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I: 통합체육의 실현가능성

        이경준(KyoungJuneYi),임성철(SungChulIm),이지성(JiSungLee),김영준(YoungJunKim),안병욱(ByoungWookAhn),여인성(InSungYeo),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한지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통합체육 수업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의 1) 신체활동수준 2) 사회적 상호작용 3) 신체적 자기개념과 신체상 4)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A 중학교에서 한 학기동안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이 적용된 사례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실험학급(처치: 장애이해교육, 통합체육 수업프로그램)과 통제학급을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비디오 자료는 SOFIT과 AIP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 신체상, 비장애중학생의 통합체육 태도는 대응표본 t-검증과 ANOVA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자료의 해석과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절차를 거쳐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통합체육 수업은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사회적 상호작용, 신체적 자기개념 및 신체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합체육 수업 실시 후에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교사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통합체육의 사각지대에서도 통합체육이 실현가능함을 A 중학교 사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via a case study. To accomplish this purpose, mixed methodology was use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t 'A' public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Video observations(SOFIT and AIPE), pre-post test about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and attitude toward IPE were performed. t-tests and ANOVA were used where appropriate.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case, IPE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evel, social interaction,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body image to not only student with disability but als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attitude toward IPE was changed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and student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we have observed the feasibility of IPE in the blind spot of IPE.

      • KCI우수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통합체육의 사각지대(死角地帶)II: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임성철(SungChulIm),이경준(KyoungJuneYi),이지성(JiSungLee),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06 한국체육학회지 Vol.4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장애학생들이 성공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을 개선하고, 현장에 있는 동료교사들에게 장애학생을 성공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대학의 연구자들과 함께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장애학생이 체육수업 시간에 참여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것에 대한 문제해결 시도(1)에서는 기초체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시도(1)에 대한 재진단 이후, 문제해결 시도(2)에서는 학생의 장애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학생의 담임교사, 학부모, 보건교사 그리고 학생당사자와 면담을 하였고 특수체육 전문가와의 도움을 받아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추가운동프로그램,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윗몸일으키기와 배드민턴 종목의 수행평가 6가지 목표 중에서 5개를 달성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 중학교에서의 통합체육 수업개선을 위한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추가운동프로그램,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성공적인 수업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mprove inclusive physical education(IP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uccessful physical education(PE) participation, 2) to provide basic material and information for other PE teachers who hav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PE sett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s, I performed an action research with university researchers for one semester. First, I realize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my class were not actively participating in PE classes. Therefore, I developed a program to improve their physical fitness. Second, I have assessed students' health status based on the interview with students, their parents, and school nurse and then have consulted with adapted PE expert. I have applied IEP, peer tutoring, additional exercise program and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s a result,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achieved 5 out of 6 goals in sit-ups and badminton. Therefore, I have observed the possibilities of the betterment in IPE classes with proper interventions such as IEP, additional program and disability-understanding education.

      • KCI등재

        체육학 연구에서의 연구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원일(WeonIlLee),진연경(YeonKyungJin),이경준(KyoungJuneYi)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4

        연구 부정행위는 체육학 연구에서 지속돼야 할 연구주제이지만 연구 부정행위의 복잡한 매커니즘과 연구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체육학에서의 연구부정행위의 발생원인 및 해결방안을 학계 구성원의 관점에서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근거이론 방법의 적용을 통해 13명의 학자 및 대학원생들에 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개인인터뷰(follow-up one-on-one interview), 서술적 설문조사 (qualitative questionnaire)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부정행위는 사회구조적(socio-political), 사회문화적 (socio-cultural), 개인적(personal) 맥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해결 방안은 첫째, 위로부터의 변화 (Top-down approach), 둘째, 아래로부터의 변화(Bottom-up approach), 셋째, 지속적인 교육 및 점검(Continuous education)의 변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된 경험적 지식이 체육학을 연구하는 개인 연구자의 연구윤리 의식 제고에 활용되고, 대학의 교육 및 학계 차원의 향후 노력들에 기초자료로 사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Research misconduct has been a strong societal concern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complex mechanisms and ways of promoting research integrity.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ways in which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could be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s of academia. Employ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13 academics and graduate students were invited to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primarily through focus group and one-on-one follow-up interviews. Perceived negative factors contributing to research misconduct within socio-political/socio-environmental, socio-cultural, and personal contexts were identified. Three approaches, (a) top-down approach, (b) bottom-up approach, and (c) continuous education, as well as subsequent practical strategies were also suggested for the enhancement of research integrity within the field. This paper provided empirical knowledge regarding barriers to and opportunities for improving research integrity in sport and leisure studies.

