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시대, ‘신’에 대한 현대 자연신학의 논의 ― R. 스윈번과 R. 스태나드의 신 이해 그리고 신정론에 대한 대답들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조직신학회 2021 組織神學論叢 Vol.64 No.-

        본 논문은 과학시대에 신 존재를 논하는 현대 자연신학의 새로운 시도들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R. 스윈번의 ‘궁극적인 확고한 사실’로서의 신, R. 스태나드의 ‘초-정신’으로서의 신 그리고 이들의 신정론에 대한 대답을 다루며, 그럼으로써 자연과학의 최신 연구결과들 안에서 재해석된 신학적 논의들의 의미와 한계를 제안하게 된다. 자연신학이란 전통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탐구로서, 계시와 다른 자연의 빛, 즉 이성 안에서 그리고 그 이성을 통해 바라보는 외부 자연 안에서 신 존재에 대한 근거 제시가 가능하다는 전제를 가진다. 그리고 스윈번과 스태나드는 이러한 자연신학적 전제 아래에서 현대과학을 통해 ‘신의 존재’ 및 기독교교리를 새롭게 해석한다. 2장은 스윈번의 자연신학에 대한 이해와 ‘궁극적인 확고한 사실’로서의 신 이해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스태나드의 자연신학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초-정신’으로서의 신 이해가 다루어진다. 4장은 스윈번과 스태나드가 자연신학과 신 이해를 통해 대답을 시도하는 신정론의 문제를 살펴본다. 5장은 글을 요약하고 이들이 시도하는 자연신학의 의미와 그 한계를 제안한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attempts of modern natural theology to understand and present the Being of God newly in the scientific age. To this end, this thesis uses R. Swinburne’s God as the ‘ultimate brute fact’, R. Stannard’s God as the ‘super-mind,’ and their answers to theodicy. Forthemore and thereby, within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f natural science, a reinterpreted understanding of God, its meaning and limitation are proposed. Natural theology is traditionally an inquiry into nature, with the premise that God’s argument and inquiry are possible. And Swinburne and Stannard interpret the ‘Being of God’ and Christian doctrine anew through modern science under these natural theological premises. Chapter 2 examines Swinburne’s understanding of natural theology and God’s understanding as the ‘ultimate brute fact.’ Chapter 3 deals with Stannard’s understanding of natural theology as well as God’s understanding as a ‘supermind.’ Chapter 4 examines Swinburne’s and Stannard’s answer about theodicy problems. Chapter 5 summarizes the text and suggest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natural theology.

      • KCI등재

        한국 기독교의 정치참여와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 - 발터 벤야민과 존 하워드 요더에 관련하여 -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대학선교학회 2017 대학과 선교 Vol.34 No.-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의 우파와 좌파의 정치참여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의 정치학을 제안한다. 특별히 여기서 논의될 자기 비움의 해명을 위해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신적 폭력`의 개념과 존 하워드 요더(John H. Joder)의 `예수의 정치학`이 핵심 단초로 사용된다. 정치란 특수한 분과가 아니라 (아리스토텔레스적) 삶의 기술이며, 이런 의미에서 기독교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세속권력의 잘못에 침묵하지 않고 저항해야 한다. 그러나 이 저항이란 단지 비폭력적인 방식으로만 수행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이 저항으로부터 혹시라도 세속권력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가 나타나더라도 그것의 획득을 포기하는 것이 기독교인의 자세이다. 왜냐하면 예수 그리스도가 자기 비움(케노시스) 안에서 보여주었던 삶이 바로 이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본다면, 한국의 보수우파 기독교 세력과 진보좌파 기독교 세력, 특별히 민중신학은 한계를 가지며,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된다. 참다운 기독교인은 어떠한 핍박이 와도 결코 기득권 혹은 권력의 정의롭지 못한 횡포에는 침묵하지 않으면서도, 혹시라도 비판을 통해 세속권력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때 그것을 과감히 포기해야 한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정치적 태도를 받아들일 때, 한국교회가 직면한 위기는 새롭게 극복될 수 있다. Die Abhandlung kritiziert sich auf die Phanomene der Politiksteilnahme in beiden koreanisch-christlicher Rechte und Linke, und zeigt die Politik des Sich-Leeren (Kenosis) Jesus Christi vor, als den Ansatzpunkt der Uberwindung dieser Kritik. Zur Erorterung des obigen Sich-Leerens, insbesondere, werden hierbei die `gottliche Gewalt` W. Benjamins und die `Politik Jesus` J. H. Joders behandelt. Die Politik meint, nach Aristoteles, keine spezielle Abteilung der Wissenschaft, sondern die Art vom Leben; in diesem Sinn ist festzustellen, dass sich die Christen gegen den Felher der weltlichen Macht widerstehen mussen. Diese Widerstand jedoch muss sich nur durch die ungewaltige Methode vollziehen, gleichzeitig: Die Haltung des Christen heißt, dass er die weltliche Macht aufgeben kann, wenn er sie durch den obigen Widerstand aufnimmt. Denn das Leben Jesus Christi als das Sich-Leeren (Kenosis) war geradeso. In diesem Sinn ist festzustellen, dass sich sowohl der konservative Einfluss (Rechte) des koreanischen Christentums als auch der Fortschritt (Linke) des koreanischen Christentums in einen Irrtum bringen. Dem wahren Christen ist es notwendig, einen Damm gegen die unrechte Willkur trotz der weltlichen Macht zu errichten, trotz ihrer Bedrohung, gleichzeitig: Er muss sich standhaft weigern, zur weltlichen Macht zu werden. Und wenn die Christen von Korea diese Haltung der Politik nachfolgen, wird es erst moglich sein, diese Krise neu zu uberwinden.

