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내장학의 문제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이민희(Min Hee Lee),이국진(Kuk Jin Lee),신재철(Jae Cheol Shi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교육연구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중등교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의 질 향상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이라는 교내장학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내장학의 유형과 영역은 무엇인가? 둘째, 교내장학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내장학의 유형(형태)은 추로 수업장학, 동료장학, 자기장학, 약식장학, 자체연수로 분류된다. 그리고 교내장학이 주로 다루는 영역은 크게 교사의 전문적 발달 영역, 교사의 개인적 발달영역, 학교의 조직적 발달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다음으로, 교내장학의 문제점은 형식적이고 보여주기 위한 장학, 교내장학에 관해 교사들의 거부감, 수업과 업무의 부담, 일방적인 장학계획수립, 교사들의 소극적 참여, 평가위주의 권위적인 장학, 시설과 기자재 및 장학활동을 위한 자료 부족 등이다. 교내장학의 개선방안은 교내장학이 다루는 세 가지 영역의 조화 실시,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 및 발달단계에 따른 다양한 운영, 교사의 자율성과 참여 유도, 시설과 기자재 및 자료 구비, 교사들의 업무경감, 장학담당자의 역량 강화와 역할 제고, 학교의 개방 풍토 조성 등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let teachers to achieve professional a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analyzing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o achieve the goals,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are the types and domains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on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five types of school based supervision: classroom supervision, collegial supervision, self supervision, informal supervision, and self training and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domains such as professional developmental domain, personal developmental domain,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al domain. Moreover, these propose that the factors of problem of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re formal and token supervision, repulsion of teachers on supervision, burden for class and paper work, top down planning of supervision, passive participant of teachers, authoritative supervision by evaluation, and lack of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supervision. The study also suggests ways of improving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s follows: harmonizing three domains, various management based on teachers` needs and developmental stages, motivation for autonomy and participant, equipped facilities and materials, reduction of paper work, strengthened supervisors capacity and reconsideration about their roles, and setting an open school clim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