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RIZ를 활용한 유아 및 노약자를 위한 안전감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이국환,이경원,Lee, Kook-Hwan,Lee, Kyeong-Wo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8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7 No.1

        There are no products, systems to manage health and detect security for infant, the old and the weak in Korea. Recently, the concerns of parents are increasing more about all of children(baby, infant, etc) because rate of birth is decreasing gradually. Also, the average span of human life is on an increasing trend according to well-being and evolution of medical treatment. Therefore, this treatise analyzed problems in managing and following-up infant, the old and the weak at present. By using TRIZ to solve problems, we devised new conceptional ideas, detail designs to manage health, detect security, cope with correspondences for them and developed the prototype and tested it. Excellent performances are proved through various field test.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읽기와 독서교육

        이국환(Lee, Kook-Hwan)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기존 교양과목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각 대학이 개설한 독서 중심의토론과 글쓰기 교육은 대부분 고전읽기에 집중하고 있다. 인문학 열풍과 고전읽기에 대한 대중의 관심, 정부의 재정 지원과 지원 받으려는 대학의 발 빠른대처가 2011년 이후 고전읽기 강좌의 급증을 초래했고, 고전읽기의 취지와 당위성에도 실제 대학 교양교육 현장에서 이를 실행하는 교수자와 학생들은 쉽 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독서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평생 독서자가 되게 하는 데 있다. 대학에서의 교육은 사회인이 되기 전, 마지막 제도교육이다. 대학에서 교양으로서의 독서교육이 정착하려면 교육목표를 분명히 해야 하며, 추천도서도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에 맞는 쉽고도 가치 있는 책을 폭넓게 선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독서 자체가 다양한 학문 분야를 다루기에 특정 전공을넘어 다양한 영역의 독서력과 토론 진행 능력, 글쓰기 및 글쓰기 평가 능력까지 갖춘 융합형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또한 독서토론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려는 구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평가문제로 독서교육의 본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과정중심의 평가를 정교하게 해야 한다. 끝으로, 교양교육 기구와 도서관의 협업을 통해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교양교과로 독서에 익숙해진 학생들이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general education, most universities have focused on reading and writing education, mostly in classics reading. The popularity of the humanities, the public s interest in classics reading, the government s financial support and rapid response from universities seeking support have led to a surge in classics reading lectures since 2011.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classics reading is not easily adapted by teachers and students who practice it in the field of actual gener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education is to be a lifelong reader. Education at university is the last institutional education before becoming a social worker. In order to set up reading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educational goals.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a recommendation book to select a wide range of easy and valuable books that meet the interests and level of students. Reading covers a wide range of disciplin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nvergent specialists with ability of reading ability, discussion progress, writing and writing evaluation in various areas beyond specific major.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specific efforts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reading discussion, and to elaborate the process-based evaluation so that the essence of reading education is not damaged by the evaluation problem. Finally, liber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libraries should cooperate to revitalize reading programs and help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reading as a general education subject

