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뉴미디어광고에 대한 소비자 정보처리과정과 광고패러다임의 변화에 관한 탐색적 고찰 :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양방향 TV광고, 그리고 페이스북광고를 중심으로

        이경렬,목양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This study deals with the shifts of comsum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vertising paradigm in the age of new media such as internet, mobile, interactive TV, and facebook. To summarize, new media based advertising is composed of three stages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first stage is the passive exposure to push ads while the second stage is getting into landing pages such as internet website or fanpage by clicking push ads. The third stage is interaction with landing page after clicking. This shift of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 in changes of advertising paradigm, which means transition from one-way to two-way communication paradigm. The advertising paradigm shift include fundamental changes of advertising planning, creativity, media strategies, and measurement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short, new media ads such as internet ad, mobile ad, interactive TV ad, and facebook ad will eventually be channels incorporating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programs. 본 논문의 목적은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안한 소비자 광고정보처리과정의 변화와 이로 인해 초래되는 광고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뉴미디어광고의 유형을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IPTV 기반의 양방향 TV광고, 그리고 페이스북광고의 네 개로 구분한 후 실제 사례와 문헌연구를 통하여 각각의 광고유형에 대한 소비자 정보처리과정의 차이와 특징들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양방향 TV광고, 그리고 페이스북광고는 기존의 대중매체 기반의 광고와 달리 도입부, 연결부, 그리고 도착부로 이어지는 3단계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광고, 모바일광고, 양방향 TV광고, 그리고 페이스북광고는 기존의 대중매체를 중심으로 한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이어지는 단선적인 형태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상호작용성에 기반을 두는 새로운 광고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광고패러다임의 변화는 광고의 개념이 일방향적이 아니라 양방향적으로 전환됨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기존 광고의 역할이나 기능, 그리고 광고행태도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게 근본적으로 변화된다. 특히 뉴미디어광고는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이어지는 단선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나 소비자와의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광고환경을 조성함으로서 단순한 노출과 이미지 중심의 일방향 광고에서 벗어나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채널로 확장된다.

      • KCI등재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에 관한 연구- 메시지 속성들, 캐릭터 호감도, 콘텐츠 유발 감정, 스폰서 및 제품 컨셉트의 불명확성을 중심으로 -

        이경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9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7 No.2

        Recently, branded content, which means to carry a brand message in a short video format, has been popular as a means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that are expected to affect the effect of video branded content. This study categorized those antecedents into four groups such as message attributes, character favorability, emotion elicited by content, and uncertainty of sponsor and product concepts. A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24 college students to collect data needed to verify four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essage attributes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 effect of video branded content across four dependent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contents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In particular, entertainment and engagement among four message attribut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even after other predictive variables were controlled, which indicated that it can be the most important marketing variable in campaigns using video branded cont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haracter favorability was the best predictor of attitude toward content, while entertainment was the best predictor of attitude toward brand and engagement was the best predictor of both purchase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Also, it is shown that the uncertainty of sponsor and product concepts, which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video branded content can be a new vari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video branded content. 최근에 짧은 동영상 포맷으로 브랜드 메시지를 담는 것을 의미하는 브랜디드 콘텐츠가 광고 및 마케팅의 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요인들을 메시지 속성, 캐릭터 호감도, 콘텐츠 유발 감정, 스폰서 및 제품 컨셉트의 불명확성의 네 개의 예측 변인군들로 분류한 후 각각의 예측 변인군들이 콘텐츠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 의향, 온라인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네 개의 연구 문제들을 검증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총 324명의 10-20대 조사대상자들에게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를 보여주고 구조화된 설문지에 응답하게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먼저 투입되거나 나중 투입된 변인들을 통제 변인으로 사용하여, 예측 변인군들의 영향력을 검증하는데 유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종속변수 유형에 관계없이 메시지 속성들의 설명력(R2)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개의 메시지 속성들 중 오락성과 몰입성은 다른 예측 변인들이 추가적으로 투입된 후에도 모든 종속변수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를 활용한 캠페인에서 가장 중요한 마케팅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콘텐츠 태도에는 캐릭터 호감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태도에는 오락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매 의향과 온라인 구전 의도에는 몰입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지막 단계에서 추가된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의 고유한 특성인 스폰서 및 제품 컨셉트 불명확성도 동영상 브랜디드 콘텐츠의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전형질 변형 실험동물(IL10 Knock out mouse)을 이용한 염증성 장 질환의 운동효과 규명 연구

