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표면균열무해화 기법에 의한 SKD61의 신뢰성 향상

        이금화,구경희,김재훈,윤서현,권영국,남기우,Lee, Gum-Hwa,Gu, Kyoung-Hee,Kim, Jae-Hoon,Yun, Seo-Hyun,Kwon, Yung-Kug,Nam, Ki-Woo 한국산업융합학회 2022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5 No.5

        Using the fatigue limit (△σ<sub>unsm</sub>) and residual stress (σ<sub>r</sub>) of the UNSM smooth specimen, the harmless maximum crack depth (α<sub>hml</sub>) according to the crack aspect ratio (As) was evaluated. α<sub>hml</sub> evaluated the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crack depth (α<sub>NDI1</sub>, α<sub>NDI2</sub>) detectable by nondestructive inspection(NDI) and the crack depth (α<sub>25</sub>, α<sub>50</sub>) that reduces the fatigue limit by 25% and 50%. All α<sub>hml</sub> was determined by the crack depth. The α<sub>hml</sub> of 80N UNSM with high σ<sub>r</sub> and high △σ<sub>unsm</sub> was found to be large. σ<sub>r</sub> in the depth direction had a much effect on α<sub>hml</sub>. Since α<sub>hml</sub>>α<sub>50</sub>(As=0.6-0.1) and α<sub>hml</sub>>α<sub>25</sub>, α<sub>25</sub> and α<sub>50</sub>(some range) can sec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Since α<sub>hml</sub><α<sub>50</sub> (As=1. 0-0. 6), it cannot be made harmless by UNSM. So safety and reliability cannot be secured. α<sub>NDI1</sub> and α<sub>NDI2</sub> are larger than α<sub>25</sub>, α<sub>25</sub> cannot be detected by NDI. α<sub>NDI1</sub> and α<sub>NDI2</sub> are smaller than α<sub>50</sub>, α<sub>25</sub> can detected by NDI.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정보교육 도입에 관한 교사 인식 분석

        이금화,전우천 한국정보교육학회 202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6 No.4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of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for lower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Before conducting survey, analyzing overseas and domestic researches were preceded.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of 166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ter verification by an expert group. As a result, contrary to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to be strengthened, teacher’s stagnant negative perceptions could be confirmed through various measurement variables. Before the introduction of a new national curriculum in 2024, it is a time when efforts to improve teacher’s perceptions of information education for lower graders are particularly necessary.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발표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강화되는 정보교육의 기저에 발맞추어, 일각에서 꾸준히 제기된 저학년 정보교육 필요성과 도입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저학년 정보교육에 관한 해외사례를 탐구하고, 2022 개정 정보과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개편안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여, 저학년 정보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조사 문항을 설정할 수 있었다. 설문 문항은 전문가 집단의 검증 후, 166명의 현직 초등교사의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강화될 정보교육 교육과정 기저와는 반대로 교사들의 정체되어있는 부정적 인식을 여러 측정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2024년 초등 1∼2학년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도입되기 전, 저학년 정보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개선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평북 방언 친족어 연구 - 초산지역어를 중심으로 -