      • KCI등재

        조선시대 사가독서(賜暇讀書)와 "평생독서교육" 연구

        이국환 ( Kook Hwa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7

        조선시대의 사가독서(賜暇讀書)는 그 교육적 의의에 있어 오늘날 평생교육의 이상과 맞닿아 있다. 세종대에 시작된 사가독서 제도는 교육과정의 고정된 틀에 매이지 않았고 운영 과정도 ‘자발성·즐거운 학습’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학습(self-oriented learning)을 지향하였다. 하지만 사가독서는 시대 환경의 차이로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공급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공공성은 확보할 수 없었다. 이제 주 5일 근무시대를 맞아 현대인은 독서에 필요한 3L(Literacy, Leisure, Libraries)의 환경을 갖추었고, 이를 활용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독서할 수 있다. 정보사회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기존 지식과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아니라, 새로운 정보나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이며, 정보사회의 경쟁력을 갖추는 가장 큰 기반은 바로 전통적인 독서력에 있다. 이제 기존 학교교육의 틀을 벗어나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에 중점을 두어, 누구나 편안하고도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는 평생독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기업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그 밖의 대학 평생교육원, 각종 문화센터, 시민사회의 자발적인 독서동아리와 사이버공간의 독서 모임도 독서교육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평생독서교육은 사회구성주의 교육 이론을 바탕으로 독서동아리의 형태로 이루어질 때, 개인적 독서에서 벗어나 독서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고,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독서동아리의 운영 원리는 ‘자발성’과 ‘즐거운 학습’이란 평생교육의 이상을 존중하고 ‘실천성’과 ‘개방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Education ideal of Sagadogseo(賜暇讀書) in Chosun Dynasty is linked with idea of lifelong education today. Sagadogseo (賜暇讀書) drawing that King Sejong makes was not tied down on fixed frame of course of study. Education operation process intended self-oriented learning that base on ‘Spontaneity·joyful studying’. However, Sagadogseo (賜暇讀書) was no public of lifelong education that do by idal that is supplied everybody equally by difference of environment age. All life of individual, because escape frame of existing school education in four corners of life and emphasize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reading education that can approach everybody comfortably and impartially must consist all life. Public library, school library, corporation act leading role for this, and reading session of cyber space must become subject of reading education with voluntary reading part of other college`s lifelong education circle, various culture centers, civic society. All life reading education can foster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reading, and secure competitive power of knowledge that knowledge based society requires escaping in private reading when consist of form of reading part with social constructivism. And operation principle of reading part ``Spontaneity`` and ``Joyful studying`` ideal of lifelong education respect and must keep ``Practice`` and ``Openness``. Also, all life reading education must take charge function that can cure injury between reading club constituent each other not that is limited in sacred ground of culture and knowledge. Reading coach, reading specialist, teacher-librarian of present reading education are taking charge. Is guiding reading to all children or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n school. Expectation level about reading education by adults` attainments in scholarship level is high. Therefore, in lifelong education period, lead reading part and reading educationist to conduce need to be trained. General observation of graduate course that train lifelong education reading specialist to take charge reading education is expected to examine. Realistic discussion is thought to become another practical groping that can overcome humanistic crisis when consider the recent situation that request of lifelong education increases rapidly in reply.

      • KCI등재

        ‘Close reading’과 ‘Answering reading’을 활용한 비교과 독서프로그램 ‘동좌문도 북클럽’ 운영사례 연구

        이국환(Kook Hwan Lee)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동좌문도(同坐問道) 북클럽’은 2017년 2학기에 시작한 동아대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이다. 2018년 2학기에 운영한 ‘동좌문도 북클럽’ 2기는 한권의 책으로 한 학기에 교수와 학생이 독서 공동체를 이루어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를 실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참여 학생들이 고등 독해 능력을 기르고, 응답하는 읽기(answering reading)로 나아갈 토대를 마련하였다. 응답하는 읽기를 위해 인식론적, 정서적, 실천적 반응과 응답을 촉발하고자 교수와 학생이 정기적으로 독서토론 활동을 하였으며, 연극 관람, 낭독극 체험, 독서에세이 쓰기 등의 활동을 하였다. ‘동좌문도 북클럽’ 2기는 최근 독서교육의 이론적 논의를 교육 현장에 실제 적용해 보았고, 학생들이 공독을 실천하고, 고전 읽기로 도전적 독서를 경험했으며, 독서 공동체의 합의적 이해를 바탕으로 독자 자신의 삶에 다가가고, 이 모든 과정에 지도교수의 조력적 역할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그러나 운영 시기와 홍보, 도서 선정 과정의 문제점과 학생 중심 북클럽 운영의 필요성 등에서 개선점이 발견되었다. 그럼에도 ‘동좌문도 북클럽’ 2기에 참여하여 꼼꼼한 독서와 응답하는 독서를 경험한 학생들에게는 유능하고 능동적인 독자로 나아갈 소중한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The ‘Dongjwamundo(同坐問道) Book Club’ is an extracurricular reading program of Dong-A University that star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Dongjwamundo Book Club 2’, which was operat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8, had a close reading with a professor and a student reading community during one semester. Through this,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ble to read high reading ability and to do answering reading. Professors and students regularly gathered for reading discussion to stimulate epistemological, emotional, and practical answering for answering reading . And theater viewing, reader s theater experience, and reading essay writing. Dongjwamundo Book Club 2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Recently,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reading education was actually applied to the education field, and the students made a common reading. He experienced challenging reading with classical reading, and came to his own life based on Understanding by consensus of the reading community. And I made clear the role of the advisor in all of this process. However, improvements were found in terms of operation time, publicity, problem of book selection process and necessity of student centered book club operation. Nevertheless, We believe that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Dongjwamundo Book Club 2 and have experienced close and answering reading have become fluent and active readers.

