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흥신청 조사연구

        이경엽(Lee Kyungyeop) 한국무속학회 2009 한국무속학 Vol.0 No.18

        신청(神廳)은 무부(巫夫)들의 조직체로서 전통예술 전승에서 중심 역할을 했던 기관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했으며 각 지역 공연예술 전승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지금은 그 흔적마저 찾기 힘든 상황이므로 종합적인 학술조사가 필요하다. 이 글은 전남 장흥신청에 관한 연구노트다. 먼저 다른 지역 신청 사례들을 개괄해보고, 장흥신청의 위치와 규모, 관련 문서, 기능 등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장흥신청의 경우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자료와 현지 고로들의 증언을 통해 그 성격과 기능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 장흥신청에서는 무속집단의 결속 강화와 상호부조, 관아 행사 참여, 전통예술 교육 등을 담당했다. 자료를 통해 볼 때, 이 중에서 특히 무속계의 권익 보호와 관련된 기능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전통예술 교육과 전수 활동 역시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장흥신청 출신의 이름난 예술가로는 최옥삼과 김녹주 등이 있다. 최옥삼은 ‘최옥삼류’라는 가야금 산조의 한 유파를 확립한 인물이며, 김녹주는 판소리와 가야금 병창에 능했던 예인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장흥신청은 무속집단의 사회적 활동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그리고 신청과 전통예술 전승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실증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Shincheong was an organization of shamans and it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arts. It was distributed around the peninsula and had a enormous influence on the transmission of performance art in each local region. However, today it is not even to find its trace and therefore it deserves systematic academic research. This article first listed the cases of Shincheong in other areas and looked into detail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size of Changheung Shincheong, related documents, and its functions. In case of Changheung Shincheong, it was possible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rough the testimony of senior residence and materials researched during the time of Japanese occupation. Changheung Shincheong undertook the functions of unifying shamans, providing mutual aids, participating in the events of governing office, and offering education in traditional arts. Examining the materials, its function to protect the interests of shamans is highly notable. Educ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arts were also very active. Nationally famous artists from Changheung are Choi, Ok-sam and Kim, Nok-ju. Choi, Ok-Sam is the figure who established a school of Kayaguem plays and Kim-Nok-ju is the artistic figure who was very apt Pansori and Kayaguem chorus. Systematically speaking, Changheung Shincheng is significant in two ways : a representative case which shows the social activities of shaman groups and a solid case which show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hincheong and the transmission of traditional arts.

      • KCI등재

        호남 무속의 존재양상

        이경엽(Lee Kyungyeop)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호남지역은 예로부터 세습무의 활동이 활동했던 곳이다. 그렇지만 과거에 비해 세습무 수가 급감하고 있고 그 활동력도 현저하게 축소된 상황이다. 지역별 사례 연구와 무당에 대한 생애사 연구가 시급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개별 사례에 대한 구체적 탐색을 통해 호남 무속의 다양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굿은 현장적인 상황에 맞게 재창조되면서 전승된다. 굿의 구성에 작용하는 원리는 무속 관념과 관련 있다. 진굿 / 마른굿의 구분이나 안굿 / 바깥굿의 조합이 굿 구성의 기본 원리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런 구성 원리가 실제로 적용될 때는 더 구체적인 상황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연행 자료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현장의 상황에 맞게 기본 틀이 구성되며 그 속에서 현장적인 정서와 분위기를 담아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호남 북부와 남부의 굿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그 분포권이 행정구역 구분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두 지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영광과 장성은 전남에 속하지만 북부형의 굿 전승을 보여준다. 호남 북부지역은 남부에 비해 서사무가의 전승이 활발한편이다. 이에 비해 남부지역은 음악적 구성이 다양한 편이다. 음악적으로 보면, 북부는 살풀이권에 속하며 남부는 동살풀이권에 속한다. 진양조 장단은 남부지역에서 특징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호남 도서지역 무속의 특징은 바다와 관련된 의례 전승에서 찾을 수 있다. 개인과 공동체 단위의 의례가 별도로 존재하기도 하고, 결합되어 연행되는 특징을 보인다. 주민들이 바다와 맺고 있는 절대적인 관계가 중첩된 의례 형태에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제와 수륙재, 별신굿 등의 공동체 굿에서 굿 전통의 다양성을 볼 수 있다. 호남 서해안의 별신굿은 동해안, 경남 남해안의 별신굿 그리고 경기 이북의 대동굿과 비교되는 굿 전통이라는 점에서 각별한 관심을 모은다. Over the years Honam has been an active place for hereditary shamanism.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past, the hereditary shamanism has witnessed a great decline in its number and activitie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study on each region and the biographic study on each shaman. Through the detailed search on each case, the diversity of shamanism in Honam can be learned. Gut is recreated to fit into the actual performing circumstance and transmitted likewise. The principles working into the composition of gut are closely related to shamanism conception. The distinction between Jingut, gut performed in spiritual impurity, and Marungut, gut performed in spiritual purity, and Angut and Bakatgut work as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composition of gut. When these composing principles are actually applied, they are bound to include more detailed circumstances. As it can be learned from the comparison of performing materials, the basis for gut is formed in order to fit into the actual performing field and actual sentiment and atmosphere are included while being performed. The gut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Honam are similar and different in a way. The distributed area does not identify with the administrative borders. Youngkwang and Jangsung which are on the border of two regions belong to Jeonnam province, however they show the kind of gut which possesses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rn Honam. There is a more active transmission of Susamuga in Northern Honam area than southern Honam. However, southern Honam shows s more diversified musical composition. From the musical point of view, the northern area belong to the realm of Salpuli and the southern area Dongsalpuli. The Jinyangjo rhythm is transmitted distinctively in southern area. The characteristics of Honam islets can be found in the transmission of ritual related to the sea. There exist rituals of individual-level and community-level and they are combined and performed together. The absolut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rs and the sea can be said to be reflected in the formed of reiterated rituals. The diversity of the gut tradition can be found in the community gut such as Dangje, Surukje, Byulsingut, etc. Byulsingut of Honam western coast draws special attention in the sense that it is a distinctively comparable gut traditional to Byulsingut of east Coast and Kyungnam southern coast, and the Daedong gut of nothern Kyungki.

