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모변인과 유아의 영어 학습과의 관계 연구

        이귀옥,우남희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8 생활과학연구 Vol.1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ariables and their children's English level. For this study, 113 5-year-olds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In order to assess the children's proficient level of English 'English Phonemic perception test'(Ricciardelli, L. A. ,1993), 'English word· syntactic perception test' and 'English pronunciation test' which the author has developed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proficient levels of English were collected through using questionaire. As results, children's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is related to level of father's education, incomes, and mother's Englis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만 3세 남아의 이성 또래 친구 관계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이귀옥 한국아동부모학회 2018 아동부모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만 3세 남아의 이성 친구 관계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 남아이며, 가족관계는 맞벌이하는 아버지와 어머니, 3살 많은 누나로 구성된다. 2010년 9 월부터 12월까지 8차례에 걸쳐 놀이 상황을 관찰하여 전사하였다. 전사한 내용을 기준으로 친구 관계 형성 과정, 이성 친구에 대한 마음, 이성 친구에 대한 관계의 변화, 이성 친구와의 놀이 형태와 관련된 행위를 해석학적으로 해석하였다. 그 결과 만 3세 남아는 이성 또래 친구 형성과정을 1단계부터 5단계까지 모두 경험하고, 이성 친구에 대한 마음은 친구 이상의 감정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이성 친구와의 관계 변화는 초기 1~5차시 관찰까지는 연구대상 남아가 여아를 좋아하였으나 6차시부터 좋아하 지 않았다. 이성 친구와의 놀이 형태에서도 남아는 여아를 좋아하는 정도가 클수록 여아의 놀이 스타일에 맞추었지만, 남아가 여아를 좋아하는 정도가 감소하자 자기가 좋아하는 동성 놀이로 변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만 3세 남아는 이성 친구와의 친구 관계 형성을 1~5단계를 경험하면서 타인 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기술과 다양한 놀이방법을 습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 나 이에서부터 동성뿐 아니라 이성 친구와의 관계 맺음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관계를 격려해 주고 조언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Since child abuse have surfaced in our society,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are required by law to install CCTV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fundamental solutions for child abuse prevention at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focused on the problems arising out of CCTV installation, an increas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and social recognition regarding child rights. Firstly CCTV installation is inevitable in the current legal environment. We suggest that controls in accessing to the video footage recorded should be tightened up in order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autonomy, of their privacy, and of child rights. Secondly, since 2000, the number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Childcare teachers fail in acquiring prope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parenting styles. Moreover, their heavy workload makes them hard to be faithful to their true roles. We suggest that childcare educational institutes be required to arrange conditions for their normal public function. Thirdly, in regards to CRC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the UN, we take notice of the reality of our indefinite recognition on the corporal punishment and of the tendency to force children implicitly to behave well as an exemplary model. We assert that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pecific measures for child abuse eradi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help childcare teachers strengthen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 KCI등재

        ‘강한 남자’에서 ‘아름다운 남자’로: 1970∼1990년대 남성 잡지광고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의 변화와 표현방식

        이귀옥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미디어, 젠더 & 문화 Vol. No.

        This study examined the portrayals of male models in Korean men’s magazines from 1970s to 1990s. The focus of the study was on how masculine images of male models were changed during 30 years and how the images were constructed in magazine advertisements. Total 939 advertisements with male models were collected from major Korean men’s magazines and content-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models were most frequently employed for pharmacy/medical product categories in 1970s and fashion product categories in 1980s and 1990s. Dominant masculine images of male models portrayed in ads had been dramatically changed during 30 years. The images ‘physically strong men’ were most frequently portrayed in 1970s but ‘successful men with reputation’ images in 1980s and ‘men caring appearance’ images in 1990s. Also, the masculine images were constructed in ads by employ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 other models and feminine displays within specific physical settings.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197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시사종합지 광고에서 남성 모델이 어떤남성 이미지로 표상되며, 어떤 표현방식을 통해 묘사하는가를 내용 분석한 것이다. 체계적인 표집을 통해 총 939개의 남성 모델을 이용하고 있는 광고가 수집되었다. 시기별로 남성 모델이 주로 등장하는 광고의 제품 범주를 보면, 1970년대에는 제약/의료 광고에,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패션 광고에 남성 모델이 주로 이용되고 있었다. 한편 이들 남성 모델이 표상하는 이미지는 전체적으로는 ‘성공한/명성있는 남자’와 ‘외모를 가꾸는 남자’의 이미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1970년대는 ‘신체적으로 강한 남성’의 이미지가, ‘1980년대는 성공한/명성있는 남자’의 이미지가, 1990년대 이후로는 ‘외모를 가꾸는 남자’의 이미지가 우세하여 시기별로 눈에 띄는 변화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남성 이미지는 특정 제품범주에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아울러 남성 이미지에 따른 물리적 배경과 대인적 상호작용, 여성적 배치 등의 표현방식을 분석한 결과, 특정 남성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정형화된 표현방식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유튜브를 통한 식품관련 가짜의학정보의 확산에 관한 사례연구: ‘귀 통증에 양파’ 뉴스의 네트워크분석

