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훈련을 명행한 미술치료가 유아의 언어발달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1995 美術治療硏究 Vol.2 No.1

        취학 전의 유아틀은 언어 발달변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인다. 전문삭 말을 사용 하여 필요한 의사전달야 가능하게 되며 구둔양식이나 이해의 깊이에 있어서도 놀 라운 발달올 이루어간다. 이와함께 가족과 가까운 사람들에 한정된 집단에서 벗어 나 점차 여러 집단과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되므로 이 유아겨는 사회성 향상에 있 어 서 도 중요한 시 기 라고 말할 수 있다(高野, 1980). 한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가는데 있어서 유아기의 언어 및 사회 성 발달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서효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었다Garfin 과 Lord0990l 는 언어와 사회성의 두 행동이 상호관계를 맺고 있으며 의사 소통의 장애가 사3회적 상호작용의 능력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이근매 (1993) 도 사례연구를 통한 고찰에서 언어 발달과 사회성 둥의 다른 행동 영역과의 관계는 상호 관계를 맺고 았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언어 발달 지체는 사회성 결 여를 가져올 수 있으며 나아가서 전반적얀 발달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장애가 생겨 언어가 정상적인 단계에서 벗어나거나 지 체가 될 때 언어발달에 이상이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언어 발달 지체의 원인에 따라 그 치료적인 접근방법을 달리해 왔는데, 즉 언어발달에 직접 작용하는 언어 훈련과 섬리치료를 중섬으로 한 간접적인 방볍 등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하내의 접근방법에 따라 진행해 왔다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effects by administering simutaneously the art therapy and the speech therapy(composed according to behavior therapy approach) of delayed child in language and social skill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11ows: First of a11, the speech therapy is administered because it is thought that the subject’s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results from the deficits of personal relations. From is sessions, the art therapy program that is able to give out the frustration is administered simulitaneously with speech therapy program. The art therapy program is composed with plastic activity, drawing, and handicrafts using the colored papers The resalts of the study, the speech therapy program designed by behavior therapy approach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it is thought that the art therapy helps giving out frustration dued to inappropriate environment. In addition to that acquired language from speech therapy and improved emotion from art therapy are aidied each othe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is combined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ocial skills and global development.

      • KCI등재

        미술치료프로그램이 다운증후군 아동의 부적응행동 및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근매,박주연 한국미술치료학회 1997 美術治療硏究 Vol.4 No.1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은 발달장애아동의 치료교육에 있어서 특히 부적응행동의 통제 및 대인관계에 따른 많은 실천적인 연구를 제시하고 있다(이근매, 1995). 이는 발달장애아동의 치료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우선되어야 할 과제이기 때문이다. 한 인간 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장해 나가는데 있어서 아동기의 사회성발달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할 수 있으며 이 사회성의 결여는 언어발달을 포함한 전반적인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장애아동의 경우에는 낮은 자존감 및 정서적 문제로 인해 부적응행동을 나타내며 그로 인해 사회적 행위에 있어서 그들의 잠재력에 비해 낮은 사회성숙도를 보인다(조용태, 19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lter expressive activity and to decrease maladaptive behavior and then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administering the art therapy program to Down’s Syndrome child. The subject selected was one Down’s Syndrome child with emotional and social problems such as withdrawal, anxiety, maldaptive, behavior and avoida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art therapy program which was consisted of total seven phases with individual or group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to the Down\'s syndrome child for one year. The results of various observations and evaluations showed significant changes especially in the maladaptive behavior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lay area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erefore, was that the art therapy program was quite effective in altering his expressive activity decreasing his maladaptive behavior and improving h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dition further systematic therapeutic program should be suggested since the art is considered to be useful means for motivation emotional stabilization. and the improvement of social skils.