      • KCI등재

        서해안 동제의 중국계 신격 전횡 연구

        이경엽(Lee Kyungyeop),송기태(Song Kitae)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0 島嶼文化 Vol.0 No.35

        전횡은 전국시대에 활동했던 중국 제나라 사람이다. 그 전횡이 한국 서해안 外煙列島의 洞祭에서 신으로 모셔지고 있는 현상을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전횡은 고려 말 기록에서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전횡은 사신들과 양반 사대부들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받았는데, 그런 관심의 결과인지 조선후기에는 전횡도가 한국 서해안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전설이 널리 퍼졌으며, 그 위치가 쟁점이 되기도 했다. 이런 사회 분위기 속에서 전횡도와의 심리적 거리가 가까워지고 전횡신앙이 성립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횡의 신격화는 유생들의 시각과 달리 민중들의 민속신앙적 선택에 의해 이루어졌다. 민중들은 전횡 무리의 절행을 높이 평가해서 그것을 기리는 것이 아니라, 전횡의 행위를 섬 생활과 관련지어 해석한다. 전설에서 전횡은 세곡선을 털어 주민들을 구제하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전횡을 섬 주민들의 수호신적 존재로 여겨서 동제의 신으로 모시고 있는 것이다. 전횡의 신격화는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외연열도 주민들의 마을사 또는 이주사와 연계된 전승맥락이 검토될 때 구체적인 성립 시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외연열도에서 동시에 전횡신앙이 성립된 것이 아니라 차츰 확대되는 과정을 거쳤던 것으로 보인다. 전횡은 서해안 동제의 전통적인 전승체계의 일부로 수용돼 있다. 중국의 종교 형태가 아니라 한국 당제신앙의 한 부분으로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전횡을 특별한 존재로 수용해서 기존 동제의 외연을 확대하고, 종교적 축원을 극대화하고자 한 민중들의 신앙의식이 작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Jeonhoing(田橫) is from Je dynasty who lived in the age of civil wars, This article looks in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man is deified in Dongje from Oiyeon archipelago in the western coast in Korea. Jeonhoing comes out in earnest 10 the record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 Jeonhoing has received attention from envoys and yangban, Korean aristocrats. As a result, there was a popular rumor that Jeonhoing island was located somewhere in the western coast in Korea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creating a heated argument. In the midst of such social atmosphere, the psychological distance to Jeonhoing island was bridged, thus laying down the foundation for intensifying Jeonhoing faith. Deification of Jeonhoing was conducted by the folk faith choice of the public,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scholars, The public didn't pay tribute to the theft acts of Jeonhoing, but interpreted his acts in relation to the life on islands. In the legend, Jeonghoing is a figure who robbed the ships which transported the grain paid as taxes to save the poor. Jeonhoing is considered as patron saint of the island and served as the deity of Dongje. Jeonhoing's deification seems to already have been conducted in the 18~ 19th century. However, exact time is difficult to be established. Looking at the town history of Oiyoen archipelago or the transmission context in relation to the immigration history may allow us to assume the detailed timeline. The spread of Jenghoing faith wasn't instant, rather, it seemed to have been gradual. Jeonghoing is accepted as a part of the traditional transmission of Dongje in the western coast. It is transmitted as a part of Korean Dangje faith, not a Chinese religious faith. The people accepted Jeonghoing as a special figure, expanded the appearance of existing Dongje in accordance with the secular faith of the public who attempted to maximize the religious pr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