        이귀옥,손승혜,정은정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7 No.2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diffusion of fake medical information on YouTube, one of the most popular social media for video sharing. Taking the fake news of “insertingan onion in the ear to heal earaches” as a case, social network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rs on thesharing network, and the shared contents on YouTub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so-called “the onion effect”, though being related to health andfood contents, was being shared on a variety of shared categories such as people, game, politics, comedy, and leisure on YouTube. Second, influencers on these networks thatshared this fake information were YouTubers who did not possess the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ield of health and food, and were seemed to use the information tohook subscribers. Third, the before and after semantic analysis on the video titles of the fake news revealed that subsequent titles being posted the fake news were exaggeratedor ill-informed the benefits of onions. Through these findings, managerial implications to decrease the negative effects of medical fake news on YouTube and to enhance socialmedia literacy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대표적인 동영상 공유사이트이면서 소셜미디어의 하나인 유튜브에서 식품관련 가짜뉴스가 어떻게 확산되는가를 점검하였다. 온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품 관련 가짜뉴스인 ‘귀에 양파를 넣으면 귀의 통증이 완화된다’는 뉴스를 분석 사례로 선택하여, 이 뉴스를 누가 어떤 내용으로 유튜브에서 확산시키고 있는가를 소셜네트워크분석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튜브 내에서 ‘양파 효능’ 관련 동영상들은 건강, 식품 관련 콘텐츠임에도 게임, 시사, 코미디, 오락 등 다양한 범주에서 공유되고 있었다. 둘째, ‘귀 통증에 양파 효능’ 뉴스를 동영상으로 게시한 네트워크 상의 영향력자들은 건강이나 식품과의 관련성이나 전문성이 없는 일반 개인채널 운영자였으며, 식품 가짜뉴스를 구독자 등의 흥미를 유발하는 콘텐츠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 ‘귀 통증에 양파’ 가짜뉴스 등장 전과 후의 ‘양파 효능’ 동영상 타이틀 분석결과 가짜뉴스 등장 전에는 양파즙에 대한 콘텐츠가, 가짜뉴스등장 이후에는 건강관련 효능을 과장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내용의 콘텐츠가 빈번하게 게재되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유통되는 건강관련 가짜정보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이용자들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수준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호텔종사원의 여가활동유형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이귀옥 대한관광경영학회 2005 觀光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job satisfaction of hotel employees. The leisure activities were classified with 6 types and the 4 factors from 15 items of job satisfaction were extracted. The sports of 6 leisure activity types was most popular among the hotel employees. The leisu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working period, and positions of hotel employees. The leisure activity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alary and extra benefits of job satisfaction factors. Job aptitude and achievement of job satisfaction factors showed the highest mean value.

      • KCI등재후보

        교사용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 개발 및 교육방향 안내 연구

        이귀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개발하고, 개발된 질문지 를 통해 놀이중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놀이실행자료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발하 였다. 또한 세 명의 유아교육 교사에게 개발된 질문지별 필요 교육의 방향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는 두 가지로 구분된다. 놀이중심 교육과 정 이해 영역에서는 아동이해, 놀이이해, 놀이중심으로 구분하였다.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영역에서는 수업운영, 놀이수업, 교사로 구분하였다. 둘째,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 해 질문지를 기준으로 필요한 교육을 살펴본 결과 질문지 전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필요 교육으로 체크되었다. 연구결론: 놀이중심 교육과정 이해 질문지를 통해 현재 교사의 교육 이해도를 파악하고, 교육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teach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lay-centered education. Methods: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nd play practice data.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teachers were surveyed on the direction of necessary education for each developed list. Results: First, the play-centered teacher competency list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understanding children, understanding play, and play-centered. In the area of practice the play-center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class operation, play class, and teacher. Secon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was checked as necessary education.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the play-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questionnaire can identify the current teacher's educational understanding and suggest educational directions.

      • 초등학교 저학년, 고학년, 그리고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개인, 가족, 학교 변인 탐색

        이귀옥,이미리 한국생애학회 2013 생애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child's and teenager's personal, family, school-variab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using the second wave data of KCYPS (th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 The participants included 2,232 second-graders and 2,157 5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1,613 middle-school 2nd grade studen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ontributed to explanation of elementry school 2nd grade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cluded sex, health states, concentration, parents’ marital status, neglects, and abuse,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elementary school 5th grade students’ sex,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time amount of computer games, multi-cultural family, parents’ neglects, peer attach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tly effected on their school adjustment. Finally, middle school juniors’ sex, height, concentration, aggression, physical symptoms, depression, time amount of computer games, parents’ monitoring, neglects, and abu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time amount of exercise at schools we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explained their school adjust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al stages or age differenc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investigation of diversified predictors of students' schoo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