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기(체육수업 있는 날, 체육수업 없는 날, 주말)에 따른 남녀 중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 분석

        이규일(GyuIl Lee),양태양(TaeYang Ya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7일 동안 신체활동을 측정해, 시기(체육수업 있는 날, 체육수업 없는 날, 주말)에 따른 중학교 남녀 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132명(남-74명, 여-58명)이었으며, Actigraph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를 활용해 7일간 일상생활 신체활동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인 Actilife v.6.11.9을 활용해 일일단위의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MVPA)을 추출하였다. 신체활동 강도 분류를 위해 Evenson et al. (2008)의 기준(cut-points)을 활용하였으며, SPSS 20.0 통계프로그램에 입력해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분석 결과, 남녀 중학생들의 일상생활 신체활동은 좌식활동 1246분(남: 1225분, 여: 1275분), 저강도 활동 150분(남: 164분, 여: 131분), MVPA 42분(남: 50분, 여: 33분)으로 나타났고, WHO(2018)의 청소년 신체활동 기준(일일 MVPA 60분 이상)의 충족률은 평균 27.3% (남: 34.9%, 여: 17.1%)로 확인되었다. 시기와 성에 따른 이원분산분석 결과, 모든 강도에서 성별 차이가 나타났다. 등교 여부에 따라 좌식활동과 저강도 활동의 차이가 나타났고, MVPA 시간은 체육수업 여부에 따라 나타났다. 학교는 좌식활동 감소(-7.3%)와 저강도 활동 증진(+16.3%)에, 체육수업은 MVPA 증진(+16.5%)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대안과 향후 연구 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for 7 days using a 3-axis accelerometer,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ime(weekend, school days with and without PE classes) and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middle school students (male-74, female-58), and one week physical activity levels of participants were measured by Actigraph 3-axis accelerometers(GT3X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ferred to a PC using Actilife v.6.11.9,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physical activity were categorized using the cut-points suggested by Evenson et al. (2008). For research purpose, week-based data and day-based data were filtered, and descriptive analysis, Two-Way ANOVA, and Turkey post-hoc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weekly physical activity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s composed of 1246 minutes of sedentary activity (male: 1225 minutes, female: 1275 minutes), 150 minutes of light activity (male: 164 minutes, female: 131 minutes), 42 minutes of MVPA (Male: 50 minutes, female: 33 minutes), and only 27.3% (male: 34.9%, female: 17.1%)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s met with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 suggested by WHO(2018). As a result of a Two-Way ANOVA according to time and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dentary and light activiti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attend school,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VPA time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addition, Physical activity effects were confirmed in school (sedentary activity: -7.3%, light activity: 16.3%)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MVPA: 16.5%) and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all times. Finally,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and the subject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코로나 19 시대 청소년 신체활동의 필요성과 학교체육의 역할과 과제

        이규일(Gyuil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19(코로나 19) 시대 들어, 학교 안팎의 신체활동 환경이 악화되며, 청소년의 신체활동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건강 및 교육당국의 관심은 저조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활동의 효과성을 근거로 코로나 19 시기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신체활동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체육의 역할과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각 장별 내용을 살펴보면, 2장에서는 코로나 19 시대 신체활동의 필요성을 면역력과 정신건강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청소년 신체활동 문제를 살펴보며, 신체활동 증진을 회복과 변혁의 주요 과제로 제안하였고, 4장에서는 이를 위한 학교체육의 역할과 과제를, 건강정책 초점의 전환(건강체력 중심에서 중-고강도 신체활동 중심으로), 신체활동 증진 접근을 위한 교육적 접근의 전환(학교 중심 접근에서 학교-가정의 통합적 접근으로), 체육교사의 역할 전환(체육 교수자에서 신체활동 기획자로)으로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Sallis 등(2020)이 제안한 코로나 19 시대 신체활동과 공중건강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체육교육학 분야의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In the era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19 (Corona 19), the phenomenon of “less active, more sedentary” has been clearly appeared, and youth health problems were intensifying. However, the environment of physical activity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was becoming worse, the interest of health and education authorities on youth health problems was also l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and to provide the role and tasks of school P.E. to cope with physical activity problems after Corona 19. In chapter 2, I examin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in COVID 19 in terms of immunity and mental health. In chapter 3 examined the physical activity problems of Korean adolescents in the era of Corona 19, and argued that the promotion of physical activity was a task for recovery and transformation. In Chapter 4, the role and task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was discussed. Concretely, I proposed three challenge for transformation, shifting from the focus of healthy physical fitness to the center of moderate-to-vigorous physical activity, from school-centered approach to integrative approach at school and family, from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to a physical activity director. In chapter 5 suggested future research tasks in the field of sports pedagogy, focusing on Sallis et al. (2020), and suggested the need for sustainable physical activity education.

