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

        이경언(yung-E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최근 한국에서는 많은 유형의 드라마들이 방송되고 있다. 특히, 역사적 배경이나 인물에 대한 역사 드라마는 높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대장금>과 같은 역사 드라마는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한국 문화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최근에는 역사 드라마의 주제나 주인공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장금>은 궁중 요리사, <추노>는 노비와 노비추적자, <바람의 화원>은 조선 시대 유명한 화가, <마의>는 수의사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정한 “수학의 해”를 맞이하여 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드라마를 통해 수학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시대의 수학과 수학자를 주제로 한 역사드라마의 제작 이유를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현대수학은 매우 추상화되었으며 그 결과 일부 영역을 제외하면 학생이나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둘째, 수학교육의 대중화의 측면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활용하여 보다 쉽고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조선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를 제작하기 위한 주인공과 소재로 홍정하의 일화, 세종시대의 수학 연구, 홍길주의 수학 연구, 남병길과 이상혁의 공동연구, 이승훈의 수학 연구와 중인 수학자들의 수학 연구에 대한 역사적 사실들을 제시하였다. Recently, various types of dramas have been broadcasted in Korea. Especially, historical dramas having backgrounds about historical events or characters have been recorded high ratings of the viewing audience, as well as a lot of influence on many parts of Korean society. Besides, the historical drama like <Daejanggeum> raised a craze for popular Korean cultures in many Asian countries. The subjects and characters of historical drama are diversifying in recent years. For example, <Daejanggeum> is a royal cook, <Chaser of slaves> is a story about running away slaves and their chaser, <Painter of Wind> is a story about a very well-known painter of the Joseon Dynasty era, and <Mayui> is a veterinarian. At this point, in celebration of the officially appointed “year of mathematics”, it is very meaningful to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with a historical drama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article, the reasons for production of historical drama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in the Joseon Dynasty was presented in two ways. First, modern mathematics has high level of abstractness as its nature, and therefore many students and the public can not understand what except for some areas. Second, it is possible the easier and various approaches can be used to deal with contents about real-life in the view of popularization of mathematics. Also, this article would aim to explore the main character and episodes about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in Joseon Dynasty. For example, the anecdote of Hong Jung Ha, the works of mathematics in the King Sejongs periods, the study of Hong Gil Ju, the joint researches between Nam Byung Gil and Lee Sang Hyuk, the story of Lee Seung Hun, and the mathematics study of middle class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