      • KCI등재

        현대 신학의 케노시스 이해로 보는 하나님과 인간 : 케노시스 이론을 통한 신-이해와 인간-이해의 재구성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1 No.-

        본 논문은 케노시스 개념을 통해 기독교 신학의 하나님 이해와 인간 이해를 재구성한다. 먼저 케노시스란 예수 그리스도의 육화를 가능하게 했던 자기-비움을 의미하며, 우리는 이 개념을 예수 그리스도를 넘어 성부 하나님 자체의 본성으로 확대한다. 이와 관련하여 맥그리거는 케노시스가 창조자이신 성부 하나님의 본성이자 원형이라 규정하면서 그의 창조의 원리를 힘을 사용하는 작업이 아니라 오히려 스스로의 힘을 제한함과 동시에 존재의 한쪽 질서인 필연성을 허락하는 사건으로 해석한다. 몰트만은 케노시스를 통한 창조이론을 보다 확장시키면서 이것을 유대교 카발라 전통의 침춤과 연관시킨다. 이미 창조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자기-비움의 현상은 하나님 자신이 스스로를 창조자로 규정하고, 무한한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축소시키기 위해 무로 보냄으로써 고통과 고난을 감당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자기-비움을 따라, 인간 역시 자신을 비우는 자이다. 그는 하나님의 형상을 받은 자로서 하나님이 그 본성상 자기-비움인 한에서 동시에 비움의 길을 가고 있는 자이다. 그는 결코 비움없이 살아갈 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비움 없는 삶이란 우리가 일상 안에서 악으로, 죄로 규정될 수 있다. 케노시스를 따르는 ‘참된 인간이란 그리스도의 비움을 따라 날마다 죽고, 날마다 다시 살아나는 참된 자기이다.’ 바로 이러한 참된 인간이 신을 사랑하는 자일뿐만 아니라, 피조물을 사랑하는 자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먼저 사랑하면서 피조물들을 위해 자신을 비우고 계시기 때문이다. 보다 적극적으로 표현한다면, 신이 사랑하는 피조물이란 낮고 천한 자들이며, 그래서 그는 낮고 천한 자들의 하나님이시다. This paper reconstructs, through the concept of kenosis, the God-talk and the human-understanding in the christian theology. First, Kenosis means self-emptying of God, which enabled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nd we extend this concept beyond Jesus Christ into the nature of God the Father. In this regard, McGregor argues that Kenosis is not the work of using the force of his creation as the creator, the nature and prototype of God the Father, but rather limiting his own power and allowing the inevitability of one order of existence Interpret. Moltmann expands the creation theory through the Kenosis and associates it with the Zimzum of the Kabbalistic tradition of Judaism. The phenomenon of self-emptiness that is already happening in the creation means that God Himself has suffered as the Creator through sending Himself to nothingness. Following this self-emptying of God, human has to empty himself also. He is the one who has received the image of God, and he is on the path of his own emptying with God. He can never live without emptiness, but rather without this empty, life should be defined as evil. The true human beings, who is kenotic, are the true self, who die every day according to the emptiness of Christ, and revive every day. This true man is not only one who loves God, but also one who loves all other creatures. Because God is emptying himself to realize love about his creatures. He carries the sins of the creatures together. God loves are low and inferior creatures, and he is the God of the low and lowly.

