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벼 생육시기별 왕우렁이의 벼 섭식량 및 피해해석

        이건휘,백채훈,노태환,서홍렬,최만영,Lee, Geon-Hwi,Paik, Chae-Hoon,Noh, Tae-Hwan,Seo, Hong-Yul,Choi, Man-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왕우렁이는 일본으로부터 식용목적으로 1983년에 국내로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우리나라 벼 담수직파재배지에서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왕우렁이에 대한 온도 및 벼 생육시기별 섭식량과 피해정도를 구명하여 효율적인 관리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온도별($l5{\sim}35^{\circ}C$) 왕우렁이 벼 섭식량은 $30^{\circ}C$에서 가장 많았으며, $30^{\circ}C$에서 왕우렁이 크기별 벼 섭식량은 왕우렁이 유체(각고 15 mm)와 성체(각고 30 mm 이상)는 출아 직후, 1엽, 3엽, 및 5엽의 벼를 1 일 동안각각 19.0/79.8, 11.0/54.5, 5.5/18.5 및 0.0/2.0개를 섭식하였다. 왕우렁이는 먹이 습성상 벼가 어린 유묘기(5엽 이하)에 피해를 많이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생육시기별 왕우렁이 성체(각고 25mm 이상) 접종밀도를 달리하여 피해정도를 조사한 결과 벼 출아 직후에서 10 $m^2$당 왕우렁이 개체수가 10마리 일 때 수량감소가 16%로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The golden apple snail was introduced to the Korea from Japan as a potential food for people in 1983. It is one of the pests of direct-seeded ric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ice(Oriza sativa) consumption and the extent of damage by the golden apple snail(Pomacea canaliculata) in direct-sown paddy fields. Food consumption of the golden apple snail was highest at $30^{\circ}C$. When the emergence of the 1st, 3rd, and 5th leave of rice supplied food, the consumption of young(shell height 15mm) and adult golden apple snail(over shell height 30mm) at $30^{\circ}C$ were 19.0/79.8, 11.0/54.5, 5.5/18.5, and 0.0/2.0 individuals, respectively. Young rice seedings(before 5th leaves of rice) are very susceptible to golden apple snail damage because the young, tender leaves and stems favor the snail's feeding habits. The field experiment with four treatments (0, 2, 5 and 10 individuals respectively per 10 $m^2$) was carried out. The most serious yield loss was 16% from the plot with 10 adults released at emergency stage of rice.

      • KCI등재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

        이건휘,백채훈,최만영,오영진,김두호,나승용,Lee Geon-Hwi,Paik Chae-Hoon,Choi Man-Young,Oh Young-Jin,Kim Doo-Ho,Na Seung-Ye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3 No.3

        호남지역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소장, 콩 피해 및 약제방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은 콩 파종시기 및 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경 파종은 8월 하순에, 6월 중순경 파종은 9월 중순 이었고, 파종기가 동일하더라도 연차간 기상조건에 따른 중 생육상의 차이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최성기 차이가 있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의한 콩 흡즙 피해 면적을이 증가하면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으며, 특히, 콩 피해면적율이 $50\%$ 이상 되면 발아율이 $2\%$로 매우 낮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약제방제효과는 콩 생육단계중 $R_4$(착협성기)+ $R_5$(립비대기)+ $R_6$(립비대성기)에 3회 처리시 $91\%$의 방제효과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asonal Occurrence, soybean damage and control efficacy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at soybean field in Honam province. Occurrence of R. clavatus varied at seeding times with annual difference. The peak occurrence of R. clavatus was appeared at late of August for late May seeding and middle of September for middle June seeding. There was difference in the peak occurrence of R. clavatus due to different growing stages affected by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though soybean was seeded at same time. If the rate of soybean seed damage area by R. clavatus sucking increases, the germinating rate was greatly decreased. If the rate of soybean seed damage area is above 50 percent, in particular, the germinating rate was very low with 2 percent. Control efficacy against R. clavatus was the highest with $91\%$ at 3 times treatment of insecticide at $R_4$ (full pod stage) + $R_5$ (Beginning seed stage) +$R_6$ (full seed stage) of soybean growing stages in field.