      • KCI등재

        독서의 치유 기능과 문학의 환상성

        이국환(Lee Kook Hwan)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인문학의 실용적 가치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문학 독서를 통한 치유효과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독서의 치유 효과는 오래전부터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최근 독서치료 혹은 문학치료와 관련하여 여러 학회와 학술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가 쏟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 논문들은 대부분 치료사례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될 뿐, 치료의 핵심 원리인 카타르시스에 관한 연구조차 체계화되지 않은 상황이다. 카타르시스는 관습과 규범의 억압을 풀어놓고 결핍을 충족하며, 무지에서 벗어나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가치를 추구하여 앎의 세계로 진입하는 즐거움이다. 그 즐거움은 다른 분야가 제공하는 즐거움과 달리 섬세한 상징과 은유, 알레고리 등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이 엮어내는 이야기의 담론에서 발생하기에 독자의 삶에 깊이 관여한다. 특히 문학의 환상성은 자동적인 반응을 교묘하게 회피하면서 관습의 껍질을 깨뜨리는 새로움을 제공하기에 카타르시스를 통한 독서 치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이야기를 통한 재현의 욕구가 있다. 재현된 형상화를 재형상화하면서 독자는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이해한다. 그렇게 삶의 뜻을 다시 풀어보고 행동을 통해 자기 삶을 새롭게 만들어나가는 과정이 카타르시스이고, 그 치유의 원리가 독서의 치유 기능이다. 환상은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환상은 삶의 세계가 특정한 현실 개념에 의해 고정화되는 것을 저지하는 항체 역할과 독자를 가르치지 않고 설득하는 역할을 한다. 문학의 환상성이 단순히 흥미를 끄는 전략으로 작동한다면 독자들을 말초적으로 자극할 뿐이다. 영화와 드라마, 게임은 이미 환상을 대중적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흥미 위주의 가벼움이 환상의 다양한 가치를 가로막고 있다. 삶의 총체성과 윤리성을 진정성 있게 포착해내는 『국경시장』과 같은 환상소설은 카타르시스를 통한 독서의 치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While find the practical value of the humanities discussions on healing through literature reading is active. Healing of reading was of interest for a long time, and bibliotherapy and literature therapy journals in a variety of papers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However, this paper will treat most cases, as well as research progresses, the treatment did not even discuss the depth study on the key principles of catharsis. Catharsis has overcome the oppression of the customs and norms, to meet the deficit, out of ignorance in pursuit of value to overcome the stereotypes, it is a pleasure to enter into the world of knowledge. Such a pleasure to be deeply involved in the lives of readers to occur in the discourse of delicate symbols and metaphors, such as the story that weaves a variety of literary devices. Especially literature fantasy provides a newness that overcomes the customs to avoid automatic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healing function of catharsis principle. Humans have an instinctive desire for mimesis through the story. The reader is a re-figuration mimesis figuration. And the reader understand the world and understand their lives.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again,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own life catharsis, the principle of healing is the healing function of reading. Fantasy and reality are related. Fantasy is an antibody serves to prevent a world of life immobilized by a specific reality concept. And it serves to convince the reader not teach. Movies and dramas, the game has already been using the popular fantasy strategy. And lightness of interest are disparage the various value of fantasy. Fantasy fiction, such as the totality of life authenticity able to capture that The Border Marke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healing function of reading through a catharsis.

