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신문사 브랜드 디자인 방향성 연구 - 한국일보의 브랜드 리뉴얼을 중심으로 -

        이규락 ( Lee Kyu Ra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인터넷 환경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와 디지털 시대에, 기존의 종이 신문사는 다양화된 매체 환경에서의 경쟁 심화와 인터넷 모바일 라이프의 확산으로 인한 신문 구독률 저하, 인터넷 신문과 포털사이트 뉴스의 등장 및 멀티미디어 등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트렌드 반영에의 한계 등으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신문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인터넷 신문관련 선행 논문을 연구하고, 실제 신문사 브랜드 리뉴얼 사례를 대입하여, 모바일과 디지털 시대에 종이 신문사의 위기와 대응 방안 등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기존 신문사 브랜드 디자인의 방향성을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모색하고 제안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는데, 먼저 현재의 미디어 환경과 신문 디자인 및 종이 신문사의 브랜드 디자인 등의 연구 기반이 되는 정보와 개념들을 조사해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종이 신문의 대안으로서의 인터넷 신문과, 인터넷 신문의 한계, 문제점의 개선 방안 등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앞에서 연구한 종이 신문의 대안으로서의 인터넷 신문의 특징과 방향성 연구 결과에 2015년 진행한 한국 일보의 브랜드 리뉴얼 사례 연구 내용을 연계, 대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브랜드의 디지털화 개념에서 신문 브랜드 디자인에 있어 사용 편리성이 매우 중요하며, 사용 편리성 고려를 통해 신문 디자인은 물론, 신문 브랜딩까지 접목시킬 수 있다. 둘째, 디지털 세대의 신문 브랜드 디자인을 위해서는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인터랙션 개념을 인쇄 매체로 재해석하여 도입해야 한다. 셋째, 내비게이션의 개념을 섹션화 경향 등의 신문 트렌드와 연계하여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종이 신문 디자인과 신문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개발 초기부터 멀티미디어의 환경과 개념까지 고려한 미디어 융합적 브랜드를 개발해야 진정한 브랜드의 디지털화를 이룰 수 있다.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ra due to the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existing newspaper companies are facing a crisis due to intensifying competition in a diversified media environment and the spread of Internet mobile life. Moreover due to internet newspapers, and limitations in reflect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trends, they are facing a crisis. In this study, preceding papers related to Internet newspapers that ar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paper newspapers were studied, and by substituting actual newspaper company brand renewal cases, the crisis of paper newspaper companies and their countermeasures in the digital era were analyzed.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d propose the design direction of newspaper brand design in the digital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 First, information and concepts that are the basis of research such as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and newspaper design and brand design of paper newspapers were investigated. In this process, Internet newspapers as an alternative to paper newspapers, limitations of Internet newspapers, and ways to improve problems were identified. Nex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substituting the contents of the 2015 Hankook Ilbo brand renewal case study. First, usability in newspaper brand design is very important in the digitalization concept of brand. Second, the concept of interac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should be reinterpreted as print media. Third, the concept of navigation should be linked with the trend of newspapers to develop branding optimized for the digital environ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dia convergence brand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concepts for multimedia.

      • KCI등재

        한국 미와 도가적 미의식 간의 관계성 고찰

        이규락 ( Kyu Ra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다문화주의 시대에 들어 다양한 문화권들이 각자 문화정체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부각시키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때,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기존의 국내외 한국 미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요약하고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미의식과 한국의 도가사상을 개별적으로 고찰하여 그 관계를 조명하였으며, 한국의 전통예술의 배경으로서의 도가사상에 주목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한국의 도교의 역사와 고유성과도가적 미의식을 연구하여 자연성, 소박성, 미완성 등 3가지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이후 선행연구에서 요약, 정리한자연주의, 순수성, 담백, 단순, 절제, 백색, 여백, 곡선 등의 한국 미의 핵심 요소들이 자연성, 소박성, 미완성 등 3가지 특성으로 요약된 도가적 미의식과 밀접한 관계 있음을 한국의 전통 문화와 예술의 사례를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 미론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기존의 추상적이고 형용사적인 한국 미에 대한 해석에서 더 나아가 도가적 미의식까지 포괄하여 보다 개념적으로 정리한 것으로 한국의 문화정체성 탐색에 앞서 새로운 연구와 접근 방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As an age of multiculturalism, diverse cultural area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re making a greater effort to highlight their cultural identities. In the initia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esthetics and Taoist aesthetic awareness was researched after the consideration of Korean aesthetics and Taoist aesthetic awareness, thus Korean Taoism was focused as the background of Korean traditional arts. On the other hand, Naturalness, Simplicity and Incompletion, as the character of Taoist aesthetic awareness, were drawn after studying of the uniqueness and its history of Korean Taoism and Taoist aesthetic awarenes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esthetics and Taoist aesthetic awareness was found and proved. This study and the derived concepts were reported as a new direction of the study of Korean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한국인의 기질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디자인 방향성 연구

        이규락 ( Kyu Ra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지난 반세기 한국의 문화정체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적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정체성에 대한 시각과 연구의 다양성 부족으로 인하여 피상적으로 전통요소를 모사하거나, 복고적인 소재를 정형화하는데 그치는 등 한국의 전통적인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는 고정관념과 획일적인 접근이 이루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국 디자인의 문화정체성 정립을 위해서는 ``무분별한 전통 문화 요소의 차용``이 아닌, ``문화 해석력에 바탕을 둔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해야 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한국적 디자인과 문화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우선시 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게 전통과 현대를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인 디자인 방향성 연구와 함께 국민성 및 민족적 기질과 문화정체성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다문화주의 시대를 바탕으로 한 문화정체성의 정의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디자인 패러다임의 변화와 문화디자인에 있어 문화정체성의 중요성 대두에 대해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한국의 문화디자인을 위한 차별화된 방향성의 매개체이자 소재로서의 한국인의 신명기질과 역동성에 대해 다양한 유무형 문화를 바탕으로 연구하였으며, 더 나아가 일본, 핀란드, 스페인의 사례를 통해 한국적 디자인과 문화정체성 반영에 대해 그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의 국민성 및 한국인의 기질을 바탕으로 하는 차별화된 디자인 방향성 및 발전적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