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가시광통신에서 플리커 완화 및 BER 성능 향상을 위한 코딩 기법에 대한 연구

        이규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 통신시스템에서 플리커 완화 및 BER 성능 향상을 위한 코딩 기법에 관해서 연구하였 다. 가시광 통신의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다수의 LED를 사용하는 멀티전송 다중 LED 전송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N개의 LED를 사용하는 다중 LED 가시광 통신시스템에서 N개의 LED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 시퀀스에 따라 동시에 0이 전송되는 연집 Zero 구간이 발생하고, 또한 1의 전송 구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플리커 현상과 Dimming level의 변화로 인한 조명 성능 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가시광 통신시스 템은 통신 및 조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이다. 따라서 통신의 전송 효율과 조명의 밝기를 동시에 고려되 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LED 데이터 시퀀스의 코딩 맵핑을 통해 플리커 현상과 Dimming level 문제를 완화하고 에러 검출 및 BER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리커 완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coding technique for flicker mitigation and BER performance improvement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speed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 multi-transmission multi-LED transmiss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EDs is being actively studied. However, whe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N LEDs in a multi-L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using N LEDs, there is a continuous zero section in which 0 is transmitted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data sequence, and since the transmission section of 1 is different, flickering Or, a phenomenon in which the dimming level changes occur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communication and lighting functions. Therefore, transmission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nd brightness of lighting must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d a flicker reduction mapping that can alleviate flicker and dimming level problems, improve error detection and BER performance through coding mapping of each LED data sequence.

      • KCI등재

        공사유형별 건설수주액을 고려한 건설재해수준 평가기법

        이규진,Yi, Kyoo-Jin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1 No.2

        재해자수를 상시근로자수로 나눈 값이 재해율이다. 건설공사의 경우 공사실적과 노무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상시근로자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재해율을 산정하므로 재해율의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현행 재해율 산정기준은 공사유형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사종류별 특성을 고려한 재해율 보완방식을 제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지난 18년간의 공사실적 및 재해건수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선형회귀분석, 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여 공사유형과 재해유형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식은 기존의 건설공사 재해율의 단점을 보완하여 재해의 증감 및 예년대비 재해율의 높고낮음을 판단하는 보조지표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ccident rate is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accidents by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In the case off construction work, however, the accident rates are not accurately figured out, because they use the approximate number of regular workers, which is estimated based on the amount of construction work and the labor ratio. In addition, the current accident rate estimation method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types, such as building, civil, plant, etc.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esenting a supplementary method of accident rate assessment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ype of co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thi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execu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number of accidents and the amount of construction contract, and several equations are derived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accidents by accident types and amount of constract by construction types. The result shows that the non-residential work amount and the number of accidents showe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hile the civil work amount and the number of accidents showed an inversely proporti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calibrate the construction accident rates and to be used as an auxiliary indicator to determine the trend of annual accident rates by comparing the values with usual years.

      • KCI등재

        Modelling the Estimation Process of Greenhouse Gas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이규진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2 No.3

        The annual expenditure on diesel oil and heavy oil in the construction sector is the second largest among all industrial sectors. To meet the government’s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the construction sector has until 2020to cut its emissions by 7.1%. Unlike other high-tech industrial sectors, the construction sector has a fairly limited scope for technological improvements, which hampers its capacity to achieve the reduction target. To reduce emissions,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nergy and emissions strategy at the project planning stage, and energy use and the resulting emissions must be estimated. This research aims to establish an estimation methodology for greenhouse gas emissions at the planning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s. To estimate the project-related emissions, this research in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ypes of emissions in a cross-sectional matrix form, and then provided a set of calculation methods for total project related emissions.

      • KCI등재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Improving the Throughput in the PB/MC-CDMA System

        이규진,서효덕,한두희,Lee, Kyujin,Seo, HyoDuck,Han, DooHee Convergence Society for SMB 2014 융합정보논문지 Vol.4 No.1

        PB/MC-CDMA는 기존 MC-CDMA 시스템과는 달리 여러 개의 블록으로 전체 주파수 대역을 분할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다중 블록 PB/MC-CDMA에서 효율적인 자원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채널 조건을 통해 사전에 정의 된 임계값을 만족시키면서 전체 처리량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 처리량 측면에서 더 효과적인 것을 확인한다. PB/MC-CDMA is an efficient system which divides the whole frequency band into several blocks, unlike a conventional MC-CDMA system. We propose a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cheme in Multi-Block PB/MC-CDMA (Partial Block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his system aims to improve frequency efficiency and maximize the total throughput while satisfying predefined threshold over various channel conditions.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we confirm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roughput.