      • KCI등재

        김동립의 『주인 없는 성』 연구

        이국환(Lee, Kook-Hwan) 동남어문학회 2010 동남어문논집 Vol.1 No.30

        Until now Kim Dong-Lip literary historical research where the existence, searching difficult reason, his creation activity duration is short, works of fiction one only volume announces, novel editing which announces being few, is not the because of it. Kim Dong-Lip to getting the many attention in the present generation critics, he issue a present generation importantly and with subject is clear to create a problematic novel. Kim Dong-Lip Japanese Colonial Rule the beginning of the novel experience to the novel, wrote the colonization, modernization process occurring in the analysis of industrial society was a sharp contradiction, the existence of young intellectuals after the war, the story of the agony and the ideology of the false and violence, such as criticism, holds a variety of awareness of issues. In short, The Castle of no Owner contained in the 1 novella, 8 short story writer and reflect the era, and consistently shows awareness of the problem. But maybe this is Kim Dong-Lip's novel is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 His worth as a writer does not ignore the issues of the era of awareness of issues will be shown through the novel. Kim Dong-Lip is no longer working in the press without the use of a novel reason is these are closely related to consciousness. However, the problem of consciousness of a novelist or a novel as literature is not complete if you lower the quality of the topics on the contemporary novel as a literary work that can not sustain life. In addition, writer lived in that era of the critical mind with the consciousness of the postwar generation writer can not distinguish the contemporary phenomenon was the issue that will not last long. Kim Dong-Lip away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certainly was a writer of contemporary issues. Also, wait for his full-length novel reader expectations, even after all his appointments are not creating any more unfinished work was the writer. Kim Dong-Lip's novel about the study is just the beginning. This paper is the ability to capture the theme of Kim Dong-lip and awareness of issues, praised as a writer, and works whether the completeness or aesthetic achievement is trying to postpone to a future study. Many of his novels after the research was undertaken, Kim Dong-Lip's novel in literary history are worth considering and will not be too late. (Dong-A University)

      • KCI등재

        일반논문 : 소설의 치유 기능과 카타르시스

        이국환 ( Kook Hwan Lee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소설이 독자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지 고민하며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언급한 카타르시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카타르시스를 문학 전반의 개념으로 일반화하고자 폴 리쾨르의 ``이야기 해석학``의 주요 개념인 삼중의 미메시스(triple mimesis)를 살펴보았고, 카타르시스가 독자의 반응을 전제로 한 논의이기에 잉가르덴의 독서현상학, 이저의 수용미학 등도 포함하여 논의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머물 수 있는 한계를 감안하여 정미경의 소설 「모래폭풍」과 「달걀 삼키는 남자」를 텍스트로 인용하여 미메시스의 과정과 이에 따른 카타르시스를 살펴보았다. 문학의 언어로 옮긴 이야기가 소설이고, 소설을 읽으며 느끼는 독자의 카타르시스는 전통적 의미의 ``정화``와 ``순화``의 개념을 포함하면서도 더 큰 의미로 확장해야 한다. 카타르시스는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가치를 추구하여 앎의 세계로 진입하는 즐거움이다. 그 즐거움은 다른 분야가 제공하는 즐거움과 달리 섬세한 상징과 은유가 엮어내는 이야기의 담론에서 발생하기에 독자의 삶에 깊이 관여한다. 인간은 본능적으로 재현의 욕구가 있다. 재현된 형상화를 재형상화하면서 독자는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삶을 이해한다. 그렇게 삶의 뜻을 다시 풀어보고 행동을 통해 자기 삶을 새롭게 만들어나가는 과정이 카타르시스이고, 그 치유의 원리가 소설의 치유 기능이다. 소설의 치유라는 측면에서 「모래폭풍」의 인물 행동 특성을 파악하였고, 허구의 시간을 통해 「달걀 삼키는 남자」를 분석하였으며, 이해와 깨달음을 통해 카타르시스가 실현될 수 있음을 밝혔다. 앞으로 소설의 치유 기능은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하며 치유의 기능에 적합한 작품을 제시하는 연구가 이야기 해석학, 독서현상학, 수용미학 등의 문학이론을 바탕으로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의 다양한 이론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 studied about catharsis that say in Aristotle`s Poetics thinking what novel can give to reader. As I studied triple mimesis that is importance concept of Paul Ricoeur`s ``Narrative Hermeneutics``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catharsis and catharsis presupposes reader-response, include and studied Ingarden``s ``Reading Hermeneutics``, and Iser`s ``Aesthetic of Reception``. I thought limit that can stay in theoretical study, and quote Jeong Mee Kyung`s novel The Sandstorm and The Man Who Swallow Egg and study mimesis` process and catharsis. I think that story that move in literary language is novel, and think that must extend to more large meaning as catharsis that read novel and reader feels includes concept of traditional meaning ``Purgation``, ``Purification``. Catharsis is pleasure that make off value that pass over stereotype to the world of pursue knowledge. Is concerned deeply in reader`s life to happen in story`s discourse that the pleasure is different from pleasure that other field offers and its delicate symbol and metaphor produce. Human has mimesis` desire instinctively. Reader figuration doing re-figuration world and own life understand. Process that reader so realize again hope of life and form own life through action newly is catharsis, and the healing`s principle is healing function of novel.

