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이경래,이광석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tage of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the UK. By doing so, it draws some implications of the UK case for the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The UK’s ‘Independent’ community archives as a part of grassroots movement are characterized by participation, autonomy, and self-help of community members. Along with the appearanc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the UK has experienced the revitalization period of community archives in the social context of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cently, the UK’s community archiv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building a ‘governance model’ relying on the partnership with mainstream archives. In particula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is based ‘on their own ways’ with their autonomy as a product of intrinsic development initiated by communities themselves. The character of the model of this type is very analogous to the nature of maul’ community archives movement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however, the UK model of community archives has been evolving into a way of building governance through their appropriation of the skills and methodologies from mainstream archives without endangering the autonomous essences of community archives themselves. We need to note the point of local researchers’ view in archival science who have tried to seek out the methodology for building maul community archives with regard to openness and collaboration. In this respect, a shift in archival principle in the UK would gi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regenerating the locally based community model. 이 논문은 공동체 아카이브가 가장 활발하게 구축되고 있는 영국의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현 단계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국내 공동체 아카이브 발전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국의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는 풀뿌리운동의 일환으로서 공동체 구성원의 아래로부터의 참여, 자율적 통제, 내적 소유권이 요체라 볼 수 있다. 영국은 역사적으로 1960년대에 등장한 공동체 개념으로 시작해 최근 도시재생프로젝트를 거치며 공동체 아카이브가 활성화되는 시기들을 지났다. 최근에는 주류 아카이브 등 공적 영역과의 파트너십에 의해 공동체 아카이브가 거버넌스(협치) 단계에 이르고 있다. 무엇보다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는, 공동체의 내재적 발전의 산물이며 자율적 통제에 기반하여 ‘그들만의 방식’으로 아카이브를 구축해왔다. 이러한 영국형 공동체 아카이브의 성격은 최근 국내 ‘마을’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과 그 기본적 성격 면에서 많이 닮아 있다. 하지만 영국형 아카이브 모델은, 주류 아카이브에 포획되거나 주도되는 방식이 아니라 공동체 아카이브의 자율성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공적 영역의 노하우를 끌어들이며 거버넌스(협치)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개방과 협업의 공동체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방법론 모색이 절실한 국내 기록학계에 영국의 최근 변화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토끼의 음경해면체 평활근에 ethanol 및 acetaldehyde가 미치는 영향

        이경래,배재현,김진욱,심강수,오미미,박민구,문두건,김제종 대한남성과학회 2009 The World Journal of Men's Health Vol.27 No.3

        Purpos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pharmacologic effects of ethanol and its metabolite, acetaldehyde on potassium channels of the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of the rabbit. Materials and Methods: Cavernosal strips from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harvested and pharmacophysiologic organ bath studies were executed. In equilibrium state after incubation, zaprinast (PDE5 inhibitor) induced relaxations were monitored in strips precontracted with phenylephrine (PE, 10-4M).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and acetaldehyde (2, 20, 40, 80 mmol) on zaprinast-induced relaxations were recorded. Pinacidil (KATP channel opener) and phloretin (BK channel opener) were tested to reverse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and acetaldehyde on zaprinast-induced relaxations. Results: Both ethanol and acetaldehyde inhibited the zaprinast-induced relaxa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p<0.05). Both pinacidil and phloretin abolished the inhibition by both ethanol and acetaldehyde (p<0.05). Ethanol and acetaldehyde inhibits cavernosal relaxation, possibly through BK channels and KATP channel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and its metabolite may affect the corpus cavernosal smooth muscle directly and lead to consequent erectile dysfunction. Furthermolecular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will help reveal the underlying mechanisms to which this process occurs.

      • KCI등재

        호주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와 ‘평행출처주의’의 현재적 의미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ormation process of “parallelprovenance” concept in the context of Australia’s aboriginal communityarchives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rebuildingof domestic “past affairs-related committee archives”. Focused on historicaldevelopment of aboriginal community archives in Australia, this writingdivides its development into three periods: colonial archives, post-colonialarchives, and contemporary archives and investigates each period’s distinctfeatures in managing and building of aboriginal community archives. Firstof all, for colonial archives, it pays attention to Australia’s archival tradition,which focused on current record-keeping and then development ofmultiple provenance resulted from this tradition. Second, for post-colonialarchives, it examines the appearance of aboriginal people as the subject ofdocumentation category and name indexing on them. Finally, forcontemporary archives, it analyzes current activities of Australia’s academicworld of archival science for overcoming “the otherness” of aboriginalpeople through conceptualization of “parallel provenance”. Conclusively,through current meaning of parallel provenance, this study drawsimplications for democratic contemporary rebuilding of domestic pastaffairs-related committee archives, in which historical victims become the subject of archives. 본 논문은 호주의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 사례를 중심으로발전한 ‘평행 출처주의’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이것이 국내 과거사 아카이브의 기록화 과정에 어떤 함의를 가질 수 있는지를고찰했다. 이 글은 호주 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발전을 중심에 놓고, 그 시기를 크게 식민주의 아카이브, 후기식민주의 아카이브, 그리고 동시대 아카이브로 구분했다. 각 국면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호주원주민 공동체 아카이브의 관리 및 구축방법에 있어서 고유한 특성들과 원주민 아카이브의 진화 과정을살폈다. 즉 식민주의 아카이브에서는 백인 관료들이 생산한 현용행정기록 중심의 아카이브 전통과 그로 인한 다중 출처주의의 발전에 주목했다. 후기 식민주의 아카이브에서는 기록화 범주로서호주원주민의 등장과 이들에 대한 인명 색인 작업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동시대 아카이브에서는 호주 원주민의 타자화를 극복하기 위한 호주 기록학계의 최근의 움직임을‘평행 출처주의’ 개념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론에서는 이 개념의현재적 의의를 통해 그동안 역사에서 재현되지 못한 피해당사자들이 주체가 되는 국내 과거사아카이브의 민주적인 동시대적 재구성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인류세 시대 '생태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이경래,Lee, Kyong Rae 한국기록학회 2021 기록학연구 Vol.- No.68