      • KCI등재
      • KCI등재

        부적응행동 및 대인관계 결함 발달지체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근매,이은림,김일명 한국특수아동학회 200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4 No.1

        최근에는 발달지체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거나 대인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 미술치료가 대두되어 우리 나라에서도 이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적응 행동 및 대인관계 결여가 있는 발달지체아동 1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만5세 4개월 된 남아이며, 연구는 주1회 또는 2회 50분씩 총18회기동안 실시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미술활동과 표현활동 향상에 도움을 주는 사물 그리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미술치료에 대한 사전ㆍ사후 검사로서 부모관찰, 교사관찰, CARS, 사회성숙도, 인물화검사, E-CLAC을 사용하여 치료효과를 비교ㆍ평가하였다. 개별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부적응 행동이 감소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연구자의 강력한 제지 없이도 미술활동에 스스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고, 깨지거나 찢어진 부분이 나와도 적응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대상 아동은 대인관계 면에 있어서도 변화를 보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감에 따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며, 연구자의 행동에 관심을 보이면서 관찰하고 스스로 모방을 하기도 하였으며 표현이 어려운 부분에 있어서는 연구자의 손을 끌어다가 도움을 요청하게 되었다. 셋째, 대상 아동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양한 표현활동이 가능해졌다. 대상아동은 과제를 수행해 나가면서 지시에 따라 그리는 능력이 향상되고, 한가지 것에 고집하는 행동이 감소되면서 다양한 표현활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부적응 행동 및 대인관계 개선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on changing behavior problem and improving social skills in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ample for the present study was a male child whose age is 5. 4 years old who has significantly problematic behavior and immature skill in social relation with other person while he is involved in social interaction with another person.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was art therapy program including various art experience which let child draw and paint objects freely by himself. Several measures which include parent report, therapist report regarding child's problematic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CARS, E-CLAC and so on were administer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in this study. Overall finding for this study seems to be very favorable to art therapy not only in terms of changing child's maladaptive behavior but also in terms of increasing child's social behavior when he had to interact with another person. The following has also been found in thistudy. First, after intervention, the child manifested less maladaptive behaviors throughout 18 sessions. The child has participated in more art activity voluntarily and more willingly followed rules of activity while he was involved in activity. Secondly, the subject has shown more socialized behavior when he was with another person. After several intervention sessions were passed, it became possible for the child and therapist together to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session. What seems most critical improvement is that the child started initiating interaction first with the therapist. The child has observed therapist's modelling behavior, tried to imitate that behavior, and sought help from the therapist from time to time.

      • KCI등재

        청소년의 콜라주 표현특성 분석

        이근매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4

        This research is about conducting collage test for 819 norm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23 items of formal and content analysi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s according to grade levels. Firstly,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it comes to the composition of the collage, all the participants showed not so much difference in preferring more than 6 pieces of pictures and much space, not using the other side of the drawing paper. On the other hand, half of the participants got the attached pieces overlapped or out of the drawing paper,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er rate in overlapping the picture piece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less of grade levels,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use combination method when they cut the pictures. In addition, almost all the participants preferred color photos rather than black-and-white photos that imposes colors reflect psychological state. More than a half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wo-thirds of high school students used equally distributed space disposition and high school participants presented more balanced and integrated space disposition than middle school participants as their grade levels went up. Secondly, for content analysis, most of the participants included sceneries, people, animals, plants, food, vehicles, and objects in their collage, and used specific expression rather than abstract expression regardless of grade levels This research implies that by systematization characteristics of collage expressions of adolescents grouped by grade levels, errors might be prevented in the psychological assessment of adolescents using collage techniques. Also, by exploring not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but the expression with composing work might be utilized as assistive tool of preventing or sorting maladjusted students in school. 이 연구는 일반 중․고등학생 총 819명을 대상으로 콜라주를 실시하여 형식분석과 내용분석의 23항목을 체크하여 학년별에 따른 콜라주 표현 특성을 빈도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 첫째, 형식분석 중 콜라주의 공간 구성에 있어서 대부분의 청소년은 학년 간의 큰 차이 없이 6개 이상의 사진조각을 선호하며 여백을 두고 도화지의 뒷면을 사용하지 않고 이탈하지 않고 작품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1/2이상의 청소년이 사진조각을 겹쳐서 붙이는 경향이 높으며 특히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비율이 비교적 더 높았다. 사진조각을 자른 방법에 있어서는 학년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복합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콜라주 작품에서 문자보다 사진 사용을 더 선호하며 흑백사진보다는 칼라사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색채가 심리상태를 반영해준다는 사실을 증명해 주고 있다. 다음으로 중학생의 절반 이상과 고등학생의 약2/3 이상이 고루 분포된 공간배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간배치가 고르고 통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에 있어서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콜라주 작품에 자연풍경, 인간, 동물, 식물, 실내, 음식물, 탈것, 사물 등 다양한 사진 조각으로 표현하고 학년에 상관없이 추상적인 표현보다는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학년별로 청소년의 콜라주 표현의 특성을 체계화함으로써 콜라주를 통한 아동의 심리진단 평가에 있어 오류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며, 일반적인 표현 특성이 아닌 작품을 구성한 아동들을 주의 깊게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학교부적응아동을 예방 또는 선별할 수 있는 보조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 모-자 가족 미술치료가 Tic장애아동의 문제행동 및 정서에 미치는 효과