      • KCI등재후보

        전통적 교양과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연구

        이국환 ( Kook Hwan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8 石堂論叢 Vol.0 No.42

        전통 사회가 추구했던 교양의 핵심은 자아실현과 현실에 대한 봉사 실천이었다. 현대 교양교육의 이상 역시 책임 있는 인간과 시민을 지향하는 전인교육을 의미한다. 지식의 양이 많아지고 폐기 속도가 급속한 오늘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흡수하고,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전인교육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교양교육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으며, 그 중심에 `글쓰기` 교육이 있다. 글쓰기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지식기반사회, 정보사회, 세계화의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교양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은 도구 과목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 기존의 형식주의 이론에 따른 글쓰기 교육 방식을 지양하고, 의사소통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의 글쓰기 교육을 추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입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평가하여 각 학생의 수준에 맞는 글쓰기 교육 과정을 나눌 필요가 있으며, 소규모 단위의 강좌를 개설하여 대화와 토론 등을 활성화하고, 첨삭과 평가를 담당 교수가 전권을 가지는 게 아니라 상호 분석과 평가를 병행해야 한다. 또한, 글쓰기를 연구하고 강의할 독립기구를 만들어 글쓰기 과목의 교수 방법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체계적인 강의 방식이 도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는 사유 절차와 인간 형성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여, 자아실현이라는 교양교육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야 한다. 개인사의 관점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회고록, 이력서, 사이버 모둠일기 등의 글쓰기를 통해 자기 성찰의 글쓰기를 지향해야 한다. 요컨대, 전통적 교양을 계승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글쓰기 교육의 방향은 정보사회, 지식기반사회에 맞추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추구하되, 성찰이 없이는 진정한 의사소통이 불가능함을 인식하고 자기 성찰의 글쓰기 교육도 강화해야 한다. Point of culture that traditional society wants was service practice for self-realization and actuality. Idial of modern general education means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at intend responsible human and citizens. Amount of knowledge becomes much and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need to be emphasized more to study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today that the speed that becomes useless is early, and intend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at is last target of education, and there is `Writing` education in the center. Firstly, the direction of the writing education as a culture has to start from the thing in which it establishes an identity as the tool subject in order to manage with the knowledge-based society,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flow of a globalization actively. The writing method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existing formalism theory is sublated. The writing education of the mode of maximizing the Communication Ability has to be pursued. For this, the writing capability of the entering students is evaluated and the writing course of education of matching with the level of each student needs to be shared. And the chair of the small scale unit is opened and a dialogue and discussion, and etc. are activated. The professor in charge doesn`t have the exclusive right a correction and evaluation but the mutual analysis and evaluation have to be run parallel. Also, professor methodology of to write because study to write and make independence organization to lecture subject is studied vigorously, and must do so that systematic lecture way may can be introduced. Secondly, the writing as the general education enough utilizes the function of the proprietary procedure and human formation. It is made to the goal of the self realization which is general education. In of the individual history, the letter write of the self-examination has to be intended through the letter write including the self-introduction letters write, the memoirs, a resume, the cyber Modum diary, and etc. In short, And of the writing education as the conventional cultural education fits to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pursues the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the writing education as the conventional cultural education recognizes that the communicaion in which a reflection is penuriously genuine is impossible and the writing education of the self-examination has to intensify.