      • KCI등재후보

        생태여성주의신학과 환경위기의 문제 - 전통 신론과 기독론의 생태학적, 여성주의신학적 재구성에 관련하여 -

        이관표(LEE Kan-Pyo)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19 동서정신과학 Vol.2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생태계 위기에 대하여 현대 기독교신학이 어떠한 대안을 시도하고 있는지 밝혀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본 연구자들은 특별히 기독교 신학 안의 생태여성주의 신학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2장에서 우리는 현대의 생태계 위기에 대한 기독교적 책임에 대해 논하기로 한다. 이것은 곧 인간의 신인동성동형론 및 인간중심주의에 의해 나타났던 다양한 세계관들이 결국 생태계를 마음대로 다루고 파괴하는 결과를 만들어냈음을 지시한다. 3장에서는 생태여성주의 신학의 규정 및 기본적 목표를 살펴보고, 4장에서는 에코페미니즘에서 위기극복을 위해 시도하고 있는 신론의 해체와 재구성을 살펴본다. 이 안에서 신에 대한 담론은 이제 가부장적 남성신 만의 표현으로부터 남성신과 여성신 모두가 함께 표현되는 방식으로 재구성된다. 5장에서는 위기극복을 위한 또 하나의 작업으로서 기독론을 고찰하고, 그럼으로써 예수 그리스도가 가부장적인 이해를 넘어 해방자의 모습으로 드러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진정한 생태계와 여성 억압의 문제를 극복하고 전일성으로 모든 관점을 전환하는 의미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도해야만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ose which alternative the modern christianity makes against the ecological crisis as big trouble for today. For that, specially the researchers focus on the eco-feminist theology in today’s christian theology. First, in Chapter 2, we will discuss the Christian responsibility for the modern ecosystem crisis. This indicates that the various worldviews that have been revealed by the human god anthropomorphism theory and anthropocentrism eventually produced the result of manipulating and destroying the ecosystem at will. In Chapter 3, we will examine the theories and basic goals of eco-feminist theology. In Chapter 4, we examine the dismantl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theology that is attempting to overcome the crisis in eco-feminism. In this, the discourse on god is now re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both male and female gods are expressed together from the expression of patriarchal male god. In chapter 5, we examine Christology as another work for overcoming the crisis, so that Jesus Christ appears as a liberator beyond patriarchal understanding. Finally, we should attempt to overcome the problems of genuine ecosystem and women’s oppression, and to suggest a meaningful alternative to convert all perspectives with the Wholism.