      • KCI등재

        학교 유형(단성, 혼성)과 시기(체육수업 있는 등교일, 체육수업이 없는 등교일, 주말)에 따른 중학교 여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특성 분석

        이규일(Lee, GyuIl)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2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유형(단성 vs 혼성)과 시기(체육수업이 있는 등교일: DPE, 체육수업이 없는 등교일: DNPE, 주말: WEEK)에 따른 여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단성학교(92명)와 혼성학교(99명)에 재학 중인 여학생 191명이었으며, 신체활동 측정도구로 Actigraph에서 개발한 3차원 가속도계(GT3X 모델)를 활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Actilife v.6.11.9를 활용해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MVPA)을 일(day) 단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자료를 SPSS 25.0 통계프로그램에 입력해,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신체활동 기준 충족률은 16.72%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유형과 시기에 따른 이원분산분석 결과, 학교 유형의 차이는 모든 강도의 신체활동(좌식활동: 단성<혼성, 저강도와 중-고강도활동: 단성>혼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기에서도 좌식활동(WEEK>DNPE>DPE), 저강도와 중고강도 활동(DPE>DNPE>WEEK)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학교 유형과 시기(등교 유무, 체육수업 유무)는 여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여학생 신체활동 증진 대안과 연구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y into daily life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ing(single-sex and mixed-sex) and daily class schedules (days with P.E., days no P.E. weekends)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191 female students including 92 students in single-sex schools and 99 students in mixed schools paticipated in this study. The 3-axis accelerometer(GT3X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sedentary, light, MVPA)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for a week.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two-way ANOVA with post-hoc tests were conducted to inquire int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aily life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ing and class schedules. In the result, 16.72% female students came up to the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standards(MVPA 60mins/day).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of daily life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ing(sedentary: single-sex<mixed-sex, light and MVPA: single-sex>mixed-sex),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aily class schedules(sedentary: WEEK>DNPE>DPE, light and MVPA: DPE>DNPE>WEEK). Our results indicate that only a few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have participated in enough physical activity in their daily life, and the form of schooling and daily class schedules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everyday.

      • KCI등재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수준과 특성 분석

        이규일 ( Gyu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3 체육과학연구 Vol.3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남녀 학생의 신체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활동, MVPA)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서울시 소재 4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50명(남: 65명, 여: 8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신체활동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일주일동안 측정되었다. 수집된 신체활동 자료를 강도별(좌식, 저강도, MVPA)로 분류 및 추출한 뒤,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05). [결과] 기술통계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신체활동 기준 달성율(일일 MVPA 60분 이상)은 31%(남: 40.7%, 여: 23.4%)로 나타났다. 이원분산분석 결과, 좌식활동, 저강도 활동, MVPA 모두에서 체육수업 유무와 성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격차는 남학생에서 크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체육수업이 있는 날 저강도 활동과 MVPA가 크게 증가하였고, 좌식활동은 크게 감소하였던 반면, 여학생의 좌식활동과 신체활동 변화는 미비하게 나타났다. [결론] 국내 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으며, 체육수업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효과는 남학생에게 한정되었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여학생의 체육수업을 통한 신체활동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ctivity (sedentary, light, and MVPA)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hysical education (PE) class (DWPE: days with PE class, DNPE: days with no PE class) and sex.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147 students (65 male and 82 female) from four high schools in Seoul city, and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The collected physical activity data were input into SPSS 25.0,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two-way ANOVA according to PE class and sex were performed. RESULT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31% (40.7% male and 23.4% female) of participants met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durations (MVPA of 60 min/day). In the two-way ANOVA, sedentary activity, light activity, and MVPA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PE class and sex.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the gap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DWPE and DNPE was large in male students. For male students, light activity and MVPA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day of the PE class, and sedentary activity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for female students, DWPE and DNP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ll levels of physical activity.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as relatively low, and the effect of daily-life physical activity in the PE class was limited to male students. Accordingly, an alternative should be introduced to increase the physical activity of female high-school students through PE classes.

