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자음군 발화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 영어습득연령이 모음삽입오류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

        이고운 ( Goun Lee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38 No.-

        본 연구는 결정적 시기 가설이론(Critical Period Hypothesis)에 근거하여 한국인의 영어모음삽입발화오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하였다. 초등영어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이 (그룹 A) 결정적 시기 이후에 영어를 학습하기 시작한 학생들 (그룹 B)에 비하여 영어발음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조기 영어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들 중에서도 적성과 흥미를 고려하여 영어를 전공으로 한 학생들 (그룹 C)과는 영어모음삽입 현상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언어적 환경과 모음삽입오류현상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차용어와 비차용어, 유성음과 무성음, 폐쇄음과 마찰음으로 나누어 어떤 환경일 때 모음삽입이 더 잘 일어나는지 밝힌다. 총 65명의 피험자들이 총 113개의 단어를 발화하였는데, 이 단어는 자음군의 위치 (초성/종성), 유/무성음의 여부, 발화방식 (폐쇄음/마찰음) 등에 따라 나뉘어졌다. 분석 결과, 무성음 보다는 유성음에, 특히 유음 /l/이 두 번째 자음으로 사용되었을 때 높은 모음삽입률을 보였다. 폐쇄음과 마찰음 사이에는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나, 이전 연구와는 달리, 종성자음군 보다는 초성자음군에 더 많은 모음삽입현상이 발견되었다. 학습나이에 의해서는, 영어를 학습한 나이가 어린 그룹A가 가장 적은 모음삽입오류를 보였으나, 학습나이가 동일해도 학습동기가 높은 그룹C가 그룹 B보다는 낮은 모음삽입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언어의 음운체계를 습득하는데 있어 외국어 학습 시기와 개인의 특성에 따라서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의사소통능력의 함양을 위해 어떤 특징의 자음군에 주의하여 교육하면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제안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at impact the Age of Acquisition (AOA)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brings toward L2 learners’ pronunciation, focusing on the vowel epenthesis errors. A total of 65 student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OA, recorded 113 target words. Group A learned English starting in elementary school, Group B started learning English from middle school, and Group C were the students whose AOA was same as Group B, but their moti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B. The target word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sonants (onset/coda), voicing (voiced/voiceless), and manner of articulation (stop/fricative).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epenthetic vowels were inserted in voiced consonant clusters than voiceless consonant clusters, especially when the lateral sound /l/ was the second sound of the consonant clusters. There were no indications of significant difference in vowel epenthesis errors between stop and fricative sounds. Unlike previous studies, more errors were found in onset clusters rather than coda clusters, suggesting that it might be easier for the learners to acquire coda clusters.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AOA, we found that Group A had fewer epenthetic errors than Group B. However,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motiv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L2 phonological structure, showing fewer epenthetic errors than Group B.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ritical period as well as personal aptitude and attitude had an effect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KCI등재

        비대면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강호 ( Lee¸ Kang Ho ),이고운 ( Lee¸ Goun ),신동진 ( Shin¸ Dong-jin ) 한국현대언어학회 2021 언어연구 Vol.37 No.2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37.2, 197-21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udent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We collected and analyzed questionnaires targeting 200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online English classes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which began in 2019. The findings are as flows. First, the intellectual motivation of the learners was impacted in the order of the control type and the professional type. Second, the learners’ skills acquisition motivation was impacted by the control type and the professional type. Third, the learners’ social motivation was impacted by the control type and the professional type. Fourth, the impact of the English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s on the learners’ motivation to avoid stimuli in the contactless situation was not confirmed.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and validating the impact of the English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s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in the contactless situation, th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impacted in the order of the control type, professional type, and the cooperative type. In this connection, in this study, it is uncertain whether the COVID-19 crisis will be terminated over a short period of time moving forward, but is also expected that the discussions of the contactless classes for school education will continue even after of the COVID-19 crisis. (Jeonju University · Dankook University · Jeonju University)

      • 한국어 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노출도가 소음 속 음성 인식에 끼치는 영향

        신동진 ( Dong-jin Shin ),이고운 ( Goun Lee ) 현대영미어문학회 2017 현대영미어문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xperience to language on target language influences speech-in-noise recognition ability. Specifically, we examine whether interlanguage benefit between the talker and listener in speech-in-noise recognition is affected by listeners' experience to the target language. 36 Korean ESL learners of English living in UK and Korean 30 EFL learners of English living in Korea participated in a speech-in-noise recognition task as well as a vowel recognition task. The result found that learners with less experience with the language have a greater interlaguage benefit, and vowel recognition ability is correlated with the speech-in-noise recognition ability.

      • 생물전기화학시스템에서 슬러지를 이용한 에너지생산 특성 분석

        최정동 ( Jeongdong Choi ),이고운 ( Gou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은 미생물 연료전지로 불리며, 연료전지의 음극, 양극, 분리막으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미생물의 활동을 기반으로 유기물을 분해 및 전력생산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을 이용한 전력생산 및 오염물질의 분해의 측면에서 액상 기질을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액상의 기질은 미생물이 이용하기 쉬운 유기물질을 포함하여 쉽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나 슬러지의 경우 전처리를 통하여 기질을 미생물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러지를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생물전기 화학시스템의 연구는 여전히 초기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생물전기화학시스템에서 직접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고 동시에 슬러지 감량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슬러지를 직접적으로 기질로 사용한 경우, 기존의 액상기질을 사용한 반응조와 비교하여 장시간 일정한 전력생산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기질의 충진시간 간격을 길게 하는 장점을 보였다. 그러나, 완전한 기질의 제거는 기대할 수 없었으며 생물전기화학시스템으로 1차적으로 에너지 및 슬러지 감량화를 하여 2차적인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