        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02 美術治療硏究 Vol.9 No.2

        Thc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chieve not only the mothers bring up behavior and emotional change but also the childs problem behavior and emotional change by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in Tic disord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one who is first grade elementary student with Tic disorder and variety problem behavior. The art therapy was treated seventeen times for child, one hour a time and one or two times a week. For the first three times art therapy for mother-child program has done, the mothers group art therapy has done totally ten times, two hours a time and one or two times a week. This study repurt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amily art thcrapy for mother-child is good for the improvement of the childs problem behavior. Second, family art therapy for mother-child is good for the childs emotional change in Tic disorder. 오늘날 가족형태가 핵가족화 되면서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더욱 긴밀해지고 있으며 또한 자녀수의 감소로 자녀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특히 아동기의 부모와 자녀의 관계는 성장과정에 많은 영향올 미치므로 상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최외선, 최선남, 1998). 그런데 부모의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와 요구 등의 잘못된 양육태도로 인하여 아동들은 많은 억압과 부담을 느끼게 되며 그 결과 다양한 문제행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무의식적으로 안면근육을 삑삑 움직인다든지, 눈을 깜빡이거나 얼굴을 찡그리며 머리를 빈번하게 흔드는 등의 기묘한 동작을 하는 아동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작을 틱(Tic)이 라고 부른다. 다시 말하면 틱은 과도한 정서불안정이나 심신긴장을 배경으로 하여 근육이 자연히 급격한 불수의 운동을 일으키는 행동장애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일시적으로 억제는 할 수 있으나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나타난다.

      • 발달지체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및 문제행동개선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구안 및 적용효과

        이근매,김소영 한국발달장애학회 2004 발달장애연구 Vol.8 No.1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have some problem of the development and the adaptive behavior. A lot of study were accomp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by the various approach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for th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 in terms of the prompting the development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atic behavior. The subject was selected a 4 - year old developmental disorder child with maladaptive behavior. And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with gross-fine motor, drawing, writing, reading, imitation and expressive-receptive language activities. After 18 sessions, not only the development of overall areas but also the attention were improved and the problematic behavior was reduced. 발달장애아동들은 전반적인 발달의 지체 뿐만 아니라 적응행동에도 문제를 지니며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촉진과 문제행동 개선을 위하여 미술치료 과제를 중심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현재 만 4세인 부적응 행동이 있는 발달장애 아동 1명을 선정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구성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총 18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발달지체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촉진 및 행동문제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아동의 대 · 소근육 운동, 그리기, 쓰기, 읽기, 모방하기, 언어이해와 표현 등 전반적인 영역에서의 발달 향상 뿐만 아니라 주의집중력 향상, 정서적 안정, 문제행동 감소를 가져왔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근매,김은지,송호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A지역 B중학교에 다니는 학교폭력 가해청소년 5명이다. 연구대상에게 주 2회, 1회기 60분씩 총 10회기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효과검정을 위하여 자아존중감척도와 학습동기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한 후,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한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미술치료 회기별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척도 중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한하여 효과적이었고, 회기별 행동관찰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학습동기 척도 향상에 효과적이었고, 회기별 행동관찰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이고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내담자의 자발성을 촉진, 작품의 성취도, 집단원의 긍정적 자세가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self 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of school violence adolescent bullies. The study’s participants were five school violence adolescent bullies in B middle school in A region. They received 10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lasted 60 minutes long.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Learning Motivation Scale and Self-Esteem Scale for the pre and post tests,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using SPSS 22.0 program was conducted to annalize as well. In addition, the change process in group art therapy session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elf esteem, especially social self esteem, and positive changes through observation of behaviors by sessions. Secondly,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learning motivation and positive changes through observation of behaviors by sessions. Therefore, group art therapy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positive changes through observation of behaviors by sessions and school violence adolescent bullie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In addition to this, group art therapy program enhanced the voluntary behaviors of clients, the works’ achievement, and the group members’ positive attitude.

