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he Fluctu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Neofunctionalism,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이구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1

        During the High-Level Talks period (1990-1992), the two Koreas showed their “good faith” to end antagonism and build the foundations of peaceful coexistence and ease tension. There was no real willingness to accept the other party’s position and no real agreements were reached at all. As a result, the High-Level talks and other related efforts to achieve greater inter-Korean cooperation were bound to fail: they were never going to move the reunification process forward significantly. This notion runs counter to conventional notions of neofunctionalism that cooperation in functional and non-contentious fields can spillover to produce greater cooperation in other, more contentious fields. Both Koreas made efforts to increase cooperation through the Basic Agreement as a sign of creating institutional agreements. This cooper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propositions relating to institutionalization that are developed in neofunctionalism. Both Koreas’ perception of mutual benefits was a major factor which encouraged cooperation in a situation where each side had ruled out the use of armed aggression. I argue that these percep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propositions relating to absolute gains concerns that are developed in neoliberal theory. In contrast, both sides’ concerns about the relative losses from inter-Korean cooperation gave rise to security fears. The breakdown of cooperation can be analyzed using the propositions about relative gains concerns as non-cooperation developed in neorealist theory. The emergence of the possible use of armed aggression was a key factor for the failure of the two Koreas to maintain cooperation. In conclusion, each of three ‘orthodox’ theories has a partial relevance in explaining the symptoms of cooperation and the revival of the antagonism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even though they are neither theories of reunification nor primarily concerned with explaining the politics and economics of Northeast Asia.

      • KCI등재

        미국의 위기외교와 동아시아정책

        이구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3

        East Asia has become a dynamic region and potential development of the 21st century that has attracted Washington's favourable attention. In addition, resolution of North Korea's nuclear row and American forces stationed in the ROK and Japan are the key factors that have impact on significant national security interests for the US. According to a traditional US security strategy, the US aims at managing crisis and preventing conflicts in the region by adopting the balance of power policy. In this regard, North Korea's missile and nuclear tests are seen as provoking the US nonproliferation policy and regional peace. The US regards this provocation as a serious challenge that it has to deal with. With respect to the international economic crisis, the US is worried that it will escalate financial wars among major powers and damage America's economic capability. To deal with these regional and global issues including ongoing wars,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 Obama administration introduced a new foreign policy with the notion of smart power. This new foreign policy is 21st century crisis diplomacy and differentiates from the traditional term 'crisis diplomacy' by focusing on avoiding nuclear war with the activity of professional diplomats. The US's crisis diplomacy has become a core variable for the development of East Asia and the change of international politics as well. In particular, Secretary Clinton detailed the five principles for US foreign policy in East Asia. These include i) the foundation of the US alliance system and bilateral relationship, ii) building a common regional economic and security agenda, iii) the importance of result-oriented cooperation, iv) the need to enhance the flexibility and creativity of US multilateral cooperation, v) the principle that East Asia's defining institutions will include all the key stakeholders such as the US. The five strategic precepts guide the Obama administration's engagement in East Asia. This paper concludes that as either a facilitator or a moderator, the US has calculations for strengthening other countries' desire for US leadership and leading in the East Asian Century. 21세기 동아시아의 역동성과 발전 가능성은 이 지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더욱 증가 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지역 내 질서와 평화를 위한 북핵문제 해결, 한국과 일본 내 미군의 병력 주둔은 미국 안보이익의 핵심으로 간주되고 있다. 전통적인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전략에서 지역 내 힘의 균형과 분쟁방지를 내용으로 하는 위기관리가 목표임을 고려해 볼 때, 북한의 미사일발사와 핵실험은 역내 평화는 물론 미국의 비확산정책에 반하는 중대한 위기상황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은 아이슬란드의 국가부도로 촉발된 유럽 내 금융위기가 국가 간 금융전쟁(financial war)로 확산되어 자국의 경제력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오늘날 지역 또는 지구적 차원의 복잡 다양하고 불확실한 안보, 경제와 환경위기 문제를 다자적 협력을 통해 관리하고 상황악화를 예방하고자 오바마 행정부는 신외교전략을 도입하였다. 이것은 초강대국 간의 핵전쟁을 긴급히 방지하기 위한 외교적 수단이나 전문 외교관들의 활동만을 내용으로 하는 냉전시대 전통적인 ‘위기외교’(crisis diplomacy)개념과는 차별화된 21세기형 위기외교라고 할 수 있다. 미국의 신외교전략은 국제정세의 변화는 물론 동아시아 지역 발전에도 상당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동아시아 정책에 있어서 다섯 가지 원칙들 i) 미국 동맹체제 공고화와 양자파트너십의 설립, ii) 지역경제와 안보에 관한 공동 과제 구축, iii) 결과지향적인 협력의 중요성, iv) 미국의 다자협력에 대한 유동성과 창의성 향상, v)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다자체제 참여를 국가별 또는 사안별로 분리 적용하여 균형과 효율을 극대화하는 외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안보질서를 위해서는 역사적으로 이 지역에 관심과 개입을 지속해온 미국이 동아시아 발전과 협력증진을 위한 촉진자(facilitator)로서 그리고 분쟁과 갈등을 중재하는 중재자(moderator)로서의 역할과 이를 통한 리더십강화를 지향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21세기 한국 민주주의와 중도 정치이념 - 민주당의 생활정치 분석을 중심으로 -