      • SCOPUSKCI등재

        원형단면의 곡관에서의 난류유동 측정

        이건휘,Lee, Geon-Hwi 대한기계학회 199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2 No.7

        Hot-wire measurement of the longitudinal and radial velocity components and Reynolds stresses are reported for developing turbulent flow in a strongly curved 180 deg. pipe and its tangents. Slanted wire is rotated to 6 directions and the voltage outputs of them are combined to obtain the mean velocities and Reynolds stresses. Significant double maxima in the longitudinal velocity component appear in the bend. V-profiles reveal the development of a strong secondary flow. This secondary flow is induced by the transverse pressure gradient set up between the outer(r$\sub$o/) and inner(r$\sub$i/) wall region of the bend. Another second cross-stream flow develops after .theta.=135 deg. and its direction is opposed to that of main second flow.

      • KCI등재

        벼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의 경제적 피해수준

        이건휘,박채훈,최민영,서홍렬,배순도,최용수,Lee, Geon-Hwi,Park, Chae-Hoon,Choi, Man-Young,Seo, Hong-Yul,Bae, Soon-Do,Choi, Yong-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벼 혹명나방 유충이 벼에 주는 피해를 해석하기 위해 유충 마리당 가해엽수를 조사하고, 생육시기별 절엽 수준(0, 10, 30, 50, 70 및 90%)을 달리하여 수량 및 수량구성 요인을 조사한 결과, 유충 1마리가 유충기간 동안 벼 잎을 $6{\sim}7$개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출수전(유수분화기)에는 절엽률과 등숙률과는 Y = -9.379X + 83.630 ($R^{2}=0.493$), 절엽률과 수량감소율과는 Y = 0.139X + 0.490 ($R^{2}=0.925$), 절엽률과 완전미율과는 Y = -4.880X + 81.116 ($R^{2}=0.665$)의 관계가 있었다. 출수 후(유숙기)에는 절엽률과 등숙비율과는 Y = -23.0l4X + 83.589 ($R^{2}=0.915$), 절엽률과 수량 감소율과는 Y=0.141X + 3.466 ($R^{2}=0.842$), 피해율과 완전미율과는 Y = -13.795X + 81.964 ($R^{2}=0.898$)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출수전보다 출수 후가 혹명나방 피해를 받았을 때 수량이나 수량구성요소에 더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조사되었다. 벼 혹명나방 피해허용수준은 출수 전(유수분화기)에는 피해엽률 30%, 출수 후 (유숙기)에는 피해엽률 7%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conomic injury level of the rice leaffolder,Cnaphalocrocis medinalis G.. The damage aspects of rice plant (at tilling stage) by leaf folders at different larval density per plant were studied in pot experiment (24 cm in diameter, 18 cm in height). One leaf folder consumed 6-7 leaves during larval stage. The damage by leaf folders was simulated by cutting off 0, 10, 30, 50, 70, and 90% of leaves before and after heading stage July 15th (at panicle initiation stage) and August 15th (at milk stage), respectively. When leaves were cut before the heading of rice, the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f cutting rate (X) and each factors of yield (Y) were as following; for grain maturity it was Y = -9.379X + 83.630 ($R^{2}=0.493$),\;Y = 0.139X + 0.490 ($R^{2}=0.925$) for yield, and Y = -4.880X + 81.116 ($R^{2}=0.665$) for head rice. When leaves were cut after the heading of rice, it was Y = -23.0l4X + 83.589 ($R{2}=0.915$), for grain maturity, Y=0.141X + 3.466 ($R^{2}=0.842$) for yield, and Y = -13.795X + 81.964 ($R^{2}=0.898$) for head rice. We found that when leaf cutting after the heading stage caused more damage than before the heading in terms of yield and yield components. Based on theses results the economic threshold level was estimated to be 30% and 7% leaf loss before and after heading stage.