      • KCI등재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이근매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잡지그림 콜라주 미술치료 관련 학위논문 40편, KCI등재지 논문 11편, 총 51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더욱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콜라주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은 분석기준에 따라 연도별 동향, 연구대상 동향, 주제 동향, 콜라주 유형 동향, 연구방법 동향으로 나누었으며,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미술치료연구는 2008년부터 증가하여 현재 증가 추세에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성인이 가장 많았으며, 5-10명을 실험집단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연구주제는 심리건강회복과 스트레스, 자아성장 주제가 가장 많았다. 넷째, 콜라주 유형은 대부분 박스콜라주 보다 잡지그림 콜라주를 선호하였다. 다섯째, 통합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통제집단 연구설계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근거 마련뿐만 아니라 콜라주 미술치료의 장점과 치료적인 요인, 효과를 검증하였다. 앞으로 연구주제 및 대상, 연구방법의 확산과 콜라주 제작기법에 대한 분석을 후속연구에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 of 40 dissertations and 11 KCI registered journals, total of 51, related collage art therapy using magazine from 1992 to 2015 in Korea. This study suggests more systemic and effective ways of collage research. The analysis looks for a trend by classifying them into year, objects, topic, collage style. And the research methods were analysis standard and reported descriptive statistics by percenti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f collage art therapy had been increased from 2008 and shows growing tendency. Second, for study subject, adults were the most preferred group, and with regard to the size of experimental groups, the size of 5-10 participants were the most frequent. Third, for topics of research, mental health recovery, stress, self-growth were the most discussed ones. Forth, magazine picture collage was more preferred than box collage for collage style. Fifth, integrated research method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and experimental/control groups design were the most preferred. This study can help design more effective program, and examined the programs' strength, factors and effectiveness of collage art therapy. The analysis of study topics and objects, extends of research methods and making techniques of collage are now expected in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를 병행한 언어치료가 조음장애아동의 조음 정확도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근매,이상희,조경덕 한국미술치료학회 2004 美術治療硏究 Vol.11 No.2

        본 연구는 조음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언어치료를 실시함으로서 아동의 조음정확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은 조음장애 아동 1명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미술치료를 주2회(총14회), 2003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언어치료를 주2회(총14회) D 연구소에서 실시하 였다. 아동의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 중기, 후기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아동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나아가서 언어치료는 확립, 안정, 유지의 3단계로 나누어 청각 모방법과 조음점 지시법을 이용하여 문장수준에서 아동의 문장의 길이와 조음 명료도 향상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치료를 통하여 아동의 불안감을 해소시키고 난 뒤 정조음 하도록 언어지도를 한 것이 조음정확도 및 문장 표현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미술치료를 병행한 언어치료가 문제행동 개선에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단일 연구대상으로 일반화의 한계는 있으나 임상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이에 따른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Combined with art therapy, speech therapy's effect on the problem behavior of articulation disorders child and articulation of accuracy.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speech therapy with the problem behavior of articulation disorders child. 1) Does the combined with art therapy, speech therapy effect the artuculation accuracy of articulation disorders child? 2) Does the combined with art therapy, speech therapy effect the problem behavior of articulation disorders child? The subject participated weekly 2 session in the art therapy program for 2 months (Nov. 2002.~ Dec. 2002) and in the speech therapy program for 2 months (Jan. 2003 ~ Feb. 2003) for one articulation disorders child. This art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of three steps: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last. The goal of this art therpy program was to improve the expression and recover the self-est— 167 — eem of child. This speech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of three steps: establishment, stabilization and preservation. The goal of this speech therpy program was to improve the articulation accuracy and the sentence lengt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ombined art therapy, speech therapy program was improved with articulation accuracy and sentence expression. Second, the combined art therapy, speech therapy was improved with the improvement of problem behavior. Finally, even if this study has a limit of single case stud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ase study and it needs more stud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