      • KCI등재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 탐색

        이규일(Gyuil Lee),홍덕기(Deockki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4

        학교체육의 목적은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맞추어 전환돼 왔다. 최근 들어, 미국에서는 청소년 건강발달이 학교체육의 실제적인 목표로써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고강도 신체활동 증진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학교기반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고, 중재 효과 분석을 통해 학교체육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반면, 국내 학교체육의 건강교육은 건강체력 측정과 처방 등과 같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북미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살펴보며 학교체육의 건강교육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신체활동의 의의를 3가지 근거(비만 초점 건강 정책의 한계, 신체활동과 건강의 관계, 청소년 신체활동 실태 문제)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학교기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모형이 되는 Whole-of-School 모형에 관해 알아보았다. 4장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학교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들(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그리고 SHL)의 개발배경, 구조 및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국내 학교체육에서 건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K-12 physic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over the decades to meet society’s needs. Recently, health promotion has became an important topic in K-12 physical education. School-wide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as a mean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navigate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First, a historical review of justification for physic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was discussed. Second, scientific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examined. Third, the Whole-of-School model as a way of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was reviewed. Fourth, the seven research-based school-wide physical activity programs(SPARK, CATCH, LEAP, CSPAP, HOPE, SPEM, and SHL) were reviewed. Lastly, the role of health promotion in K-12 physical education and the future direc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 19 시기, 성별과 학교체육 활동 횟수에 따른 중학교 학령기 청소년의 중-고강도 신체활동 특성 분석

        이규일(Lee, GyuIl)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 중학교 학령기 청소년의 신체활동을 측정하고 성별과 학교체육 활동 횟수에 따른 MVPA 수준과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남녀 중학생 249명(남: 146명, 여: 103명)이었으며,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등교일 5일 간의 신체활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체활동 분석 프로그램(Actilife v.6.11.9)을 활용해, 일일 단위 강도별(좌식, 저강도, 중-고강도)로 분류하였다. 1245건(249명*5일)의 자료 중 오류가 나타난 122건을 제외한 1123건의 측정치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해 기술통계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Tukey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p<.05).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 신체활동 기준 달성률은 20.6%(남학생: 24.7%, 여학생: 14.7%)로 나타났다. 둘째, 이원분산분석 결과, 성별(F=22.735, p<.001)과 학교체육 활동횟수(F=17.315, p<.001)에 따른 주효과가 나타났다. 모든 조건에서 성별 차이(남학생>여학생)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증 결과, 학교체육 활동 제공 횟수에 따라 MVPA 시간은 2회 등교일(55.4분), 1회 등교일(43.6분), 0회 등교일(38.8분)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과 학교체육 활동 횟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F=3.246, p<.05).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 동안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활동 수준은 이전에 비해 열악해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교체육 활동은 청소년의 신체활동 증진에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언부에 코로나 19 팬데믹 관련 청소년 신체활동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adolesc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a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and to analyze the MVPA level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and number of school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9 middle school adolescents (male: 146, female: 103), and the physical activity that occurred during five days of going to school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GT3X model) developed by Actigraph. The measured data were classified and extracted into three type physical activity(in-active, light, MVPA) per a day using the physical activity analysis program (Actilife v.6.11.9). Out of 1245 data measured for 5 days of 249 people, 1123 cases excluding 122 with errors (364 without SPA(school physical activity), 613 with one SPA, and 146 with two SPA)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wo-way ANOVA, and Tukey"s post-test were performed (p<.0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chievement rate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standards was 20.6% (male: 24.7%, female: 14.7%). Second, as a result of two-way ANOVA, the main effect was found according to gender (F=22.735, p<.001) and the number of school physical activities (F=17.315, p<.001).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male > female) in all conditions, and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MVPA time appeared in that order 2 SPA (55.4 minutes), 1 SPA (43.6 minutes), 0 SPA (38.8 minutes). Thir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formance and the number of school physical activity (F=3.246, p<.05). In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adolescents became worse than before, however, school physical activity was still an attractive activity as a physical activity program. Finally, future research topics were propos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adolescent physical activity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COVID-19 시기 지역(도시, 시골)과 성에 따른 중학교 학령기 청소년의 강도별 신체활동 특성 분석