      • KCI등재

        콩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의 경제적 피해수준

        이건휘,배순도,김현주,박성태,최만영,Lee, Geon-Hwi,Bae, Soon-Do,Kim, Hyun-Joo,Park, Sung-Tae,Choi, Man-Yo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5 No.3

        담배거세미나방에(Spodoptera litura)에 의한 콩의 피해해석을 하고자 콩 생육기 및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밀도를 달리하여 조사한 결과 콩 생육시기별 유충 밀도에 따른 수량감소율과의 관계식은 개화기에는 (1) Y = 1.655X - 6.025 ($R^{2}=0.952$), 착협기에는 (2) Y = 0.725X - 0.475 ($R^{2}=0.986$), 립비대기에는 (3) Y = 0.635X - 1.325 ($R^{2}=0.986$)였다. 이 관계식을 근거로 하여 콩 생육시기별 피해허용수준(수량감소 5% 기준)을 산출한 결과, 주당 2-3령 유충의 밀도는 개화기6.7 마리, 착협기 7.5마리, 립비대기는 10.0마리였다. $28^{\circ}C$에서 1령, 2령, 3령, 4령, 5령 및 6령 유충의 1일 섭식량은 0.3, 0.7, 2.6, 4.0, 20.1 및 $55.8\;cm^{2}$ 이었다. The damage aspects of soybean by common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Lepidoptera: Noctuidae) at different larval density and different growth stage of soybean were studied in soybean field. The percent yield reduction(Y) of soybean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S. litura (X, no. of larvae/plant) under outdoor conditions for a three week period wer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1) Y = 1.655X - 6.025 ($R^{2}=0.952$) for the R1 (flowering stage); (2) Y = 0.725X - 0.475 ($R^{2}=0.986$) for the R3 (beginning pod stage); and (3) Y = 0.635X - 1.325 ($R^{2}=0.986$) for the R5 (beginning seed stage).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S. litura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soybean, the number of larvae (2nd-3rd instar)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Tolerable injury level) was estimated to as approximately 6.7 for the R1, 7.5 for the R5, and 10.0 per plant for the R5, respectively. Average soybean leaf areas consumed by 1st, 2nd, 3rd, 4th, 5th and 6th larvae of Spodoptera litura during 24 hr at $28^{\circ}C$ was 0.3, 0.7, 2.6, 4.0, 20.1, and $55.8\;cm^{2}$, respectively.

      •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GIS기반의 EFDC 모델 후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

        이건휘,김계현,박용길,이성주,Lee, Geon Hwi,Kim, Kye Hyun,Park, Yong Gil,Lee, Sung Joo 한국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4

        영산강 하구역은 하구둑에 의해 하천의 수체가 정체되어 수질문제가 심각한 지역이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수질변화의 예측은 필수적이며, 주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델이 활용된다. EFDC 모델의 모의 결과로는 Binary 형식의 대용량 결과파일이 생성되며, 모의 결과의 공간적인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후처리기로는 EFDC_Explorer가 있다. 그러나 EFDC_Explorer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파일은 단순한 캡처 형식의 자료로 다른 주제도와의 중첩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이는 다양한 GIS자료와의 연계 분석이나 고차원적인 분석에서 제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에서 활용을 고려한 EFDC 모델 모의결과 후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입력파일 수정 모듈과 Binary 형식의 결과 자료를 ASCII 형식으로 변환하는 모듈, GIS기반의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한 레이어 형식으로 재구성하는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재구성된 모델결과를 효율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결과 레이어는 다양한 주제도간의 중첩 분석이나 다양한 GIS기반의 환경에서 연계분석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수질관리를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Yeongsan river estuary has a serious water quality problem due to the water stagnation and it is imperative to predict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for mitigating water pollution.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model was mainly utilized to predict the changes of water quality for the estuary. The EFDC modeling normally accompanies the large volume of modeling output. For chec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odeling results, post-processing for converting of the output is prerequisite and mainly post-processing program is EFDC_Explorer. However, EFDC_Explorer only show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time series and this doesn't support overlay function with other thematic maps. This means the impossible to the connection analysis with a various GIS data and high dimensional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ost-processing system of a EFDC output to use them as GIS layers.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editing module for main input files, and a module for converting binary format into an ASCII format, and a module for converting it into a layer format to use in a GIS based environment, and a module for visualizing the reconfigured model result efficiently were developed. Using the developed system, result file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vert the GIS based layer 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