      • KCI등재

        현대신학의 케노시스 논의를 통한 새로운 성령 이해와 영산 신학의 성령론

        이관표 ( Lee Kan-pyo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1 영산신학저널 Vol.- No.55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신학의 핵심 개념인 케노시스 논의를 통해 우리 시대에 적용 가능한 성령 이해를 제안하고, 이것을 한국교회의 대표적 성령론인 영산 신학의 성령 이해와 비교하는 것이다. 케노시스(κένωσις)라는 개념은 빌립보서 2:5-11, 그리스도 찬가 안에 있는 내용으로서,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을 명명한다. 이러한 자기 비움이란 성육신으로서 그의 겸허와 성품을 표현함과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가 본래 성부 하나님과 동일한 하나임을 설명하려는 신학적 노력이기도 하다. 그리고 현대신학은 이 개념을 성자 하나님에서 멈추지 않고, 성부 하나님 자신의 본성에 대한 표현으로 확장하여 하나님을 스스로를 비우시는 분으로 고백한다. 본 논문은 앞서 언급한 성자와 성부의 비움의 본성이 삼위일체 안에서 함께하시는 성령에게도 해당된다는 점을 밝히면서, 결국 성령 자체가 삼위일체 안에서 자신을 비워 다른 위격을 드러나게 해주는 비움의 영으로 규정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령은 분명히 삼위일체로서 하나님 그 자신이시다. 그리고 케노시스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본성이면서 창조로부터 자기를 비우는 하나님의 본성인 한, 이것은 동시에 삼위일체 안에서 성령에게도 해당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는 영산 신학의 성령론 안에서도 분명하게 선포되고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new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that is applicable to modern era through the discussion of Kenosis as the core issue of modern theology, and to compare thi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Holy Spirit of Youngsan theology, which is the representative theory of the Holy Spirit in the Korean church. Kenosis (κένωσις) is a theological concept mentioned in Philippians 2:5-11 that explains the act of self-emptying by Jesus Christ as an effort to demonstrate his divinity and interchangeability with God through incarnation. And modern theology extends this concept even further by expressing it as God the Father’s own nature and confesses God as the one who is self-emptying.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above-mentioned nature of the emptying and sacrifice of the Son and the Father is also applicable to the Holy Spirit who is together in the Trinity. The Holy Spirit is clearly God Himself in the Trinity. And as long as Kenosis is the self-emptying nature of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and of God the creator, it can be said that this also applies to the Holy Spirit in the Trinity. And this understanding is clearly proclaimed in the theology of the Spirit of Youngsan theology.

      • KCI등재

        신학의 원초적 방법론으로서의 ‘철학적 신학’

        이관표(Lee, Kan-Pyo)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철학적 신학 Philosophische Theologie을 신학함의 원초적 방법론으로 규정하고, 그 이후 이것의 예시를 그리스도교 신학과 교리의 재해석 안에서 살펴본다. 여기서 말하는 원초적 방법론이란 신학함의 시작에서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자기성찰/자기반성을 의미하며, 이것은 ‘원초-신학 Proto-Theologie’이라 명명될 수 있다. 2장에서는 철학의 어원과 더불어 그것이 신학과 어떤 연결점을 갖는지 살펴본다. 그 이후 3장에서는 신학이 늘 인간의 자기이해 안에서 구성되어왔음을 밝히는 포이에르바하 Ludwig Feuerbach와 불트만 Rudolf Bultmann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4장은 이 비판을 넘어설 수 있는 자기성찰/자기반성의 방법론으로서 철학적 신학을 제안하고, 5장에서는 이러한 작업이후로 새롭게 구성될 수 있는 그리스도교 신학과 교리의 재해석 문제를 다룬다. 철학적 신학이 지시하고 있는 철학과 신학의 접점은 인간 스스로가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을 경험하는 자기성찰, 자기반성, 그리고 우상파괴의 장소이며, 바로 여기로부터 신학은 새롭게 신에 대한, 신에 의한, 신을 위한 학문을 올바르게 시작할 수 있다. 그래서 신학에서의 철학적 신학은 원초적 방법론, 즉 원초-신학이라 명명될 수 있다. This paper defines philosophical Theology as the primitive methodology of theology, and then attempts to apply this in the reinterpreta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doctrines. The primitive methodology here refers to self-reflection that must pass at the beginning of theology, and it can be called ‘Proto-Theology’. In Chapter 2, we look at the etymology of philosophy and what connection it has with theology. From there, Chapter 3 critically examines the work of Ludwig Feuerbach and Rudolf Bultmann, who argued that theology has always consisted of human self-understanding. Chapter 4 proposes the fact that philosophical theology acts as a method of self-reflection that can transcend this criticism, and Chapter 5 deals with the reinterpreta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doctrines which can be newly constituted after this work. The encounter-point of philosophy and theology that philosophical theology directs overall is the placeholder of self-reflection and idolatry, in that place experiences human, he can do nothingness. And only form here, he can start his studies properly for. Thus, philosophical theology in the realm of theology can be labelled as primitive methodology, ie, proto-theology.