        이규일 ( Gyuil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2 체육과학연구 Vol.33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가속도계를 활용해 COVID-19 시기 중학교 학령기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도시, 시골)과 성에 따른 강도별 신체활동(좌식활동, 저강도 활동, MVPA)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중규모 이상의 도시와 읍면 지역에 위치한 3개 중학교(총 6개교) 남녀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신체활동은 3차원 가속도계(GT3X)를 활용해 일주일동안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강도별(좌식, 저강도, MVPA)로 분류 및 추출하였고,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에 입력해 기술통계분석, 지역과 성별에 따른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05). [결과] 기술통계 분석 결과, 전체 학생의 신체활동 기준 달성율(일일 MVPA 60분 이상)은 9.4%로 나타났다. 이원분산 분석 결과, 성별 주효과는 좌식활동(F=5.258), 저강도 활동(F=6.790), MVPA(F=32.274)에서 나타났고, 지역별 주효과는 저강도 활동(F=10.888)과 MVPA(F=7.876)에서 나타났다. 모든 강도에서 지역과 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학생의 지역 간 격차(시골 >도시)가 여학생의 격차보다 크게 나타났다. [결론] COVID-19 이후 청소년 신체활동 문제가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도시 지역 남학생의 ‘신체활동 감소, 좌식활동 증가’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physical activity (sedentary, light,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MVPA])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region (urban and rural) and sex.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16 students across 6 middle schools located in medium-sized urban (3 schools) and rural areas (3 schools), and the relevant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hree-dimensional accelerometer (GT3X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inputted into the SPSS 20.0, and descriptive analysis and two-way ANOVA based on region and gender were performed (<.05). RESULTS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achievement rate of the physical activity standard (MVPA 60 minutes/day): 9.4%. The two-way ANOVA showed that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gender was found in sedentary activity (F=5.258), light activity (F=6.790), and MVPA (F=32.274); furthermore,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region was found in light activity (F=10.888) and MVPA (F=7.876).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region and gender was found at all intensities, and the gap between rural and urban in male students was larger compared to that of female students. CONCLUSIONS After COVID-19,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has worsened; this study found the problem of “decrease in physical activity; increase in sedentary activity” to be more serious among male students in urban areas.

      • KCI등재

        여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을 제약하는 환경요인 탐색 : 포토보이스

        이규일 ( Lee Gyuil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20 체육과학연구 Vol.31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여학생의 일상생활 신체활동을 제약하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고, 사회생태학 모델에 근거해 신체활동 증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신체활동 수준이 낮은 여학생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포토보이스 기법에 따라 자료를 수집(오리엔테이션, 포토보이스 실행, 포커스 그룹 면담) 및 분석(사진 고르기, 맥락화, 주제화하기)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일상생활 신체활동 제약 경험은 생활영역별로 황무지 같은 놀이터(여가영역), 쉼과 좌식화된 놀이 공간(가정영역), 엄빠카로 대체된 교통수단(교통영역), 유일한 운동 공간 그러나 젠더 차별의 재생산(학교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일상생활 신체활동을 제약하는 환경요인은 학업적 환경, 물리적 환경, 일상생활 환경, 그리고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분석되었고, 사회생태학 모델에 근거해 여학생 신체활동 증진 방안을 조직, 공동체, 공공정책 수준에서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nvironmental constraints that hindered the physical activity of female students in daily life, and then to provid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problems based on the social ecological model.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twelve female students to be selected in two schools(Norang, Parang middle school),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orientation, photovoice implementation, focus group interview) and analysis(choosing a photo, contextualizing, subjecting)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hoto-voice. [Results] The constraints of physical activity in daily life were categorized on ‘playground as like a desert’(leisure domain), ‘space of recess and in-active play’(family domain), ‘transportation replaced by mom and dad car’(transportation domain), ‘space of the only exercise as well as reproduction of gender discrimination’(school domain). [Conclusions]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were analyzed as academic, physical, daily living, socio-cultural environment. Lastly, alternativ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of female student were proposed in the level of organization, community, public policy based on the social ecological model.