        콩 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 트랩 및 설치높이

        백채훈,이건휘,오영진,박정규,황창연,김상수,Paik, Chae-Hoon,Lee, Geon-Hwi,Oh, Young-Jin,Park, Chung-Gyoo,Hwang, Chang-Yeon,Kim, Sang-S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콩 포장에서 문제가 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생예찰을 위한 효율적인 페로몬트랩 및 설치높이를 구명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발생예찰에 적합한 페로몬 트랩은 피쉬(통발)트랩이며, 지면으로부터 60 cm 높이에서 유인량이 가장 많았다. 페로몬 트랩에 유인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암수 성비는 1.5:1로 암컷 성충이 가장 많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가로줄노린재도 동시에 포획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유인 트랩에 대한 수입제품과 국내제품의 유인력을 조사한 결과, 수입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만 유인하였고, 국내제품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가로줄노린재를 유인하였다. 합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은 8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9월 상순에 최대발생시기를 보였고, 포충망을 이용한 발생시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in soybean fields using pheromone. The most effectiv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were fish trap and 60 cm above ground. Ratio of R. clavatus adults female and male in soybean field was 1.5 to 1 and Piezodorus hybneri was also attracted to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R. clavatus. Attractiveness of two stink bug species caught on synthesis pheromone of R. clavatus was surveyed with imported production and synthesized production. Imported pheromone attracted only adult of R. clavatus, but synthesized pheromone attracted both adult of R. clavatus and P. hybneri. Change of population of R. clavatus was observed using pheromone trap and sweeping method in soybean field. Adults of R. clavatus occurred from early August and the population reached its peak in early September when pheromone trap was used. In case of sweeping method, its fluctu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pheromone trap.

      • KCI등재

        퉁퉁마디뿔나방 월동 서식처와 발생동태

        백채훈,이건휘,최만영,노태환,심형권,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Noh, Tae-Hwan,Shim, Hyeong-Kw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2

        퉁퉁마디 재배지에서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유충의 이동시기 및 서식처를 전북 김제와 전남 신안에서 조사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유충은 9월 중순부터 퉁퉁마디 보다 주변에 있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과 같은 염생식물에서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염생식물 내부에서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다. 퉁퉁마디뿔나방 월동충의 밀도비율은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각각 20.5, 28.4 및 51.1%로 해홍나물에서 월동하는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월동 후 성충 첫발생시기는 전북 김제지역과 전남 신안지역 모두 4월 19일부터 20일 사이였다. The moving period and overwinteing site of Scrobipalpa salinella (Zeller) were investigated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in the glasswort field. Densities of Scrobipalpa salinella larvae were started to increase from mid-September in halophytes, such as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rather than glasswort. S. salinella was overwintering inside the halophytes in old larva. Density ratio of overwintering S. salinella in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nd S. maritima were 20.5, 28.4 and 51.1%, respectively. Overwintering population was highest in S. maritima among halophytes. The occurrence of first adult in the next spring was from April 19 to April 20 in Gimje, Jeonbuk, and Shinan, Jeonnam.