        이금화 한국방언학회 2014 방언학 Vol.0 No.19

        This study is on the kinship of Pyeonganbuk-do, North Korea, when speaker is a man of father’s side. The study divides the kinship into father’s side, mother’s side and wife family’s side, and then examines the designated language and the appellative language.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used in the family when speaker is a younger one. Generally, designations and appellatives of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prefix+root’. ‘no/jing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hree generations above in father’s side while ‘kojo+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four generations above. ‘no/jingjo-’ and ‘kojo-’ are prefix. ‘keulmani’ is the wife of one’s bother who is called as ‘keulabaji’. Prefixes as ‘keun-, tulchae-, sichae-, jageun-’ which express the order are attached to ‘keyumani’, and it’s used just accroding to age. Prefix ‘keul-’ is attached to base ‘abaji’ which expresses two generations before speaker while ‘nat/keun+abaji’ is used for whome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wae-’ attached to root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mother’s side while ‘wae+samchun’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speaker. Prefix ‘kasi-’ attached to base ‘keulabaji’ is used for whom is two generations above speaker in wife family’s side while ‘kasi+abaji’ is used for whom is one generation above ‘kasi+abaji’. ‘cheo+heong/je’ is for whom is the same generation as speaker. In the same generation, only the wife of one’s borther has an appellative, others is called as ‘name+a/ja’and this will be changed into ‘Xfather’ or ‘Xmother’ after they marry and have a child. Appellatives of kinship in this dialect are composed of native words and Sino-Korean words. In father’s side or wife family’s side, natives words are used a lot while Sino-Korean words are substantialy used in mother’s side. Relatively more formal appellatives are used for wife family’s side which keeps the most distant relationship. It is same for people who enter family through marriage. For example, a bother is called as ‘name+a/ja’, but when the wife of one’s bother is called as ‘desu’ and suffix ‘nim’ must be attached to ‘desu’. 본고에서는 평북 초산 지역어의 친족어 중에서 화자가 남자일 경우의 친족어만을 논의한 것으로 부계 친족원, 모계 친족원, 처계 친족원으로 나누어 그 호칭어와 지칭어를 각각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지역어의 친족명칭 중에 호칭은 우선 화자보다 손위인 친족원에게 사용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 지역어의 친족원의 호칭어와 지칭어는 ‘접두 요소 + 어기’로 구성되어 있다. 부계 친족원의 3대 위인 경우에는 ‘노/징조+클아바지’, 4대 위인 경우에는 ‘고조+클아바지’로 사용된다. 여기서 ‘노/징조’와 ‘고조’가 접두요소에 해당한다. ‘클아바지’의 남자 형제와 그 배우자인 ‘클마니’는 일반적으로 앞에 ‘큰-, 둘채-, 시채-, 작은-’과 같은 접두요소를 붙여 순서를 식별하고 하는데 여기에서는 화자 ‘클아버지’의 형이냐 동생이냐에 관계없이 나이 순서대로 한다. 화자 2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클-’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클+아바지’로 사용되고 화자 1대 위는 접두요소로는 ‘맏/큰-’과 어기 ‘아바지’로 구성되어 ‘맏/큰+아바지’로 사용된다. 모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왜+클아바지’로 되며,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삼춘’이 사용되어 ‘왜+삼춘’으로 된다. 처계 친족원의 화자의 2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클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클아바지’로 되고, 화자의 1대 위에서는 접두요소로 ‘가시-’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아바지’가 사용되어 ‘가시+아바지’로 되며, 화자와 같은 세대에는 접두요소로 ‘처-’가 사용되고 어기로는 ‘헝/제’가 사용되어 ‘처+헝/제’로 된다. 다음으로 항렬이 같은 세대일 경우에는 동생의 배우자만이 호칭을 가지고 그 외의 친족원은 ‘이름+아/야’로 호칭을 하다가 결혼하고 자녀가 있으면 모두 ‘X아바지’나 ‘X오마니’로 호칭을 바꾼다. 이 지역의 친족명칭은 모두 고유어 명칭과 한자어 명칭으로 구성되는데 부계 친족원이나 처계 친족원에서는 고유어 명칭이 훨씬 많고 모계 친족원에서는 이와 달리 한자어 명칭이 더 많다. 또한 친족 중에서 가장 소원한 위치에 있는 처계의 친족원에 대해 부계나 모계의 친족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격식을 차리고 혼인에 의해 외부에서 들어온 친족에 대해서도 더 격식을 차려 직접 이름을 부르는 경우가 없다. 예를 들어 ‘동생’은 ‘이름+아/야’로 호칭, 지칭하지만 ‘동생’의 배우자는 지칭일 때는 ‘데수’라고 하고 호칭일 때는 꼭 ‘님’을 붙여 ‘데수님’이라고 한다.

      • KCI등재

        평북 <초산>지역어 활용어간 형태소의 유형

        이금화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이 글의 목적은 <초산>지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소 유형을 밝히는 것이다.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의 결과가 타당함을 밝히려면 설정된 기본형태소로부터 모든 이형태들을 합당하게 밝힐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최명옥(2005, 2008)에서 제시한 형태소 설정기준에 따라 단일형태소와 복합형태소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우선 이 지역어의 단일형태소에는 단일 자음 /X{ㅂ, ㅍ, ㅁ, ㄷ, ㅌ, ㅅ, ㄴ, ㄹ, ㅈ, ㅊ, ㄱ, ㄲ, ㅎ, ㆆ}-/으로 끝나는 14가지, 자음군 /X{ㅄ, ㄵ, ㄾ, ㄼ, ㄻ, ㄺ, ㄶ, ㅀ, ㅭ}-/으로 끝나는 9가지, 모음 /X{이, 에, 애, 으, 어, 우, 오, 아}-/ 으로 끝나는 8가지 유형이 있음을 밝혔다. 다음 복합 형태소에는 /X{ㅂ-ㅜ}-, X{ㄷ-ㅭ}-, 같{ø-ㅐ}-, X{ø-ㄹ}르-, Xㅎ{ㅏ-ㅐ}-, X{ㅍ,ㅃ}{ㅜ-ㅡ}-, Xㄹ{ㅜ-르}-/ 등 7 가지가 있음을 밝혔다. 이 글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이 지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소의 유형을 밝혔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고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공시적 음운과정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stem’s conjugation of Chosan dialect from the perspective of synchronic morphology. In order to be valid, one must be able to reasonably explain the derivation of all these forms of morphemes and established morphemes. The standards for setting up morphemes, which were proposed in Choi(2008), were used in this paper. The monomorphisms of this dialect include 14 morpheme types ending with a single consonant /X{ㅂ, ㅍ, ㅁ, ㄷ, ㅌ, ㅅ, ㄴ, ㄹ, ㅈ, ㅊ, ㄱ, ㄲ, ㅎ, ㆆ}-/ and nine morphological types ending in the consonant group /X{ㅄ, ㄵ, ㄾ, ㄼ, ㄻ, ㄺ, ㄶ, ㅀ, ㅭ}-/. And eight morphological types ending in vowel /X{이, 에, 애, 으, 어, 우, 오, 아}-/ together with seven complex morphological types /X{ㅂ-ㅜ}-, X{ㄷ-ㅭ}-, 같{ø-ㅐ}-, X{ø-ㄹ}르-, Xㅎ{ㅏ-ㅐ}-, X{ㅍ,ㅃ}{ㅜ-ㅡ}-, Xㄹ{ㅜ-르}-/.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ypes of the stem’s conjugation of Chosan dialect which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and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discuss the synchronic phonological process based on the phoneme list.

