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완도지역의 붉가시나무 수간형태와 수간곡선식

        손영모 ( Yeong Mo Son ),이경학 ( Kyeong Hak Lee ),김래현 ( Rae Hyun Kim ),서정호 ( Jeong Ho Seo ) 산림경영정보학회 2007 산림경영정보 Vol.10 No.0

        전남 완도지역의 붉가시나무 수간곡선식의 도출 및 수간재적표를 구축하기 위하여 몇가지 수간곡선 모형 이용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Max & Burkhart 등 3가지 수간곡선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통계량 및 잔차분석을 수행한 결과, 붉가시나무 수간곡선을 가장 잘 표현하는 식으로는 Kozak 모형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잔차분석에 있어서도 Max & Burkhart모형과 Lee 모형이 상대수고가 낮은 부분에서 다소 직경 값을 과소 추정하는데 비하여 Kozak 모형은 고른 잔차를 보여 주었다. 따라서 Kozak 모형이 붉가시나무 수간곡선 추정 및 재적표 조제 도구로 최적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이용하여 수간재적을 산출하게 되었는데, 이 표로 붉가시나무의 재적 정보 파악 및 경영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equations for predicting stem taper for Quercus acuta in Wando district. We were used to derive three taper equations from Max and Burkhart, Kozak, and Lee functions. The models tested for choosing the best-fit equations were Max & Burkhart’s model, Kozak’s model, and Lee’s model. In result, all three models behaved similarly and estimated diameter well at all points along the stem, although Kozak’s model gave slightly better values of fit statistics. In plotting residuals against predicted diameter, Max & Burkhart's and Lee’s model showed underestimation in predicting small diameter. On the other hand, Kozak’s model was quite evenly distributed over the whole range of diameter. Based on the above analysis of three models in predicting stem taper, Kozak’s model was chosen for the best-fit stem taper equations. It was showed the stem volume table by this model, therefore this table was provided user with volume and management information.

      • KCI등재

        밀식재배한 (密植栽培) 제일대 잡종포플러 ,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우량클론의 형태학적 형질에 관한 연구

        이경학,이돈구 ( Kyeong Hack Lee,Don Koo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4 No.1

        Two fast-growing clones 65-29-19 and 66-6-8 and two less fast-growing clones 66-14-29 and 66-14-99 were compared at intensively cultured plots to identify what morphological characters are related to fast growth and high biomass yield of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₁. The plan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spring of 1982 and 1983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nursery in Suweon. Differences in dry matter production were found among two-year-old clones but not, among one-year-old clone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otal leaf area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and between total branch length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for two-year-old clones. This relation was more obvious during the late growing season. Morphological characters desirable for producing high biomass identified in fast-growing clones were as follows; high shoot-root ratio, high leaf surface area per tree, long leaf retention period, and many small leaves and compact crown architecture in the upper portion of true crown.

      • KCI등재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uperior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sub>1</sub> Clones under Intensive Culture

        이경학,이돈구,Lee, Kyeong Hack,Lee, Don Koo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98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64 No.1

        본(本) 연구(硏究)는 biomass 생산(生産)을 위(爲)한 밀식재배(密植栽培)에 적합(適合)한 수종(樹種)으로 우리 나라에서 개발(開發)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클론들 중(中) 우수(優秀)한 생장(生長)을 보이는 2개(個)의 클론과 그렇지 못한 2개(個)의 클론, 1, 2년생(年生)을 대상(對象)으로 어떠한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이 빠른 생장(生長)에 관련(關聯)되는가를 알아보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은 수원에 있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묘포장(苗圃場)에 ha당(富) 20,000 본(本)을 식재(植栽)한 후 시험구(試驗區)를 설치(設置)하여 생장(生長), 엽특성(葉特性), 가지 특성(持性) 등(等)을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에 있어서 2년생(年生) 클론간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1년생(年生)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년생(年)生에 있어서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 그리고 개체당(個體當) 총(總) 가지의 길이와 건물질(乾物質) 생산량간(生産量間)에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나타났으며, 특(特)히 주목(注目)할 만한 것은 이러한 상관(相關)이 생장기(生長期) 후반기(後半期)인 8월(月)과 9월(月)에 더욱 뚜렷하였다. 높은 물질(物質) 생산량(生産量)을 보이는 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즉, 높은 shoot-root ratio를 보이며, 엽생장(葉生長)에 있어서는 광합성기관(光合成器官)의 크기를 대표(代表)할 수 있는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이 많았고, 엽보유기간(葉保有期間)이 길어 생장(生長)을 더 오래할 수 있었다. 또한 수관(樹冠) 상부(上部)에 작은 엽(葉)이 많아서 광합성(光合成)에 필요(必要)한 빛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었고 가지의 특성(特性)으로는 길이가 길고 가지수(數)는 많아서 조밀(粗密)한 수관형태(樹冠形態)를 보이는 것 들이었다. Two fast-growing clones 65-29-19 and 66-6-8 and two less fast-growing clones 66-14-29 and 66-14-99 were compared at intensively cultured plots to identify what morphological characters are related to fast growth and high biomass yield of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The plantations were established in the spring of 1982 and 1983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nursery in Suweon. Differences in dry matter production were found among two-year-old clones but not, among one-year-old clone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otal leaf area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and between total branch length per tree and total dry weight per tree for two-year-old clones. This relation was more obvious during the late growing season. Morphological characters desirable for producing high biomass identified in fast-growing clones were as follows; high shoot-root ratio, high leaf surface area per tree, long leaf retention period, and many small leaves and compact crown architecture in the upper portion of true crown.

