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 시대의 미술교육

        이경아(Lee Kyung A)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3

        본 연구는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메타버스와 관련하여 그 의미를 고찰하고 미술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의 사회, 문화적 패러다임은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제 메타버스로 새로운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성을 ‘가상공간 오디세이’와 ‘아바타 라이프’로 설정하고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접점을 제시한다. 미술교육에서 메타버스 활용의 의의는 가상 플랫폼의 활용,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확장된 판타지와 증강현실 측면에서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의 실행 연구가 주축이 된다. 이에 따른 연구 사례로는 2021년 상반기에 연구자의 지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을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수업 결과물 5개와 외부 관찰 사례 1개를 제시한다. 6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연구 내용의 핵심은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을 고려한 주제로 구성된다. 세부 영역은 3D 아바타로 소통하는 화상 수업, VR, AR 기반 3D 뮤지엄 기획 및 건축, 위성 사진을 활용한 미적 체험, 언택트 360° VR 전시회, 가상 인테리어 시뮬레이션, 움직이는 명화 만들기이다. 연구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메타버스 온택트 플랫폼을 활용한 수업은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소통에 효과적이었으며 융합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 동기 유발, 매체 활용의 측면에서 새로운 자아 표현의 도구로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averse has become a hot issue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etaverse and to present the usability of metaverse in art education. The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ve brought a lot of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and continue to extend into a new area of metaverse.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are established as “virtual space odyssey” and “avatar life”, and their cross section is presented in relation to art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using metaverse in art education is analyzed in terms of utilizing virtual platform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xpanded fantasy, and augmented reality. This is mainly an execution stud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in the education field. As for study cases, this study presents five class outputs after monitoring teaching-learning for students of the researcher and one external observation case executed in the first half of 2021. The core of the research content divided into six sub-areas consists of a subject that considers ontact on-line remote classes. Sub-areas include video classes communicating with 3D avatars, VR and AR-based 3D museum planning and architecture, aesthetic experiences using satellite maps, untact 360° VR exhibitions, virtual interior simulation, and making animated classical paintings. Results reveal that classes that utilize the metaverse ontact platfor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offer effective in intercommunication across time and space,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creasing enhancing student interests and motivation levels further suggests metaverse as a new device that allows self- representation by utilizing media.

      • KCI등재

        지속가능성 개념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 IPCDEM(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tion Model) 개발에 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 ah),나건(Nah, Ke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창의적 사고의 종합 결정체인 디자인에 대해 양적 팽창이 아닌 질적 변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적 개념의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를 개발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이 본래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들 간의 교류와 융합을 통한 실천학문으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가치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디자인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제인 ‘창조적인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IPCDEM, 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tion Model)’ 개발을 위한 논의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사회구조와 디자인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 모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디자인 의미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지식의 개념 확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지식기반사회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시대적 흐름인 지속가능주의를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디자인교육을 정의였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창조적 디자인 교육 통합 프로세스 모델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교육을 위한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실천적 프로세스의 개념 모델인 IPCDEM의 개념을 구축한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quality changes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of design, an integrated constellation of creative ideas, this study takes it as its ultimate goal to develop an integrated process of design education with practical concepts. In order for creative based design to play its natural role, it needs changing as a practical scholarship in terms of exchanges and incorporation with various fields. Thus, this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sustain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necessity of sustainable 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value innovation. The task of this study, ‘IPCDEM, Integrate Process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Model,’has been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model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and design industry paradigms, this study has worked on the extension of the concept of design knowledge due to changes in the meanings of design. Then, with understanding of the paradigm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analysis of the idea of sustainability as the stream of the times, it has defined sustainable design and design education. Lastly, this study has developed an integrated creative design education process model for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nstructed the concept of IPCDEM, a conceptual model of practical process on the methodological side of sustainable design education.

      • KCI등재

        근대 유럽의 사회변화와 이주

        이경일(Lee, Kyung-Il)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논총 Vol.31 No.-