        이경렬,김기훈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염증성 장 질환의 병리적 병변을 나타내는 IL10 유전형질 변형 실험동물 모델(IL10KO)을 이용하여 2주간의 운동적응에 대한 항염증 반응 및 대장수축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혈중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에서 IL-6와 IL-1β 그리고 TNF-α에서 운동적용과 무관하게 정상군들에 비해 유전형질 변형 실험동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NF-α의 경우 형질 변형군에서 운동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화학반응을 통한 장 절편 수축 력의 변화에서는 콜린성 반응과 질산매개성 반응에서 모두 운동여부와 무관하게 유전형질 변형 실험동물군에서 감소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anti-inflammatory response and colon contractility for 2 weeks of motor adaptation using the IL10 genetically transgenic experimental animal model (IL10KO), which represents a pathological lesion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s a result, in the change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blood, IL-6, IL-1β, and TNF-α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enetically modified experimental anima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regardless of the exercise application. In the case of TNF-α,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exercise in the transgenic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change of contraction force of the intestinal section through a chemical reaction, both the cholinergic reaction and the nitric acid-mediated reaction decreased in the genetically modified experimental animal group regardless of exercis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암호화폐에 관한 형법상의 최근 쟁점

        이경렬,배초희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23 동북아법연구 Vol.16 No.4

        A world where more than 1,000 cryptocurrencies, including Bitcoin, exist has arrived. Accordingly, the number of people who invest and own has increased rapidly, and crimes using cryptocurrency has increased as well. Since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for the confiscation of Bitcoin came out in 2018, issues of cryptocurrency and its treatment in criminal law have been raised. First of all, even though Bitcoin is called cryptocurrency, it only has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ly used “currency.” Also, it is different from “legal currency,” which is a currency in its full meaning. Since it exists in an electronic form of information, it cannot be regarded as existing in the world of matter. Therefore, Bitcoin does not correspond to neither ‘goods’ nor property under the criminal law. But, there are property interest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iscuss how to treat Bitcoin, which is not a property that exists in material world, under the criminal law. There is also a need to compare bitcoin with game money, which appeared after the appearance of computer games, about similarities of their natur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Bitcoin should be viewed as a new existence. One of the new problems is whether a property crime is established under the criminal law for Bitcoin, which is has property benefits but not a property. The Supreme Court's position on Bitcoin, or cryptocurrency, was summarized by comparing the previously electronically remitted Hong Kong dollar with the case on Bitcoin's mistaken transfer. I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and embezzlement, the difference between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became an important difference, and the difference resulted in a change in the legal inclusion.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Supreme Court's view of cryptocurrency is summarized through the case studies, and it wa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cy was included under the current criminal law system. Under the current criminal law, the subject of confiscation is limited to “objects,” so Bitcoin does not fall under “objects.” Also, it is impossible to include breach of trust and embezzlement due to “property interest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include cryptocurrency by revising some parts that canno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not significantly damaging the current criminal law system. This includes dividing parts of law into confiscation, breach of trust, and embezzlement. This study hopes that the law will be revised through the study to make up for the deficiencies of the law so that the suspect cannot profit from the crime and at the same time that the victim's property can be protected within the legal system. 비트코인을 비롯한 1,000개 이상의 암호화폐들이 존재하는 세상이 도래하였다. 이에 투자⋅ 소유하는 사람들이 급증하였고, 암호화폐를 이용한 범죄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18년 비트코인몰수에 대한 대법원의 판례가 나온 이후 형법적 취급에 대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우선 여기서 말하는 비트코인은 암호화폐라고 불리고는 있지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화폐’의특성을 일부 가지고 있을 뿐 완벽한 의미의 화폐인 ‘법정통화’와는 다르다. 전자적 형태의 정보인상태로 존재하고 있기에 물질의 세상에 존재한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러하기에 형법상 ‘물건’에 해당하지 않고 재물에 해당하지도 않지만, 재산상 이익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재산상 이익은 존재하는 재물이 아닌 비트코인을 형법상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컴퓨터 게임이 등장한 이후에 등장한 게임머니와 그 성질이 비슷한 존재의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존재로 보아야 하는지 비교하였다. 재물은 아니지만, 재산상 이익이 존재하는 비트코인에 대하여 형법상 재산범죄의 성립 여부또한 새로운 문제 중 하나이다. 이전에 전자적으로 송금된 홍콩 달러에 대한 대법원의 판례와비트코인의 착오 이체에 대한 판례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대법원이 비트코인, 즉암호화폐를 바라보는 입장에 대해 정리하였다. 배임죄와 횡령죄에 있어서 재물과 재산상 이익의차이는 중요한 차이가 되고, 그 차이로 인해 법률상 포섭의 여부가 달라지는 결과로 귀결되었다. 이에 해당 연구를 통해 대법원판례 정리를 통하여 현행 대법원이 바라보는 암호화폐에 대해 정리하고 현재의 형법 체계하에서 해당 화폐에 대해 포섭되는지를 판단하였다. 현행 형법하에서는 ‘몰수’의 대상이 ‘물건’에 한정되어 있어 비트코인은 ‘물건’에 해당하지 않는 문제점과 ‘재산상이익’으로 인해서 배임⋅횡령죄의 포섭 불가능성에 대해서 논하였다. 그 결과 일부 포섭이 불가능한 부분에 대해서 현행 형법 체계를 크게 헤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개정함으로써 암호화폐를포섭하는 방안을 몰수와 배임⋅횡령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하여 법률이 개정되어 법률이 미비한 부분을 보충하여 범죄 이익을 피의자가 수익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피해자의 재산이 법체계 안에서 보호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