      • KCI등재

        니체의 새로운 종교성과 신의 빈자리

        이관표(Lee, Kan Pyo)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9 No.3

        본 논문은 서구 형이상학과 기독교에 대한 니체의 비판을 통해 그의 새로운 종교성 논의를 고찰해보고, 그 결과로부터 현대적 신-담론을 새롭게 제안해보려는 목적을 가진다. 니체에 따르면, 서구의 형이상학과 기독교는 신이라는 이름으로 절대적 기준이 되어 우리의 현실적 삶을 왜곡시키는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다. 니체는 바로 이러한 서구 형이상학과 기독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지적하고, 그것이 곧 몰락될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는 점을 선고한다. 그리고 바로 이 신의 죽음에 대한 선고로부터 현대는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니체의 새로운 종교성을 받아들이면서도 그 안에서 여전히 유의미하게 남아있을 수 있는 신-담론을 재구성해본다. 우리시대의 신-담론은 빈자리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예수가 십자가 위에서 처절하게 불러도 없던 그 신의 빈자리처럼, 그 어떠한 형이상학적이거나 종교적인 실체화도 사라져버린 그런 장소에서부터 우리시대의 신-담론은 시작되어야 한다. 물론 거기는 우리의 삶이 본래 그렇듯이 그 어떤 보장도 되어있지 않은 고통이 함께 한다. 왜냐하면 세상은 원래 고통스러우며, 자신의 삶 안에는 그 어떤 것도 확실하지 않은 빈자리만이 존재할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은 바로 그 고통스러운 빈자리에는 언제나 신이 함께 한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미래 인간론을 위한 현대철학의 ‘탈(De)’ 성격 성찰과 기독교 인간 이해의 모색 : 탈-주체중심으로서의 타자윤리학, 탈-남성중심으로서의 에코 페미니즘, 그리고 탈-인간(중심)주의로서의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해와 관련하여

        이관표 ( LEE Kan-Pyo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4

        This study examines, with the ‘De-’ character of modern philosophy,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that will be encountered in the near future, and through this, seeks the Christian anthropology of the new normal age. For this discussion, this study examines E. Levinas’ the- Others-ethics as de-subject-centered and R. Ruether’s ecofeminism as de-male-centrism, and R. Baidotti’s post-human subject as de-humanism. And in the result, we reconstruct Christian anthropology in the new normal era through the change of human understanding and the ‘De-’ character that is connected from the present to the future. In particular, these de-subject-centered, de-male-centered, and de-human-centered attempts are the core subjects of postmodernism, ecofeminism, and posthumanism, and, in the sense, they can be called by the raw material of future Christian Anthropology, because they point to the future philosophy along with the end of modern philosophy. In conclusion, future Christian anthropology must consider the following: Human is not the beings who can exist through own ability, that is, he is always ‘being’ by others (passivity of being), and while all other life and matter are ‘precious’ (monism of being) as well as human beings, life and He is a person who can resist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rises that dominate the present and the future by ‘traversing between things (the nomadic character of being)’.