        이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07 아태연구 Vol.14 No.1

        This paper analyses the problems of ideological polariz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in the areas of politics and economic. Based on this, it will be examined the principles and theoretical logics of 'life politics' proposed by the Democratic Party. The aim of this analysis is to suggest the model for building the advanced society through elaborating social consensus on compatibility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in the 21st century. To do the task,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olving Korean society in terms of three aspects: condensity, pluralism and irresponsibility. The features resulted in serious problems such as the distortion of party politics,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fter solving the substantial problems, Korea will take an opportunit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advanced society in the post-industrial period. The prime agenda of this Korea should be the human rights that is the viable value of democratic society.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사회의 시대정신으로 거론되는 중도정치가 대두된 배경인 양극화 문제를 정치․경제 분야에서 살펴보고, 중도정당으로서 민주당이 표방하고 있는 생활정치의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근거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21세기 한국사회의 통합과 실질적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한국사회 변화과정에서 드러난 3가지의 특징을 압축성, 중첩성, 그리고 시차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정당정치의 왜곡, 현대사회 문명의 혜택에서 소외되는 사회적 배제현상, 그리고 경제적 약자 층이 확대되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 없이는 21세기 탈산업화 시대의 선진사회 건설은 요원하며 새로운 사회 모델 구축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은 민주주의의 본질적 가치인 인권보호라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

        신다원주의 이론과 한국의 중동정치 모델:민주당의 정강정책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구 한국동북아학회 2007 한국동북아논총 Vol.12 No.3

        본 논문은 IMF 외환위기 이후 한국 사회변화 속에서 야기된 갈등의 주된 원인이 이념적 양극화에 있음을 전제로 하여, 신다원주의 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 중도정치의 이념 정체성 확립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신다원주의적 가치, 논리, 주장에 대한 고찰을 하는 한편, 당의 정체성으로 중도를 표방하고 있는 민주당의 정강정책과 연계성을 찾아보고자 한다.탈산업화 이후 서구 자유국가들이 경험한 성장과 분배, 대량실업문제에 대해 신다원주의자들은 좌파와 우파가 제시한 해결책은 단순한 것으로 간주하며, 이념적 갈등은 무의미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성장과 분배 가치는 서로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탈계급정치에 기초하여 신다원주의자들은 현 사회질서의 결점과 문제에 대해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훨씬 섬세한 분석과 해결방안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신다원주의자들은 실천방안으로서 i) 탈계급정치 ii) 재계의 영향력 강조 iii) 분권화 iv) 내부통제제도 v) 정부의 전문화 vi) 정부에 대한 외부통제제도 vii) 상호 협력적 의사결정제도 강화 viii) 사안별 공공정책 결정 참여 증대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신다원주의자들의 실천방안은 생활정치 구현을 목표로 하는 민주당의 이념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Neo-Pluralism and A Model of Center Politics in Korea Lee, Goo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theoretical background to establish the ideological identity of the Democratic Party as a center party through the analysis of neo-pluralism. To achieve this goal, prepositions and values of neo-pluralism will be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the Democratic Party's basic policies will be explored. Neo-pluralists insist that the measures of conventional socialism and new-rights 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mass unemployment are irrelevant. They reject all these nostrums as simplistic. They believe that social values of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can be compatible. Neo-pluralists also suggest that a sophisticated way of analysis and solution is necessary to grapple the inherent complexity of modern social systems. As key solving methods, neo-pluralists emphasize the following propositions: the shift away from class politics, the privileged position of business, the creation of policy community between the center and localities, the professionalization of government, inner surveillance on professionalized government, externalized controls on government officials, the creation of interactive policy-making systems, the growth of issue-specific forms of public participation.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to Democratic Party will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ideological framework as a major center party in Korean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