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인식의 비절대성과 의미 변화 연구 - 양귀자의 연작소설 『원미동 사람들』을 중심으로 -

        이규일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9

        Space does not possess absoluteness. It is a kind of structure show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your space recognition. Thus, it is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a literary work and check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in the work that we carefully examine the aspects of awareness of reality of a character in the story. Wonmi-dong, the name of a town, holds two meanings : the town far away from beauty, and also the town that is beautiful because it is far away. The former means the abstract beauty, the ideal world and morality. The latter means the beauty of humanity, such as independence, activeness, cooperation. Wonmi-dong studied in this research is the neighborhood that often shows the two kinds of beauty together. The locality of Wonmi-dong, largely that of Bucheon, should be compared with the residents' ideal world, that is, their fixed idea of Eutopia, not to be changed, rather than getting related to Seoul. The desire of Wonmi-dong people was revealed by imaginary beings in the ideal world, and through their conducts of recognizing that they should live like them, the Eutopia gained the characteristic of an empire.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division of a major city and a satellite city should not be Seoul and Bucheon but be their ideal world and Bucheon, In other words, the locality of Bucheon should not be suggested as the satellite city of Seoul. It must be presented as reality contrasted with idea. Thus, Bucheon as reality, is the area that keeps changing, not the space of the others where they have to follow the values suggested by their ideas but the active space securing its own independence. The matter of locality is the matter of relations, and in human relations there is no substance. What Wonmi-dong people establish relations with as the object of their desire is not Seoul but an ideal city. Space of relation between idea and fact does not lie only in Seoul and Bucheon. However, when we think why Wonmi-dong should be the representative of satellite cities, it is the ambiguous symbolism Wonmi-dong conveys in its name. After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the beauty of Wonmi-dong cannot be interpreted as the town that is far away. It should be rather retranslated as the town where the beauty of humanity exists since the beauty given by idea is far away, so the concept of space should be even more broadened. Wonmi-dong people are not scarecrows chasing abstract ideas but existent people who lead active and independent lives accepting reality. They are individuals who deny othering of notion and lead changes within the flow of time. In this way, Wonmi-dong is the beautiful town where active and subjective individuals live together independent from imaginary beings and empire, shifting from country to city, in the middle of change of time and space. 공간은 절대성을 지니지 않는다. 그것은 공간을 인식하는 양상에 따라서 달리 나타나는 일종의 구성체이다. 때문에 작중인물의 현실인식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은 작품을 이해하고 공간성을 확인하는 전제가 된다. 원미동이라는 동네의 이름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아름다움은 멀리 있는 동네라는 뜻이며, 다른 하나는 멀리 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동네라는 뜻이다. 전자에서 말하는 아름다움은 추상적 형태의 아름다움으로 이상향과 도덕성이다. 후자가 말하는 아름다움은 인간적 형태의 아름다움으로 주체성, 능동성, 협력을 가리킨다. 본 연구에서 살핀 원미동은 두 가지 모습의 아름다움이 혼종 되어 나타나는 동네이다. 원미동, 크게는 부천의 지역성은 서울과 관련짓기보다 원미동에 살고 있는 이들의 관념, 다시 말하자면 변화하지 않으며 고정된 이상향과 비교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향 속에 있는 상상된 존재들에 의해 원미동 사람들의 욕망이 발현되고, 그들과 같은 삶을 살아야 함을 인식하는 행위에서 이상향은 제국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중앙과 위성의 구분은 서울과 부천이 아니라 관념과 부천이 되어야 마땅하다. 그러기에 부천의 지역성은 서울의 위성도시로 제시되어서는 안 된다. 관념과 대비되는 실제로 나타나야 한다. 즉 실제로서 부천은 계속해서 변화하는 지역이며, 관념이 제시하는 가치관을 따라야만 하는 타자적 공간이 아닌 주체성을 확보하고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공간이다. 지역성의 문제는 관계의 문제이고, 관계론에서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원미동 사람들이 욕망의 대상으로 관계를 맺는 것은 실체로서의 서울이 아니라 관념으로서 도시이다. 관념과 실제의 관계에 놓이는 공간은 서울과 부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왜 원미동이 위성의 대표가 되어야만 하는가를 생각해본다면, 원미동이라는 이름이 갖는 이중적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이상의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원미동의 아름다움은 멀리 있는 동네로만 읽혀서는 안 된다. 오히려 관념이 권유하는 아름다움은 멀리 있기 때문에 인간으로서의 아름다움이 나타나는 동네라는 재해석과 더불어 공간 개념 역시 더욱 넓어져야 할 것이다. 원미동의 사람들은 관념을 좇아 살아가는 허수아비가 아닌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주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실존하는 사람들이다. 관념의 타자화를 거부하고 시간의 흐름 안에서 변화하는 개인들이다. 이렇듯 원미동은 상상된 존재와 제국으로부터 벗어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개인들이 모여 사는, 시골에서 도시로 이행하고 있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 과정에 있는, 아름다운 동네이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문학활동능력 향상”을 위한 문학교과서 조직에 관한 소고