        이주와 관련된 지배적인 시각은 이주를 산업혁명과 국민국가의 등장으로 특징져지는 19세기 중반 이후의 현대적 현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산업혁명이 산업 수요에 호응하는 인구이동과 도시화, 그리고 나아가 국제적인 인구이동과 그에 맞선 이민정책으로 이어지는 연쇄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이 오늘날의 대규모 이주의 양적·공간적 특성을 설명하는 데에서 갖는 장점은 전적으로 타당하다. 하지만 동시에 이 시각은 결과론적인 경향을 띠는데, 이주의 국제적인 성격과 도시 이주의 일방성을 지나치게 부각시킴으로써 산업화 이전의 이주를 외면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본 논문은 미답상태에 가까운 근대 초에서 산업화 이전까지 전개된 이주 양상과 특성들을 추적함으로써 이주 행위에 대해서 보다 포괄적인 관심을 환기시키고자 한다. 비록 양적으로나 이동거리의 측면에서 볼 때 현대의 이주에 비교할 정도는 아니었지만, 산업화 이전에도 꾸준한 다양한 형태의 이주가 진행되고 있었다. 신대륙으로의 이주와 농촌공업의 발전을 통한 농촌 내의 이주는 19세기 이전에 이미 빈번한 현상이었으며, 도시로의 이주 역시도 도시와 농촌의 사회적 조건변화 속에서 장기간에 이루어진 과정이다. 더구나 이주민들 개개인의 입장에서 보자면, 도시로의 이주는 산업혁명의 당연한 귀결이기보다는 한편으로는 이미 존재하던 이주 관행에 덧붙여서 다른 한편으로는 농촌과 도시의 관계 속에서 진행된 선택들의 장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migration is predominantly defined as a modern phenomenon since the mid-19th century,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ise of the Nation-state. This perspective, however, over-emphases the unilateral trend toward the city and the international features of migra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nvarnished aspects of migration during the early modern period and pre-industrial period. There were constantly diverse types of migration during the pre-industrial period, though not comparable to the today’s migration as for the quantitative and travelling distance. The migrations to the New World and the movements in the countryside through the proto-industralization were very frequent even before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migration to the cities is the long-term consequence of the changes of social conditions in the cities and countryside, adding to the existing practice of migration, rather than the natural resul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의 관점으로 본 미술교육 전망

        이경아(Kyung-A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4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미술교육의 의미를 탐색하고 교육현장과 연계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전망하는데 의의가 있다.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변화의 모멘텀을 요구하고 있고, 미술교육에서도 이제 문화콘텐츠기술 차원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술교육에 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 미래교육의 측면에서 미술교육을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미술교육의 의미를 ‘인문학적 상상력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 ‘가상과 현실의 경계, 새로운 인터페이스’, ‘창의적 융복합 트랜드와 연계한 미술교육’으로 설정하여 논하였다. 아울러 연구자의 지도학생들을 대상으로 VR, AR, 3D 프린팅,인공지능, 3D 홀로그램, 미디어 파사드 등 첨단 테크놀로지의 체험을 통한 학습과정을 모니터링하고,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미술교육과의 접점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미술교수-학습 영역의 확장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의 연장선에서 4차 산업혁명의 관점을 반영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어 향후 미술-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era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art educa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ne of the top trending topics, requires to change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including society and culture. Therefore, it is needed to discuss art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Technology. First, this study deals with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ltural art, and the futur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art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is defined as ‘a convergence of humanistic imagination and digital technology’, ‘the new interface: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and ‘art education connected with creative convergent trend.’ Based on the definition,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is discussed. Then, high school students who engaged in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VR, AR, 3D printing, Artificial Intelligence, 3D Hologram, and Media-Facade were observed throughout their learning process. From the observation, the applicability of the fourth industrial education to art education is discussed. It is likely that there is potential to expand the art education method by employ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SCOPUSKCI등재

        최근 10년간 대구,경북 지역 성인에서 바이러스성 간염 표지자 양성률의 변화양상

        이경인 ( Kyung In Lee ),박경식 ( Kyung Sik Park ),서혜진 ( Hye Jin Seo ),김태열 ( Tae Yul Kim ),김은수 ( Eun Soo Kim ),장병국 ( Byoung Kuk Jang ),정우진 ( Woo Jin Chung ),조광범 ( Kwang Bum Cho ),황재석 ( Jae Seok Hw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8 No.2

        Background/Aims: There have been only few studies on the population-adjusted seroprevalence of HBV and HCV and on the change of them for more than 10 year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m at a single health center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considering the population composition ratio. Methods: We analyzed the seromarkers of HBV and HCV of 6,237 randomly sampled adults who had received health screening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Dongsan hospital during the periods from year 1997 to 1999 (Period A) and from 2007 to 2009 (Period B). Results: The seroprevalences of HBsAg, anti-HBs, anti-HBc and anti-HCV were 4.8%, 70.2%, 47.4%, and 0.5%, respectively.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roprevalence of HBsAg between period A and B. However, downward tendency of prevalence through A to B from 6.8% to 4.5% could be found in 40s, and upward tendency from 4.7% to 6.8% in 50s. As for the seroprevalence of anti-HCV,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through A to B, for 50s, it decreasd from 2.0% to 0.3% (p=0.007). However, for 60s, it increased as much as decreasd for 50s. Conclusions: The seroprevalence of HBsAg in Daegu/Gyeongbuk province was 4.8% and showed no difference through the time period of 10 years. The seroprevalence of anti-HCV was 0.5% and also showed no difference through the time periods. (Korean J Gastroenterol 2011;58:82-8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