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그림으로서 사진과 사진으로서 그림

        이경률(Lee Kyung-Yul) 현대미술사학회 2006 현대미술사연구 Vol.19 No.-

        This theory intends to discuss modern plastic art utilizing pictures as concrete situation setting or artist's expression tools in actual. However, the theory will be analyzed focused on not media but dual discourse (matter-shape, or ground and its directive objection) which is understood as common principle of art. Based on conceptual side, it is because plastic art is an artistic action as a specific matter first caught by artist is revealed in concrete shape using artistic media. And so plastic art is not a material meaningful word which designates totally all the genres of art, but virtually directive meaningful art in the point of modern post-structuralism in which art is understood as matter-shape principle. Photos as picture are expression tools for artists to deliver their message, as well as basically such photos intend to reveal the fact of existence which is irrefutable. For example, news photograph-made pictures of Andy Warhol and photobilders of Gerhard Richter were to remerge so as to trace back historical truth with time. Also, their artistic intention is not in critic and aggressive sight but the 'observer's attitude without any prejudice and justification. On the other hand, pictures as photos intend to recover subjective and personal view which has been excluded for a long time rather than to take neutral position for society and history, and catch internal existence in ordinary case which we haven t discovered yet in collective sight and badly unified view. This ordinary existence can be shown only as plain and old-fashioned form all around because we are always used to social events and justice, neither events nor justice in actual. However, all these things are the only objects which can be remerged in neutral photos. Neo-pictorialism intends to confuse own area of photos and pictures which have been fixed as one genre for a long time rather than to develop a new genre of photo and picture as real art. As a result, this means that purity (purification) commented by Clement Greenberg is wrong, at the same time this means to recover traditional beauty dropped out by avant-garde. Also, while pictorialism, at early twentieth century, was regarded as separatist movement, in other word, the straight photos was regarded as loss of aurabased on the historical view, neo-pictorialistes try to express visually visual translation refuting artists personality, unique works and real reflection, that is, to recover 'aura'. Finally, modern neutral photos, formative photos formed by Germanic Bernd and Hilla Becher, and their followers threw away absolute recording ability and lyrical side of photos, on the other side, they chose ordinary and old-fashioned side contrary to 'poses' and 'events', and showed a side of vacant existence kept on being in ordinary non-time.

      • 미술관의 상호작용 관람경험이 미술관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혜빈(Hye-Bin Park),이경률(Kyung-Yul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5

        다른 문화예술분야에 비해 미술관의 기능이 소극적 수준에 머물렀음을 인지하고, 현대의 미술관은 사회적, 물리적 서비스 등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 사회는 개개인이 주체적인 선택으로 문화예술 향유에 참여하고, 사회 구성원들 사이에서 함께 사고하고, 공유한다. 문화에 대한 욕구는 상대적으로 강화되는 상황에서 미술관의 역할은 그들의 니즈, 미술관에 갖는 인식 향상을 위해, 또한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위한 연구 등의 과제가 필수적이고, 또한 미술관은 관람객의 마음속에 독특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 전반적인 미술관의 이미지를 디자인하고 제공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미술관은 자신만의 개성 있는 컨셉을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 미술관의 경쟁력은 관람객이 ‘미술관 상식(Museum Savvy)’를 갖춰 미술관을 하나의 상징적 집합체인 미술관 게슈탈트로 인식하게 하고, 미술관이 제공하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와 혜택이 무엇인지를 인지시켜 관람에 대한 선호를 증가시킬 필요성을 갖는다. 관람객 개발의 과거 연구 관련 실증적 연구에서 단순하게 관람자의 만족, 개인적 특성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는 것이였지만, 관람객의 특성별로 개인의 경험과 가치에 관람 미술관에 대해 다르게 인식하고, 그 인식한 미술관의 이미지가 미술관 내에서 관람객에게 만족을 나타내는지, 관람객의 만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미술관 이미지에 대한 관련 연구들은 탐색적 연구에 그치고 있어 실증적인 연구가 요청된다고 보여져 진행하게 되었다. 관람객이 미술관 관람을 통해 예술작품에서만 단순하게 얻을 수 있는 감성에 의한 쾌락적 반응만이 아닌, 물리적인 측면에서 얻는 미적 감흥, 또한 전문적인 정보력, 정보적 상호작용으로 미술관을 지각한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과 관련된 다양한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개인적’, ‘물리적’, ‘정보적’의 관람경험 요인이 미술관의 기능적, 인지적인 이미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통해 관람객이 미술관이미지(image)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이미지가 미술관 관람의사 결정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후퍼 그린힐’ (Eilean, Hopper-Greenhill, 1994)의 뮤지엄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근거하여 ‘국립 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