      • KCI등재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점박이응애에 대한 애꽃노린재(Orius sauteri)의 포식반응

        백채훈,이건휘,황창연,김시주,Paik, Chae-Hoon,Lee, Geon-Hwi,Hwang, Chang-Yeon,Kim, Si-J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4

        애꽃노린재의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를 주었을 경우, 애꽃노린재 암 수 약충의 온도별 일일포식량은 17, 22, 27, $32^{\circ}C$에서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4.2/3.9, 11.4/9.5, 14.3/10.8, 14.7/12.5 마리였고 $27^{\circ}C$에서 먹이종류별 일일포식량은 먹이로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및 점박이응애를 공급하였을 경우 전체 약충기간(암/수) 동안 각각 14.3/10.8, 7.5/7.2, 45.9/38.8마리를 포식하였다. 애꽃노린재 암컷 성충은 $27^{\circ}C$에서 산란전기간에 42.8마리, 산란기간에 63.2마리를 포식하였다. 애꽃노린재는 꽃노랑총채벌레의 밀도 증가에 띠라 포식량은 점차 증가하였으나 증가율은 차차 감소하는 Holling의 기능반응곡선 제II형(포화형)과 유사한 포식반응을 나타냈고 애꽃노린재 암컷 성충의 탐색율이 5령 약충에 비해 높고 탐색시간도 짧았다. 애꽃노린재의 5령 약충과 암컷 성충은 꽃노랑총채벌레 2령 유충을 가장 선호하였다. Daily predation of female/male O. sauteri during nymphal development were 4.2/3.9, 11.4/9.5, 14.3/10.8, and 14.7/12.5 at 17,22,27, and $32^{\circ}C$, respectively, and consumed 14.3/10.8 thrips, 7.5/7.2 aphids, 45.9/38.8 mites at $27^{\circ}C$, respectively. Adult females ate 42.8 thrips daily during preoviposition period and 63.2 thrips during oviposition period at $27^{\circ}C$. Predation by O. sauteri on F. occidentalis increased as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increased. However, the rate of increase gradually lessened, resembling a Holling's type II functional response. The attack rate of adult female is higher than that of the 5th nymph. Adult female and 5th nymph of O. sauteri appeared to prefer 2nd larva of F. occidentalis.

      • KCI등재

        고구마 재배지 주요 굼벵이 발생양상 및 피해

        백채훈,이건휘,최만영,김두호,최동로,서홍렬,Paik, Chae-Hoon,Lee, Geon-Hwi,Choi, Man-Young,Kim, Doo-Ho,Choi, Dong-Ro,Seo, Hong-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pulation dynamics of white grubs and its damages in sweet potato fields. There were three species of white grubs that fed on the roots of sweet potato in Honam area. Among them, Holofrichia parallela was a major insect pest. Damage rate of sweet potato by white grubs were about 2 to 40% differed with regions. In some region where it was severe the damage rate of sweet potato was about 80% or more. H. parallela overwintered as a late 3rd instar larvae in soil from late October to late-June, and the survival rate of them was 92%. The occurrence pattern of H. parallela larvae varied in different seasons. In sweet potato field, H. parallela larvae populations started being observed during late-July to mid.-August. The damage by the grub began to occur late-August in field and lasted to the harvest time. 고구마 재배지에 발생하는 풍뎅이류 유충(굼벵이)의 종류 및 종별 피해양상을 조사하였다. 고구마 재배지 토양에 발생하는 풍뎅이류는 큰검정풍뎅이(Holotrichia parallela), 참검정풍뎅이(Holotrichia diomphalia), 애풍뎅이(Anomala rufocuprea) 3종이지만 주로 발생하는 풍뎅이류는 대부분 큰검정풍뎅이로 조사되었다. 굼벵이류에 의한 고구마 괴근 피해율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평군 2-40%였고, 심한 경우는 80% 이상의 피해를 나타낸 포장도 있었다. 큰검정풍뎅이는 10월 하순부터 다음해 6월 하순까지 토양 속에서 3령의 노령유충으로 월동하였으며, 월동기간 동안 유충의 생존율은 92%로 매우 높았다. 고구마 포장에서 큰검정풍뎅이 유충은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 사이에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고구마의 굼벵이 피해는 8월 하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수확기까지 지속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