      • KCI등재후보

        한국인 중증 외상 환자에서 촬영한 경추 외측면 단순 방사선 영상의 적절성

        이경학 ( Kyung Hag Lee ),김영철 ( Yeong Cheol Kim ),최석호 ( Seok Ho Choi ),한국남 ( Gook Nam Han ),이수언 ( Soo Un Lee ),이정은 ( Jung Eun Lee ),서길준 ( Gil Joon Suh ),윤여규 ( Yeo Kyu Yoon ) 대한외상학회 2012 大韓外傷學會誌 Vol.25 No.4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oss table lateral cervical X-ray us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severely traumatized Korean patients. Methods: Patients visiting our institution from May 2011 to May 2012, who had injury severity score (ISS) > 15 and who received a cervical X-ray in the emergency depar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ata including demographics, ISS score, GCS score, and place where the x-ray was taken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ir relationship with appropriate coverage of the cervical X-ray. The appropriateness of a cervical cross lateral view Xray was evaluated using exposure of the basion, and the opisthion, as well as the distal level of exposure. Results: Fifty-two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identification rate of the basion was 79.2%, and the identification rate of the opisthion was 88.7%. Complete exposure of C7/T1 was accomplished in 3.8% of the patients. The ISS was higher for X-ray taken in the trauma bay, but the range of exposur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places where the X-rays taken. Patients who had exposure of C 5/6 or more had lower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compared with unexposed patients. Conclusion: In severely traumatized Korean patients, the adequacy of the cross table lateral cervical X-ray was inappropriate in most case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exposure range between the places where the X-rays were taken, and patients with less exposure showed higher body weight and higher BMI. (J Trauma Inj 2012;25:241-246)

      • 웹기반 풍력 발전량 예측 구현에 대한 연구

        이경학(Gyeong Hak Lee),팜비엣안(Anh Pham Viet),채성기(Seong Ki Chae),정승민(Seungmin Jung),한기범(Ki Beom Ha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풍력 발전량 예측 정보에 대한 구현 방법을 기술한다. 한경 풍력단지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계열 분석 알고리즘 NNETAR과 NNETAR+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예측값을 도출하였다. 예측된 결과값의 트렌드 분석을 통해 “Balance Value를 계산한 최적화 함수를 적용하여 예측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결과물을 토대로 웹기반 예측 기능을 구현하여 접근성을 증대시킨다.

      • 강원지방소나무의 최소말구직경에 따른 조재율 추정식

        이경학 ( Kyeoog Hak Lee ),손영모 ( Yeong Mo Son ),권순덕 ( Soon Duk Kwon ) 산림경영정보학회 2000 산림경영정보 Vol.3 No.2