        이 글은 '인류세(anthropocene)'라는 지구 환경 위기의 화두를 어떻게 기록학에 접목하고 생태 실천적 사유와 연결할 것인지를 모색한다. 환경 위기 상황을 일종의 아카이브 상수값으로 둔 기록학 논의를 독려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생태주의에 입각한 기록학의 질적 전환 가능성을 타진한다. 이 글은 최근 서구 기록학 내 '그린 아카이브'에서 주장하는 친환경 기록관리의 개선책 마련 정도의 실용주의론을 넘어서고자 한다. 기록학과 생태주의적 패러다임을 이론적으로 접목하는 '생태 아카이브'라는 새로운 개념과 이의 인식론적 전환을 요청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기록의 생태적 접근을 기록학 논의에서 발굴함과 동시에 최근 인류세 담론들이 강조하는 기록의 '생태주의적 전회(an ecological turn)'를 통해, 이 글이 강조하는 '생태 아카이브' 개념을 구체화한다. 이 연구는 '생태 아카이브'를 기록학의 보편적·이론적 프레임으로서 생태 '리빙'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 개념으로 삼는다. 즉 생태주의적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이른바 기록 민주주의적 가치들, 즉 탈보관주의, 공동체 아카이브, 그리고 정서의 아카이브를 재해석하고 확장한다. 구체적으로, 인류세 비극의 중요한 현장이자 사례인 구제역 살처분 매몰지 기록을 통해서 생태 리빙 아카이브의 실제 적용의 방법론을 예시한다. 구제역 사례 분석은, 지구 생태전환에 조응하는 기록관리의 새로운 질적 전환을 모색함과 동시에 아키비스트와 생태 현장의 시민주체들이 공동으로 구성해나가는 생태 현장 실천의 기록화 작업을 함께 강조하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to incorporate the topic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called the "anthropocene" into archives studies and connect it to ecological practical reasons. In order to encourage discussion of archival studies, which puts the environmental crisis at a kind of archive constant value,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 quality shift in archival studies based on ecology. This article aims to go beyond the pragmatism of preparing improvements to eco-friendly record management, which is recently claimed by the "Green Archive" in Western archival studies. It calls for a new concept called 'ecological archive', which theoretically combines a more archives-based and ecological paradigm, and its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Specifically, the ecological approach of archives is first discovered in the discussion of archival studies an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ecological turn" of archives emphasized by recent anthropocene discourses, the concept of "ecological archive" emphasized by this article is embodied. This study uses 'ecological archive' as a universal and theoretical framework for archives as a basic concept for building ecological 'living' archives. In other words, for the construction of ecological archives, we reinterpret and extend so-called democratic values for archives, i.e., post-custodianship, community archives, and archives of emotions. Finally, the records of foot-and-mouth disease killing burial sites, an important site and example of the anthropocene tragedy, exemplifies the methodology of the actual application of ecological living archives. The case analysis aims to seek a new qualitative shift in record management that adapts to global ecological transformation, while also emphasizing the documentation by archival activism in ecological field practices jointly organized by archivists and citizen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아카이브 아트(archival art)'의 동시대 기록학적 함의 연구