      • KCI등재

        동아대 비교과 독서프로그램 ‘동좌문도 북클럽’ 운영 사례 연구

        이국환(Lee Kook Hwan)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동좌문도(同坐問道) 북클럽’은 평가와 무관하게 자발적으로 교수와 학생들이 모여 책을 읽고 토론하며 글을 쓰는 동아대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이다. 교육목표는 독서를 바탕으로 동아대의 교육목표에 닿아 있으며, 특히 평생 독자로서 능동적인 독서 태도를 기르는 데 목표를 두었다. 2017년도 9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운영했으며, 조별 구성원은 멘토와 멘티, 지도교수이다. ‘동좌문도 북클럽’을 통해 학생들은 책을 선정하는 안목을 기르고, 선정된 한 권의 책을 함께 읽는 공독(共讀)과 천천히 깊게 읽는 지독(遲讀)을 실행하였다. 독후 활동으로 기존의 독후감에서 나아가 창작의 영역인 ‘독서에세이’로 마무리하였고, 에세이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하여 학생이 독자에 머무르지 않고, 저자가 되는 경험을 했으며, 책 출간을 통해 학내 독서문화 진작에 이바지했다. 나아가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한 인성 함양의 토대도 마련했다. ‘동좌문도 북클럽’은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과정에서 몇 가지 개선점이 나타났다. 운영 일정이 촉박하여 한 권의 책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토의를 거치지 못했고, 지도교수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상대적으로 멘토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았다. 독서에세이 쓰기가 창작의 영역이라 학생들의 부담이 지나치게 컸고, 정식 도서에 자신의 글이 실린다는 계획에 부담을 느꼈기에 글쓰기 지도를 더욱 강화해야 했다. 무엇보다 조별 활동에서 이루어진 성과를 ‘동좌문도 북클럽’ 전체로 확산하는 노력과 독서 관련 교과교육과정과 비교과 독서프로그램을 긴밀하게 연계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The ‘Dongjwamundo(同坐問道) Book Club’ is a Dong-a University extracurricular reading program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voluntarily read, discuss and write independently of the evaluation. Based on reading, the goal of education is to reach Dong-a’s educational goals. In particular, it aims to cultivate an active reading attitude as a lifelong reader. From September 2017 to January 2018, the group members are mentors, mentees, and advisors. Through the ‘Dongjwamundo Book Club’, the students developed a sense of selecting a book and conducted a shared reading and a slow reading on one pre-selected book. We wrote ‘reading essay’ as a post-reading activity. And the essay was collected and published as one book, and the student did not stay in the reader, but had experience as an author. In addition, we published books and revitalized the university’s reading culture. Furthermore, we have laid the found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humanity based on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ultivation of humanities. However, there are some improvement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Although the selection of one book was enough to be discussed, the schedule of operations was tight and the role of the mentor was unclear. The students had difficulty in writing a reading essay, and felt the burden of planning to write my essay in a formal book. Therefore, we had to strengthen the writing instruction. It was necessary to spread the achievements of the group activities to the whole of the ‘Dongjwamundo Book Club’. The curriculum and the extracurricular reading program had to be closely linked.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 :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 활동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 효과 분석

        이국환 ( Kook Hwan Lee ),김효남 ( Hy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에 있는 두 초등학교, S초등학교 4학년 2개 반과 J초등학교 4학년 2개 반을 각각 실험반 2개 반과 통제반 2개 반으로 구성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반 학생들에게는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한 자유탐구를 8주간 실시하였고 통제반 학생들에게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과학 탐구 능력 하위 요소에서도 기초 탐구 능력과 통합 탐구 능력 모두에서 효과를 보였다. 이는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하는 것이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은 교육 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자유탐구의 수행 보다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중 개방성, 협동성, 자진성에서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후면담 결과와 같이 학생들은 자유탐구에서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가 주제를 정하는 방법, 자유 탐구를 하는 방법, 결과를 작성하는 방법 등에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자기주도적 과학 탐구 노트의 활용이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다른 학년에도 적용하여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using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grade 4 open inquiry activities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th grade students,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wo control groups, in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K district. The pre and post test were conducted on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open inquiry with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for 8 week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conducted general open inquiry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pecifically in the areas of basic process skills and integrated process skills.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cience inquiry abilities. Second,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more effective than the general open inquiry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Especially, open-mindedness, cooperation, and voluntariness in the areas of scientific attitudes were improved. Third, students acknowledged that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the way of choosing topics, conducting open inquiries, writing results, etc as shown in post interview results. Therefore, it is needed to apply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to other grades since the use of self-directed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is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