에 관한 인식, 그리고 이들이 대면하는 다층적인 압박과 난점들을 ‘근접해서’ 수렴하고 진단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이들은 언론제도 내부의 구성원이자 전문 인력으로서 자신들의 작업의 질과 전문성에 관해 일정한 자긍심과 긍정성, 그리고 보람을 표출했다. 이와 동시에 이들 중 상당수는 사내에서 문화부를 핵심이 아닌 주변적이며 보완적인 부서로 인식하는 관행과 인적 지원의 미비 등으로 인해 문화부의 위상과 입지가 크게 높지 않으며, 그에 대한 제도적인 해결책의 모색이 쉽지 않은 일련의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문화부 기자들은 매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또한 온라인 공간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는 비평가와 블로거, 비판적인 안목을 가진 독자들의 영향이 크게 강화됨으로써, 신문이 주도해오던 문화 저널리즘의 위축을 강하게 체감하며 또한 우려하고 있었다. 특히 연예 기사들의 범람과 확장된 상업성의 영향 등으로 인해 문화부 기자들이 과거에 향유하던 위상이나, 섭외·취재 대상과 관련된 ‘접근성’과 ‘독자성’ 등이 상당히 도전받고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문화부 기자들이 겪고 있는 수행적인 어려움과 상대적인 무력감 또한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문화 저널리즘의 조직적인 개선과 질적인 심화를 위해서는 선이 굵은 문제의식의 결집과 능동적인 구현, 그리고 문화 영역 내 주요 이슈들에 관해 더욱 진전되고 숙성된 분석과 대안성의 추구가 활성화될 필요성이 매우 크다. Cultural journalism has been rarely conceptualized, explored, or evaluated in the field of Korean media and journalism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ing conditions in which cultural journalists of Korean major newspapers are located, and intends to analyze the professional values they uphold amidst the turbulent media environment.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have been utilized in an attempt to fill in the conceptual vacuum.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the journalis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the changing fabric of their roles, as well as the collective pressure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report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a number of these journalists are seriously concerned about the lack of institutional interest and support, although they are facing extreme competition with various internet-based media and power bloggers that challenge their traditional authority. This study presents scholarly observations and suggestions that can be crucial resources for future cultural journalism.

      • KCI등재

        청년주체들의 ‘자기소개서’ 작성을 중심으로 한 구직 경험의 문화적인 분석

        이기형(Kee-hyeung Lee),송동욱(Dong-Wook Song),구승우(Seung-Woo Koo),정준(Jun Jeong),김지수(Ji-Su Kim),이단비(Dan-Bi Lee),박주화(Ju-Hwa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2 No.4

        주지하다시피 현재 한국사회 내 대다수의 청년주체들은 취업과 관련하여 "개미지옥"이라는 표현이 단순한 은유를 넘어 구직의 특성을 체화하는 현실 속에서 절박하고 불안한 삶을 영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자기소개서’ 작성과 구직에 관한 청년세대의 구체적인 체험과 판단을, 특히 이 과정을 복합적으로 담아내는 자기기술지 자료를 매개로 한 상세한 문화적인 해독을 통해서 접근한다. 이 탐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불안정한 노동시장과 취업이라는 심각한 압박에 직면하고 있는 청년주체들의 인식과 경험 그리고 감정구조의 함의를 다면적으로 ‘읽어내려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러한 지적-비판적인 관심은 자기소개서의 복합적인 ‘사회적인 텍스트’로서의 위상과 쓰임새에 주목함과 동시에, 자기소개서를 쓰는 ‘불안의 주체’들에 관한 재귀적인 사유를 통해서, 자신의 모습과 기업에 의해 구성된 또 다른 ‘나’와의 균열과 간극을 마주하는 청년주체들의 현실인식과 고민을 ‘근접해서’ 포착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Job seeking for young adults after college in South Korea is much fierce and highly competitive. Many job seekers tend to experience despair, frustration, and insecurity in such a dire social situ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job seeking experiences of younger generation people by closely examin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s. This work pays keen attention to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portrayal of the applicants’ self-described activities in these forms of letters through a detailed textual and cultural analysis. In doing so, this analysis attempts to contextualize the complex structures of feeling for the part of young job seekers as well as various social factors and pressures that influence on them.

      • KCI등재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3

        지식생산 자체가 다변화되고 대중화되는 탈경계, 다매체, 탈전통화 그리고 세계화의 시대의 담론은 다양한 학문과 제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지식과 상징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힘이자, 이 시대의 대표적인 개념어다. 담론분석은 말과 사물, 문화와 권력작용, 그리고 제도적 실행이 결합되는 양상과 그러한 결합이 주는 효과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규명하려는 방법론이며, 인간과학의 전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준 ‘언어적’ 그리고 ‘문화적인 전환’을 강조하는 매우 특수한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담론분석이 중시하는 담론의 물질성과 사건성 그리고 권력작용과의 결합은 전통적 의미의 사회분석과 문화비평의 방식을 급격하게 해체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이 테마논문의 목적은 미셀 푸코의 담론개념과 그의 작업을 선택적으로 계승하는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aurse Analilysis)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현 단계 문화연구와 미디어연구 그리고 지식생산의 중요한 화두이자 주묘한 방법론으로 인지되는 담론분석을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다. Discour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cultural criticism and cultural studies. And yet its multidimensional use in different disciplines and genres tend to create some interpretiv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s. This paper aims to present several informed interpretations of what discourse means and does. It will also explore multiple ways discourse and discourse analysis have been adopted and employed in cultural studies and media criticism by focusing and elaborating on Foucault's work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홍대앞 “인디음악문화”에 대한 문화연구적인 분석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1

        홍대앞은 한국사회 내에서 흔히 독특한 “인디음악문화”의 본산이자, 청년세대가 여기시간을 보내는 클럽문화의 주요한 거점으로도 인식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질적인 연구방식에 속하는 참여관찰법, 특히 자기기술기와 인터뷰, 그리고 “민속지학적인 상상력”을 활용해서 홍대라는 특정공간을 매개로 형성되고 변화해온 인디음악문화의 결(textures)과 특성을 탐색하고 조명했다. 동시에 문화연구자가 이런 유형의 연구를 수행할 때 체험하게 되는 어려움이나 연구 과정상의 디테일한 측면들을 자기성찰적으로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홍대인디문화를 사례로 삼아서 수용자연구와 하위문화 혹은 인디문화연구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해온 “버밍엄 학파”주도의 영국 문화연구의 주요한 방법론과 개념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점검했다. This study explores “indie music culture” at the Hongdae area in Seoul through qualitative methods, especially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ethnographic imag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it examines the nature and shape of indie culture and the club scene that has emerged around the Hondae area; second, this study self-reflexively attempt to portray the procedural details of this research and describe lived experiences of a researcher that are gained in taking this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third,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and rethinks the much influential “Birmingham frameworks” as well as their usefulness and limits in South Korean context. In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local cultural studies practitioners a detailed case study and methodological reference point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