        이경래,Lee, Kyong Rae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4

        이 글은 '주류' 아카이브 연구에서 아직은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는, 국내외 예술계를 중심으로 부상하는 새로운 아카이브 '열병'과 '충동'의 경향을 어떻게 주류 기록학계에서 바라보고 이를 주체적으로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론적 글의 성격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몇 가지 국내 아카이브 아트의 최근 경향성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어떻게 아카이브 아트가 미학적 태도와 방식을 갖고 역사와 기억에 관여하고 있는지, 그리고 예술계 내부 '아카이브 충동' 현상이 '기록학계' 연구 경향에 어떤 시사점이나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구체적인 해외 사례, 즉 미국의 한 공공 기록관의 아카이브 체계 내에서 아카이브 충동을 재해석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의미 있는 움직임을 살피고자 한다. 이에 이어서, 아직 구체적 아카이브 방법의 조직화 수준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국내 예술계에서 산발적으로 시도되는 아카이브를 매개하여 이뤄지는 창작 작업의 특징과 성격을 탐색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이른바 '아카이브 아티스트'들이 기존의 기록학계에서 관찰되지 않는 방식으로 어떻게 기록되지 않은 것을 기록하고, 배제된 역사를 어떻게 미학적 언어로 소환해 풀어내는지를 살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아트'라는 이 새로운예술 경향으로부터, 전통의 역사적 기록을 보관박스에서 끄집어내 동시대적 정서 구조 안에서 살아있는 아카이브로 재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The articl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writing about how to look at the trend of new archives 'fever' and 'impulsion' emerging around the domestic and foreign art world, which have not been paid much attention yet in the 'mainstream' archive research, and how to accept it independently.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archival art is involved in history and memory with aesthetic attitudes and methods through observation of recent tendency of domestic archive art, and what implications or influence the 'archival impulse' phenomenon in the art world can have on the research trend of 'archival studies.' First, I would like to look at the meaningful movement to reinterpret and actively accept archival impulses in concrete overseas cases, that is, the archive system of a public archive in the United States. This is followed by an attempt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works that are carried out through the medium of archives, that has not yet reached the level of organization of specific archive methods but are sporadically attempted in the domestic art world. It examines how so-called 'archive artists' record unrecorded in a way that is not observed in the existing archival world, and how they summon and include excluded history in aesthetic language.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pull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radition out from archival boxes and reinterpreting them as living archives within the contemporary emotional structure from this new artistic trend called 'archival art'.

      • KCI등재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이경래 한국기록학회 2015 기록학연구 Vol.0 No.45

        Maeul-making, which is to restor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maeul as a living community has been proceeded by local communities themselves since the 1990s when political democracy and local government in Korean society has been progressed in full-scale. Although New Maeul Movement has been done in the 1970s before and after, it is different from maeul-making because it was focused mainly on improving physical environments of rural communities and initiated by government. The development of maeul community archives in Korea has been related closely to such a maeul-making since the 1990s. Maeul-based community archives, maeul community archives had been begun to build as part of maeul-making and grass-root movement by the 2000s. Initiated by self-motivated communities, maeul community archives were carried out through cooperations between civic activists and residents in maeul communities and voluntary professional archivists from outside. Although records about the maeul community has been collected by mainstream cultural institutions such as public archives, museum, local historical association, and local cultural center, it was at this time to collect records of the maeul community by self-motivated local residents. This tendency of ‘independent’ maeul community archives, however, is currently entering upon a new phase with the city of Seoul’s project (2012) to support making a maeul community, that is, the governance phase based on private-government partnership. At this point of time, it is important for maeul community archives to be built on privately-led governance model that guarantees their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bring government‘s knowhow and supports into them, as opposed to the way captured or driven unilaterally by government. This article explores the growth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nd collections in Korean society through a range of self-motivated bodies; the interaction with government; and as a result of those interactions, the creation of maeul community archives based on governance. To introduce and explicate the motivations behind maeul archiving endeavors, this article will first sketch something of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in which ‘maeul’ communities have arisen, collapsed, and restored. It will then examine in more detail some specific examples of maeul community archives as grass-root movement of maeul community. The third section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governance model of maeul community archives under the auspices of the city of Seoul and its limitations. Finally through these activities, it will suggest the ways in which maeul community archives commit themselves to their duty of grass-root movement of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ecure sustainability, that is, concrete ways of privately initiated governance model. 이 논문은 국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주민 주도형 마을아카이브 거버넌스 구축과 이의 지속성을확보하기 위한 기록학적 방안을 구체화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먼저 역사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마을과 마을공동체의 역사적 형성과 쇠락의 과정 속에서 자생적으로 출현했던 성미산과 풀무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출현을 살핀다. 본 연구는 풀뿌리 운동의 일환으로 구축된 이들 ‘독립’ 공동체 아카이브를마을 공동체의 내적 동인에 의해 추동된 자율적·자생적 산물로 바라본다. 반면 2000년대 접어들면서 이러한 독립 마을 공동체아카이브가 민·관 협업에 의해 새로운 공동체아카이브의발전 국면에 돌입했다고 본다. 이 글은 서울시가 마을아카이브 시범사업을 통해서 과거 중앙정부 주도의 전시행정적 컬렉션 구축을 넘어서서 마을주민 스스로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있는 역량 강화에 일부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서울시의 거버넌스 모델은 궁극적으로 정책 사업화하면서 오히려 마을아카이브가 지니는 풀뿌리적 성격과 아카이브의 지속적 발전 개념을 확보하기에 여전히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글은 실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시범사업에 대한 분석을통해 그 명암을 살펴보고,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발전적 대안을 마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