      • KCI등재

        진로교육 관점에서 본 체육중점학교 교육과정의 성과와 한계

        이규일(Gyuil Lee),오정훈(JeongHun Oh),천항욱(HangUk Che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체육중점학교 교육과정의 성과와 한계를 진로교육의 관점에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 위해 교육부의 위탁을 받아 체육중점학교 사업을 운영하는 한국체육진로교육협회에 연구참여 학교 추천을 의뢰하였다. 추천받은 세 곳의 고등학교에서 소속 학생(12명), 학부모(6명), 교사(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또한, 별도로 고교 진로교육 전문가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로 연구자료는 각각의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텍스트 자료로 변환하였다. 그리고 텍스트 자료를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탐색하며, 의미단위로 구분하였다. 이후 여러 연구자료를 의미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의미 간 관계를 살펴 의미를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연구결과, 체육중점학교 교육과정의 성과로는 ‘꿈과 끼: 진로의 나침반’, ‘진학: 다음 단계로’, ‘행복한 학교생활: 나의 진로에 참여’으로 확인되었으며, 체육중점학교 교육과정의 한계로는 ‘정체성의 혼란: 진학과 진로’, ‘분리와 고립: 학생간, 학급 간’,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부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체육계열 진로교육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hysical education focused schools’ education curriculum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everal physical education focused schools were recommended by the Korean Sports Education Career Institute which had been operating the sports-focused school business. In three recommended high schools, students (12 participants), parents (6 participants), and teachers (3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dditionally, six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counselors (6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is qualitative study collected research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ll collected data was translated and converted into text data; this converted text data was explored its meaning, and classified as they were interpreted. Various research data was classified by meaning mainly, and these meanings revea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ther. As a result,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 curriculum of the physical education focused school were identified as “Dream and talent: compass of career”. “Advanced: take it to the next level”. “Happy school life: participating in search of my future career”. The limitations of education curriculum of the physical education focused school were identified as “confusion of own identities: future and career”, “Separation and isolation: among students, classes”, and “lack of teachers’ ability in career counselling.” Based on this study results, a proposal was made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career counselling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체육중점학교 사업의 성과와 반성

        이창현(Changhyun Lee),오정훈(Junghoon Oh),김택천(Taechun Kim),이규일(Gyuil Lee)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체육중점학교의 성과와 반성을 교사와 학생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체육중점학교 발전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서자료를 수집하였고, 우수 사례에 해당하는 서울지역 3개 학교를 선정하여, 이 학교를 운영하는 교사 3명, 이 학교 학생 7명을 인터뷰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방법론을 차용하여 귀납적으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성과 및 반성의 관점에서 결과를 탐색하였다. 성과 측면에서, 첫째, 공교육 기반 진학 체계가 구축되었다. 둘째, 일반 학생 대상 체육 진로 교육 기회가 확대되었다. 셋째, 체육중점학교와 관련된 동료교사와 학부모와 같은 주요 타자의 인식이 전환되었다. 반성 측면에서는, 첫째, 교사의 과다 업무가 큰 문제로 제기되었다. 둘째, 입시 체육 중심의 진학 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한계가 있었다. 셋째, 형식화된 진로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통해, 체육중점학교의 내실화, 운영 환경 개선, 교사 전문성 신장, 그리고 효율적ㆍ지속적 추진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Specialist Physical Education School (SPES) based on results and reflection of SPES through analysing perspective of teachers and students. We collected documents and had an interviewed with three teachers and seven students in three SPESs. Analytical methods of grounded theory were used to analyse collected data. We identified outcomes based on results and reflection. In terms of results, first, system of entering university for the public education was established. Second, career education programs of physic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extended. Third, there were changes of awareness of main other people such as fellow teachers and school parents connected to SPESs. In terms of reflection, first, there was an issue about teachers’ excessive work. Second, there was a limit in managing that curriculum focused on entering university. Third, problem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questioned. We concluded by proposing the direction for substantial, the improvement of operating environment and professionalism for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for effective implements of SP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