        이규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This study starts with a purpose for effective achievements of education objectives written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School textbooks have been revised constantly in order to accomplish subject objective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essential to prepare the possibility for textbook revision as a new form. This study with three sections is written to prepare theoretical forms for new textbook structure. The first section is about an imperative part to be aware of when it comes to a new literature textbook structure. This part criticizes the possibility of ideology input which could cause a problem for current literature textbook structure. The Second part suggests gradual conditions to form new literature textbooks. This part suggests a perspective needed to be considered to achieve education objectives of literature and focuses on presenting experimental models for the literature text books with a new style. The third section is about an evaluation on the newly suggested contents. The last part presents a way to check whether the suggested contents accomplish its education objectives or not. Through this, a realization possibility for the new education contents have been shown at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ere is no perfect education methods. This fact is the basic premise that all the opinions suggesting education methods include effectiveness. In this thought,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rudimentary ability development, “literature activity ability improvement”. The meaningful achievement of this study is to seek a way to accomplish objectives of a literature subject. Literature textbooks including literature critic theories are expected to help learners’ literature activity enhancement. Also, this educational methodology will help learners have sustainable literature activities.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고시하고 있는 교육목표의 효과적 달성이라는 목적의식에서 출발한다. 현재 문학교과서는 교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해서 개정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형태로의 교과서 개정 가능성을 마련하는데 있어 필요한 논의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교과서 조직을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기 위해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새로운 문학교과서 조직에 있어 경계해야 할 부분에 관한 논의이다. 이 부분에서는 기존의 문학교과서의 조직에 있어 문제의 소지가 될 수 있는 정치성의 개입 가능성 부분을 지적하였다. 둘째, 새로운 문학교과서를 조직하기 위한 점진적 조건들에 관한 제시이다. 여기에서는 문학교과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을 논의의 장으로 제기하고, 새로운 형태의 문학교과서의 실험적 모형을 제안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셋째, 새롭게 제시한 교육내용에 관한 평가이다. 마지막 논의에서는 앞의 논의에서 제시한 교육내용이 교육목표를 달성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교육내용에 관한 교육현장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완벽한 교육방법은 없다. 이러한 사실은 교육방법을 제안하고 있는 모든 논의가 유효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사고 안에서 학습자의 “문학활동능력 향상”이라는 원천적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방법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문학교과의 교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였다는 점이다. 문학비평이론을 포함하는 문학교과서는 학습자의 문학활동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이러한 교육방법은 학습자의 문학활동에 지속성을 부여할 것이다.

      • KCI등재

        <文賦>와 《文心雕龍》의 문예이론 비교

        이규일 대한중국학회 2008 중국학 Vol.31 No.-

        靈感、想像的問題不僅是創作最核心的一部分, 也是中國古代傑出的理論著作《文賦》與《文心雕龍》的重要內容. 同時是它們理論傳承關係上的重點之一. 本論文將它們的想像論分爲想像的特點、想像力發揮的條件及關鍵、想像與語言表現的關係而進行論述, 從中可見劉勰基於《文賦》的內容展開自己的理論. 他對創作過程的看法也是如此. 但他不止於此, 進一步認爲想像力發揮的條件有虛靜、積學、酌理、硏閱、馴致, 幷將志氣提爲統率想像力發揮的關鍵的因素. 這是劉勰的理論比陸機更發展的一面. 本論文又注意到陸機從創作者的視角接近文學的問題這一點. 此特點在他的文體論的展開方式上表現得更爲明確. 他認爲文學創作在很多方面屬於不可知的領域, 在文體運用上也需要隨機應變及創造性. 這種觀點明確反映着陸機從創作者的視角接近文學理論.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