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산학에서의 예법과 인간 - 『소학지언』과 『심경밀험』을 중심으로-

        이기원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Jeong Yak-yong pursued moral training, principles, politics and state system reform by propriety while seeking the contents of spiritual training of the saint in Ye-ak(禮樂). After completing the study on Yukgyeong(六經) and Saseo(四書), he wrote 『Minor Anno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and 『Private Examination of Classic of the Mind』. In 『Minor Anno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and 『Private Examination of Classic of the Mind』, the methods and practices for inner and outer moral training are presented from the aspect of propriety. The adult's spiritual training that Jeong Yak-yong emphasized is the way humans should follow, and this way is based on propriety. The practical statement of ethics can exert its power when it is based on propriety. 『Minor Annotation of Elementary Learning』 focuses on the habituation of the propriety related to ‘Doye(道藝)’, and 『Private Examination of Classic of the Mind』 highlights the propriety for recovery to 'smart human'. Jeong Yak-yo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eing cautious when one knows alone(愼獨)' in internalizing propriety. 'Being cautious when one knows alone' is also established on the relations with others. Relations with others can be meaningful when they are proved to be actual through 'event(行事)'. He keenly realized the necessity of Confucianist(儒者) who acquired propriety in order to implement the politics by the propriety devised in Gyeongseseo(經世書). The Confucianists who acquired the propriety can have the status as those responsible for the society, culture and politics. 정약용은 성인의 도의 내용을 예악에서 찾으면서 예법에 의한 인성의 수신과 규율, 정치 및 국가 제도 개혁을 추구했다. 정약용은 육경과 사서 연구를 완성하고 난 후 『소학지언』과 『심경밀험』을 저술했다. 『소학지언』과 『심경밀험』에는 예법적 측면에서 심신의 내외적 수신을 위한 방법과 실천이 제시되어 있다. 정약용이 강조한 성인의 도는 사람이 따라서 가야하는 길인데 이 길은 예법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윤리 도덕의 실천적 언명은 예법을 근간으로 할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소학지언』은 ‘도예’와 관련된 예법의 습관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심경밀험』은 ‘영명한 인간’의 회복을 위한 예법을 강조했다. 정약용은 예법을 내면화할 때 신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신독 역시 타인과의 관계위에서 성립한다. 타인과의 관계는 ‘행사’를 통해 실제적인 것으로 드러날 때 의미를 갖는다. 정약용은 경세서에서 구상된 예법에 의한 정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예법을 체득한 유자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예법을 체득한 유자가 사회 문화와 정치의 담당자로서 위상을 가질 수 있다.

      • KCI등재

        이시다 바이간의 방법으로서의 ‘학문’과 심학― 체험적 신체지와 문답법을 중심으로 ―

        이기원 한국일본학회 2022 日本學報 Vol.- No.133

        Sekimon-sinngaku was founded by Ishida Baigan (1685-1744). Bai Gan communicated his ‘gae-o experience’ to the audience in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through ‘word of mouth’ rather than ‘text’. Baigan constructed ‘scholarship’ from the ‘listening side’ rather than the ‘speaking side’. With people, Baigan preferred ‘question and answer’ to ‘writing’. Baigan's early academic method involved reading of the Confucian scriptures. Later, it was transformed into the method of telling ‘story’ which then developed into the form of ‘do-wa(道話)’. What Baigan wanted to convey through ‘study’ was ‘knowing the heart’. All the things comprised the original 'form' created in heaven. In such ‘form’, there was a distinction between status and position. Baigan's emphasis on ‘form is the mind’ was a basis for fulfilling one'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such a reality rather than trying to escape from the life situations of the pre-modern commoners. In this respect, Baigan's ‘study’ can be said to be a methodological principle that strives for self-realization through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position of ordinary people. 석문심학(石門心學)은 이시다 바이간(石田梅岩, 1685 1744)에 의해 개창되었다. 바이간은 자신의 ‘개오체험’을 ‘문자’가 아닌 ‘음성언어’에 의한 문답의 형태로 청중들에게 전했다. 바이간은 ‘글쓰기’ 보다는 사람들과 ‘문답’하는 것을 선호했다. 바이간은 저술보다는 문답에 의한 강석으로 ‘개오체험’을 전했다. 바이간은 ‘문자’ 보다는 ‘음성언어’가 ‘개오체험’을 전하는데 더 효과적이라 판단한 것이다. 바이간의 초기 ‘강석’은 유학의 경서를 독해하는 정도의 수준이었지만 후에 ‘이야기’를 도입한 방식으로 변모하였고 이후 ‘도화’의 형태로 발전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바이간은 ‘학문’을 ‘말하는 쪽’에서가 아니라 ‘듣는 쪽’에서 구성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간은 ‘듣는 쪽’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여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을 구성한 것이다. 바이간이 ‘학문’을 통해 전하고자 한 것은 ‘마음을 안다’는 것이었다. 모든 사물은 하늘이 낳은 본래적 ‘형태’가 있다. 이 ‘형태’에는 신분과 직분의 차이와 구별이 있다. 바이간이 강조한 ‘형태가 마음’이라는 언설은 전근대 서민들이 처한 삶의 상황을 이탈하거나 벗어나려는 것 보다는 그러한 현실 안에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감당하는 근거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바이간의 ‘학문’은 서민들의 현실적 위치와 자각을 통한 자기실현에 매진하는 방법적 원리라 할 수 있다.

      • 대학교육의 국제화 전략 영향도 분석

        이기원,서의호,홍대근,이수철 대한산업공학회 2011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국제화의 영역이 기업을 넘어 대학에까지 확대되면서 현재 많은 국내 대학들은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화 전략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대학이 국제화 전략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 분석을 수행하지 않고 과제에 착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화 전략이 대학교육 국제화 수준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국제화 전략 수립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수행중인 국제화 전략을 교육요소 관점에서 파악한 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을 개발한다. 설문 조사 및 통계적인 분석을 연구 모형에 적용하여 국제화 영향도를 도출한다. 국제화 영향도는 요인 분석을 통해 총 17개의 전략을 연관성이 있는 3개의 요인으로 분류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을 바탕으로 계산한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대학교육 국제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국제화 전략의 효과적 수행에 기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