      • KCI등재후보

        IoT 서비스를 위한 스몰셀 환경에서 PB/MC-CDMA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이규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6 융합정보논문지 Vol.6 No.3

        본 논문에서는 스몰셀 통신 환경에서 셀 간 간섭을 완화 시키고, 사용자 수용량을 증가시키기에 적합한 PB/MC-CDMA (Partial Block/MC-CDMA) 시스템을 소개한다. 5G 무선통신 환경에서는 IoT (Internet of Things) 서비스의 확장과 더불어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각 디바이스들은 콘텐츠 별로 다양한 전송속도가 요구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LTE/LTE-A 통신 서비스 환경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와 주파수 효율성 향상을 중심으로 기술 연구가 진행 되었으나, IoT (Internet of Things)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접속 및 다양한 전송속도 지원에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다수의 스몰셀 환경에서 셀간 간섭이 발생하여 속도저하 및 시스템 성능 열화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몰셀에 적합한 PB/MC-CDMA 물리계층 기술을 소개하고, 셀간 간섭 존재하는 다중 셀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IoT (Internet of Things) 환경에서 PB/MC-CDMA의 장점을 검증하였다.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PB/MC-CDMA (Partial Block/Multi-Carrier-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to mitigate inter-cell interference (ICI) and enhance user capacity in the small cell environment. In 5G mobile communications, the number of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is expected to increase exponentially with the expansion of the IoT (Internet of Things) services. In addition, each device is expected to be required by the various data rates by their content types. In LTE/LTE-A, there are some limitations that large scale connectivity and supporting various data rates. Therefore, we introduce a PB/MC-CDMA physical layer system which is suitable for the small cell environment,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in the multi cell environment which is affected by ICI. Through computer simulation results,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PB/MC-CDMA for the small cell environment.

      • 시내버스 배출 주행모드 표준화를 위한 우심지역의 시공간 표준화계수 개발

        이규진,전교석,송재용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5 No.-

        본 연구는 주행거리가 비교적 길고, 저속 운행으로 자동차 배출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특히 인구가 밀접한 도심지내 통행이 빈번한 교통수단인 시내버스 대상으로 주행모드의 표준화를 위한 시공간 표준화계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통안전관리공단의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 Vehicle Inspection Management System)과 상용차 DTG(Digital Tacho Graph) 자료를 결합하여 주행모드를 구축하였다. 지역별 표준화는 운송조합연합회 자료와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시간대의 경우 통행실태조사 자료 기반으로 첨두/비첨두 표준화계수를 제시하엿다. 본 연구는 기존 방법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최신 국제 방법론의 국내 적용이 용이하도록 보완했다는 점, 빅데이터 및 기계학습을 적용하였다는 점, 그 과정에서 지역별, 유종별, 연식 및 요일 등에 따른 주행모드를 표준화하기 위한 시공단 표준화계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인구 밀접지역 등 우심지역에서의 자동차 배출평가 정확성 제고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EPA Moves 기반의 버스 스마트운전 평가체계 정립 및 적용

        이규진,김경미,서민호,정혜선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자동차 빅데이터 활용기술의 발전과 자기주도 참여형 정책 확산에 따라, 교통환경 정책은 기술혁신 친화적으로 사회문제의 통합적 해결 방향으로 추진되는 추세이다. 그 일환으로 버스 스마트운전 정책은 버스에 의무 장착된 DTG (디지털운행기록계)와 연계한 친환경 · 안전 운전 유도 목적으로, 차량 원동기 및 노선 특성 등을 고려한 사회적환경비용 모니터링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 스마트운전에 따른 친환경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체계를 정립하였으며, 속도 · 가감속 · 회전각 등에 따른 자동차 운행 초당 배출량(PM, CO₂ 등) 및 환경비용을 평가하는 개념으로 접근하였다. 본 평가체계는 국내 교통환경 빅데이터 기반으로 기축된 아주대학교 Micro-UTEAS를 활용하였고, 전국 3,908대 버스의 실주행 환경에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립된 버스 스마트운전 평가체계를 통해 교통안전 · 미세먼지 · 탄소 저감 등 사회적 공편익 추구 측면에서의 정책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는 배출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버스의 친환경성 평가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공공교통 중심의 교통환경 정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Service Learning Program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fessional Prepar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이규진,임재천 한국특수체육학회 2018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ervice-learning courses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APA) professional preparation in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support APA students and instructors in Korea. APA service-learning program from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Our findings show that APA service-learning courses in Korea had the following limitations: 1) A discrepancy between APA classroom lecture and service-learning course; 2) Limited availability of service-learning opportunities outside the university campus. Sever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APA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to prepare more competent APA practitioners in Korea. A specific guideline for APA service-learning program objective and management needs to be developed in Korean universities. Korean universities also need to collaborate with other APA organizations outside the campus to expand service-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