      • KCI등재

        중국의 조선어 방언 구술발화 조사 및 연구- 평안북도 방언화자를 중심으로-

        이금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ich are typical during all the investigating materials until now, and then discusses the importance of oral utterance investigation materials as well as dialect features of relevant material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Korean dialect started from 1960s in China and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with little study of oral utterance relatively. Because of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in the late 1970s and urbanization process, traditional Korean group residences became hollow rapidly and began to disintegr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 dialects, having transmission of for a long time, dissipated due to the inflow of South Korean. So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record the materials which may cease to exist forever if we do not collect them right away. The oral utterance materials are the contents that native speakers spoke in a natural state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but also in discourse study. The paper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and searches dialect features. I think it may be beneficial for foundation of dialect study by reviewing the distribution and aspect of investigation generally. Also, the stories of informant's life display the arduous history of Korean nation so they may be an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4-phenylbutyric Acid Regulates Collagen Synthesis and Secretion Induced by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이금화,오효원,Hyun-Dae Lim,Wan Lee,채한정,Hyung-Ryong Kim 대한약리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15 No.6

        High glucose leads to physio/pathological alterations in diabetes patients. We investigated collagen production in human gingival cells that were cultured i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Collagen synthesis and secretion were increased when the cells wer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We examin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response because glucose metabolism is related to ER functional status. An ER stress response including the expression of glucose regulated protein 78 (GRP78),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inositol requiring enzyme alpha (IRE-1α) and phosphor-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alpha (p-eIF-2α) was activated in the presence of high glucose.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4 (ATF-4), a downstream protein of p-eIF-2α as well as a transcription factor for collagen, was also phosphorylated and translocalized into the nucleus. The chemical chaperone 4-PBA inhibited the ER stress response and ATF-4 phosphorylation as well as nuclear transloc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induced collagen are linked to ER stress and the associated phosphorylation and nuclear translocation of ATF-4.

      • KCI등재

        의주 지역어의 피동사와 피동접미사에 대하여

        이금화,CUI XIAOJUAN 한국방언학회 2018 방언학 Vol.0 No.28

        This paper has discussed features of passive verbs possessed by dialect of Uiju, Pyeonganbuk-do, mainly in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spects. The derivation of passive verbs show distinct differences from the Junbu dialect(Central dialect) in the list of suffix and combination of base and suffix. There are some passive expressions which should be based on ‘-ʌ ʨida’ in the Junbu dialect. However, in the Uiju dialect, these passive expressions realized by suffix derivative. In other words, these verbs get out of the restrictive formation condition of passive verbs in the morphological aspect, and in syntactic aspect many examples have been found in the environment that has no relation with passive sentences. For example, ‘algida(alda, to know)’, ‘ʃitk’iuda(ʃitk’ida, to wash)’, ‘malliuda(mallida, to air)’ and so on. The passive suffixs combine with base based on the phonological condition of its final phoneme or the morphological condition, though there are a few exceptions. 본고에서는 평안북도 의주 지역어의 피동사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주로 음운 및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 지역어의 피동사 파생은 접미사의 목록으로부터 어기와 접사의 결합에서 모두 중부방언과 큰 차이를 보였다. 중부방언에서라면 ‘-어지다’에 의하여 피동 표현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도 이 지역어에서는 접미사 파생어에 의하여 피동표현이 이루어졌고 일부 피동사는 대응되는 능동사가 없어 원래 피동사의 파생이 될 수 없는 환경에서도 형성되었다. 즉 형태론적인 면에서는 피동사 형성의 제약 조건에서 벗어나 있고, 통사론적인 면에서 피동사 구문과는 무관한 환경에서 쓰이는 예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면 ‘알기-(알다, 知)’, ‘싳기우다(씻기다, 洗)’, ‘말리우다(말리다, 乾)’ 등이 있다. 피동접사는 소수의 예외가 있기는 하였지만 어기 말음의 음운론적 조건이나 형태론적 조건에 의하여 결합되므로 어기와 접사의 결합은 어느 정도의 규칙성을 띠었다. 또한 움라우트를 겪은 형태와 경음화 현상 등으로 미루어보아 피동사 파생은 공시적인 단어형성 규칙에 의한 것이 아닌 어휘화한 것으로 보고 통시적인 것으로 보았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