        본 연구는 강원지방소나무에 있어 최소 말구직경(d)에 따라 입목재적에서 얻을 수 있는 잠재적인 원목량의 비율(Wk)을 구하는 추정식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비율을 입목재적에 대한 목질부재적을 나타내는 목질부재적율 (W)과 목질부재적에 대한 이용재적을 나타내는 이용율(M)의 곱으로서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기존에 개발된 수간곡선식과 수피후추정식, 그리고 3가지의 최소말구직경에 의해 얻어졌다. 흉고직경(D)에 의한 목질부재적율 추정식은 W=a<sub>1</sub>/{1+a<sub>2</sub>/D} + b<sub>1</sub>/{1+b<sub>2</sub>/D}의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추정식의 적합도는 99.96%로 나타났다. 이용율 추정식의 경우 흉고직경과 최소말구직경 2변수식 4모형, 흉고직경과 수고(H) 및 최소말구직경 3변수식 4모형 등 총 8개 모형에 대해 적합도, 추정치의 표준오차, 잔차분포의 검정 등 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최적추정모형은 각각 M= (1 +a<sub>1</sub>(d/D)<sup>a2</sup>) - (b<sub>0</sub>十b<sub>1</sub>D+ b<sub>2</sub>D<sup>2</sup> + b<sub>3</sub>D<sup>3</sup>), M= (1 + a<sub>1</sub>(d/D)a<sup>2</sup>) - (b<sub>0</sub> + b<sub>1</sub>D<sup>2</sup> + b<sub>2</sub>H+ b<sub>3</sub>D<sup>2</sup>H)이었으며, 추정식의 적합도는 각각 98.1% 및 99.6%이었다. 최종적으로 조재율 추정식 W<sub>k</sub> =W x K식에 의한 얻어진 추정치를 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적합도는 2변수식의 경우 98.7%, 3변수식의 경 우 99.8%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재율 추정 체계를 이용하여 입목재적을 수피와 목질부로 나누고 목질부를 다시 근주부위, 정단부위, 이용부위로 세분하여 그 재적비율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ratio of merchantable volume to total stem volume (W<sub>k</sub>) on merchantable top diameter(d) of a tree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Two existing equations for taper and bark thickness, and 3 different merchantable top diameters were used to generate a set of data for developing the equations. The equation of W<sub>k</sub> was expressed by multiplication of the equation for ratio of total wood volume to total stem volume (W) and the equation for the ratio of merchantable volume to total wood volume (M). The model W=a<sub>1</sub>/{1+a<sub>2</sub>/D} + b<sub>1</sub>/{1 + b<sub>2</sub>/ D} was used to develop the equation for W, and its fit index was 0.9996. To develop the best equations for M, 4 models using d and D as variables and 4 models using d, D, and H (total height) as variables were tested with fit index (FI), standard error of estimates as percent of the mean (SEE%), and residual distribution on predicted values. Two models, M = (1 + a<sub>1</sub>(d/D)<sub>a2</sub>)-(b<sub>0</sub>+b<sub>1</sub>D+B<sub>2</sub>D<sup>2</sup>+B<sub>3</sub>D3D<sup>3</sup>) and M=(1+a<sub>1</sub>(d/D)<sup>a2</sup>)-(b<sub>0</sub>+b<sub>1</sub>D<sup>2</sup>+b<sub>2</sub>H+b<sub>3</sub>D<sup>2</sup>H), were selected for the equations of M and their FIs were 98.1% and 99.6% , respectively. The equations for W<sub>k</sub> based on the model W<sub>k</sub> = W x K showed the FIs of 98 .7% and 99.8%, respectively. With the above equations, a system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portions of volume of 4 different components of a stem-bark volume, stump volume inside bark, top volume inside bark, and merchantable volum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이경학 ( Kyoung Hak Lee ),지경준 ( Kyoung Jun Jee ),박종원 ( Jong Won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자유탐구``가 도입되는데 있어 초등 현장 교사들이 자유탐구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현장에 잘 정착되기 위한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2010년 G광역시 과학과 개정교육과정 연수에 참여한 초등학교 3, 4학년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에 대해서는 잘 아는 편이지만 연수를 통한 전문성 향상에는 미흡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를 일반적인 안내된 탐구와 특별히 구분 짓지 못하고 있어, 탐구문제의 선정과 탐구방법의 설계에 대한 강조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 평가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충실하게 수행하고 결과물을 실물로 보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넷째,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은 자유탐구가 학교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 자유탐구를 보다 쉽고 직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그리고 연수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open scientific inquiry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obtain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practice of open scientific inquiry in school. To do this, questionnaire was used to one hund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in-service training course for understanding the reform of the National Curriculum. Major results are, (1) teachers were well acknowledged about the introduction of open inquiry but thought that the training course was not sufficient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for teaching open inquiry, (2) teacher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guided inquiry and open inquiry, therefore, more emphasis for characteristics of open inquiry such as finding inquiry problem, designing inquiry plan, and so on was necessary, (3) teachers recognized that students` active performance and the presentation of actual results of open inquiry were importa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inquiry activity, and (4) teachers asked for mor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teaching open inquiry and distribution of it, and more professional in-service training cours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e for open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