      • KCI등재

        엘리트선수 발달과정 및 기반구축방안의 제시: Developmental Model of Sport Participation 프레임워크 중심으로

        임희준(HeejunLim),이은영(Eun-youngLee),마빈워싱턴(MarvinWashington),이경준(KyoungJuneYi),원도연(DoyeonWon),전용관(JustinY.Jeon),정재용(JaeyongChung)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6

        최근 이루어진 우리나라 체육단체의 통합은 기존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오던 엘리트스포츠·생활체육 기관의 통합운영을 통해 “스포츠 강국”에서 “스포츠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고자 하는 국가적 노력이다. 이러한 스포츠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본 논문은 대한체육회 내에서 엘리트스포츠의 지속적인 성공을 꾀하기 위해 Developmental Model of Sport Participation(DMSP)프레임워크의 엘리트운동선수 발달과정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엘리트선수 발달과정을 위한 기반구축방안을 제시 해 보고자 하였다. DMSP모델은 최근 체육단체의 통합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새로운 “스포츠 선진국” 패러다임과 맞물려 엘리트선수 발굴과 육성, 공부하는 운동선수 만들기, 더 나아가 엘리트스포츠·학교체육·생활체육의 연계를 통해 엘리트스포츠의 선수저변확대 및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 integration of South Korea’s sport organizations aims to enhance health and welfare among all people on the basis of the concept, Sport for All. Nonetheless, elite athlete development remains as a high priority area in the county and the focus on elite athlete development should not be reduc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Sport for All. This paper sought to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 of the Development Model of Sport Participation (DMSP),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e DMSP framework to the newly integrated sport system, and provide pragmatic strategies for elite athlete development in South Korea. The DMSP, first introduced by Jean Cote and his colleagues (2007), is a model of athlete development throughout childhood and adolescence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scientific evidence which describes the processes, pathways, and outcomes in relations to high performance athlete development. The DMSP model provides appropriate training methods by proportionally planning deliberate play and deliberate practice according to ages and stages, and provides alternative ways, other than traditional early specialization, to become elite athletes or life-long recreational sport participants. The DMSP model is expected to play vital roles in improving discovery and fosterage of young elite athletes, and setting student athletes up for success in or out of their sport. Adopting the DMSP model may also lead to mass participation in sports which will contribute to having large sample for elite athlete development.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아동청소년의 좌식행동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향후 과제

        이은영(EunYoungLee),존스펜스(Spence,JohnC.),황종남(JongnamHwang),이경준(KyoungJuneYi),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신체활동 증진과 함께 성인병과 정신질환 예방의 전략으로 대두된 생활습관 변화 전략은 좌식행동 감소에의 노력이다. 최근, 국내 아동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좌식행동가이드라인 개발과 보급은 이들의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서양의 좌식행동가이드라인의 발달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국내 관련연구의 문헌고찰 결과와 종합하여, 우리나라 아동청소년에게 적합하며, 실천 가능한 좌식행동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향후연구들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현존하는 좌식행동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아동청소년은 좌식행동을 최소화할 것, 그리고 스크린타임은 하루 2시간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 아동청소년의 좌식행동관련 논문(n=15)만으로는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종합적 이해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좌식행동 관련연구는 다음과 같은 근거자료의 확보가 요구되어 진다: 1) 패턴파악, 2) 건강과의 인과관계, 3) 분류와 측정의 일관성, 4) 상관 및 결정요인 연구, 5) 개입연구, 6) 실생활 적용. Emerging evidence suggests that the amount of time spent in sedentary behaviour (SB)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health and wellness of young people,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Given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technology-based screen-time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Korean youth, it is important to develop evidence-based SB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ulturally specific context of Korea.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1) review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the content of existing guidelines; 2) review the studies which examined SB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3) discus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an effort to develop and disseminate SB guidelines in Korea. Existing SB guidelines recommend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minimize the time they spend being sedentary each day, and limit screen-time to less than two hours per day. The scarcity of relevant research among Korean youth (n=15)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levels, patterns, correlates, and determinants of SB in order to develop appropriate and achievable guidelines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uture studies should build on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e following areas: 1) patterns of SB, 2) SB and health, 3) measures of SB, 4) correlates and determinants of SB, 5) intervention studies, and 6) knowledge 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