      • KCI등재후보

        J. 몰트만의 신학적 죽음이해 - 그리스도교의 해방의 관점에서 보는 죽음 -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4 No.-

        본 논문은 몰트만의 신학적 죽음이해를 그리스도교적 해방의 측면을 통해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먼저 2장에서는 몰트만의 구분을 따라 죽음을 자연적 죽음과 저주받은 죽음으로 구분하고, 본래적 죽음으로서의 자연적 죽음의 회복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기독교의 죽음이해가 영혼불멸설이 아닌 전적 죽음에 가깝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4장은 기독교적인 것으로서의 대화적 불멸성을 다루면서 죽음이후에 하나님과의 대화 안에 불멸하는 그리스도인의 모습과 더불어 마지막 때에 이루어지게 될 부활희망을 이야기한다. 5장에서는 죽음이후에 하나님과의 대화 안에서 불멸하는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와의 사귐 안에서 거하면서 마지막 때를 기다리고 있음을 분명히 하고, 6장은 이러한 신학적 죽음이해가 결국 하나님의 정의가 이루어지는 해방의 사건을 위해 기여하고 있음을 밝힌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은 죽음으로부터의 해방을 요청하고 있으며, 이것은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희망 안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해방과 관련하여 특별히 몰트만이 언급한 부활희망은 하나님의 정의를 통해 모든 것의 부활로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우리가 확인하게 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사항이다. 신학적 해방은 개인적 죽음으로부터의 자기해방을 넘어 전체 타자의 해방의 영역, 즉 기독교적, 사회적, 정치적 해방의 영역까지 확장되어야만 한다. Diese Abhandlung zielt darauf ab, in der Perspektive der christlichen Befreiung das theologische Todesverständnis Moltmanns zu betrachten. In Kapitel 2 zuerst teilt sich der naturliche Tod ab aus dem Fluch-Tod, und er wird fur christlich und eigentlich gehalten. Das dritte Kapitel erwähnt, dass zum Ganz-Tod das christliche Todesverständnis gehört, nicht zur Lehre von der Unsterblichkeit der Seele, die tatsächlich aus der griechischen Denkform entstand. Im vierten Kapitel wird die dialogische Unsterblichkeit als etwas Christliches behandelt, zugleich geht es um die Figur der Christen, die nach dem Tod im Dialog mit Gott unsterblich lebt, und um die Auferstehung-Hoffnung, die sich erst in der Ende-Zeit verwirklicht. In Kapitel 5 wird geklärt, dass die Christen, die nach dem Tod im Dialog mit Gott unsterblich lebt, in der Gemeinschaft mit Christus auf das letzte Zeit der Welt warten. Und Im sechsten Kapitel zeigt sich: Dieses theologische Todesverständnis trägt zum Ereignis der Befreiung bei, welche sich durch die Gerechtigkeit Gottes verwirklicht. Zum Schluss: Die theologische Todesveständnis Moltmanns erfordert die Befreiung aus dem Tod, es ergrundet sich im Kreuz-Sterben Christi und in seiner Auferstehung-Hoffnung. Bezuglich dieser Befreiung insbesondere erweitert sich die Auferstehung-Hoffnung bis zur Auferstehung von allem, durch die Gerechtigkeit Gottes. Daher ist festzustellen: Die theologische Befreiung ist nötig, sich uber individuelle Befreiung aus dem Tod bis zur Dimension der Befreiung von allem zu erweitern, es heißt: Die Erweiterung zur Dimension der christlichen, gesellschaftlichen, politischen Befreiung.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이후의 의학적 인간현상과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사유적 성찰 - 인공대체기능물의 생명체 내·외부로부터의 생산, 그리고 그 안에 놓인 트랜스휴머니즘의 문제에 관련하여 -

        이관표(Lee, Kan-Pyo)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1 인간연구 Vol.- No.45

        본 논문은 일차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이후 의학적 인공대체기능물의 발달을 통해 나타날 미래 인간의 문제를 살펴보고, 그 이후 이에 대한 성찰을 후기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를 통해 시도한다. 2장에서는 인공대체기능물이 반드시 미래 의학의 프로젝트가 될 수밖에 없음이 몇 가지 사항을 통해 제시된다. 3장에서는 인공대체기능물이 생산될 때의 문제점을 탐구한다. 먼저 생명체 내부로부터 생산되는 부분에서는 주로 클론이나 우생학적 유전자 조작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변형이 논의되고, 그 안에서 펼쳐질 인간경시의 문제가 대략적으로 제시된다. 인공대체기능물이 외부로부터 생산되는 부분에서는 인간의 전체 몸을 기계로 대치하고자 하는 시도 및 영원한 생명을 획득하려는 논의가 트랜스휴머니즘과 연관하여 다루어진다. 4장에서는 후기 하이데거 존재사유의 핵심을 짧게 살펴보고, 이를 통해 앞서 논의한 인공대체기능물 및 트랜스휴머니즘에 대한 문제점을 성찰해본다. This paper addresses the future human problems that will arise from the development of medical artificial substitutes following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t further attempts to criticize future human problems through later Heidegger’s Being-Thought. In Chapter 2, it is suggested through several points that artificial substitutes are inevitably a project of future medicine. Chapter 3 explores problems in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substitutes. First, in the case of being produced from the inside of a living organism, the problem of a disregard for humanity that will unfold as a result is briefly examined while discussing the transformation of human beings that occurs mainly through cloning or eugenic genetic manipulation. The case in which artificial substitutes are produced from the outside is related to transhumanism and, although not yet realized, attempts to replace the entire human body with machines and discussions to acquire eternal life are examined. Chapter 4 briefly explores the core of later Heidegger’s Being-Thought and, through this, reflects on the problems of artificial substitutes and transhumanism previously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