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그릿 및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은희(Eun Hee Choi),구본주(Bon Ju Gu),문혜진(Hye Jin Mun),박정현(Joung Hyun Park),안민호(Min Ho Ahn),이가현(Ga Hyun Lee),이예은(Ye Eun Lee),이예은(Ye Eun Lee),이하람(Ha Ram Lee) 한국디지털융합교육학회 2023 디지털융합교육연구 Vol.2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그릿 및 감성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서울에 위치한 4년제 대학의 간호대학생 18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평균 3.67점, 평균 Grit는 3.10점, 평균 감성지능은 3.91점, 대학생활적응은 3.46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수-학생 상호작용, 그릿, 감성지능은 대학생활적응과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수-학생 상호작용(β=.32, p<.001), 감성지능(β=.18, p=.017)과 전 공만족도(β=.17, p=.013), 그릿(β=.16, p=.023)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요인 들이 대학생활적응의 30.8%를 설명하였다(F=20.99, p<.001).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이 대학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과 전공만족 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gri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181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As a result, the averag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3.67 out of 5, the average Grit was 3.10 out of 5, the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was 3.91 out of 5,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as 3.46 out of 5.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grit and emotional intelligenc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β=.32, p<.001), emotional intelligence (β=.18, p=.017), major satisfaction (β=.17, p=.013) and Grit (β=.16, p=.023)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ese factors explained 30.8% of college life adjustment (F=20.99,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life.
김승원 ( Seung Won Kim ),이가현 ( Ga Hyun Lee ),피영규 ( Young Gyu Phee ),양원호 ( Won-ho Yang ),하권철 ( Wonchul Ha ),박현희 ( Hyunghee Park ) 한국산업보건학회 (구 한국산업위생학회) 2017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7 No.1
Objectives: Particulate matter (PM) at construction sites mostly originates from either construction activities or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xposure level to PM and the contribution ratio of atmosphere sources at construction sites. Methods: We reviewed literature and governmental systems related to PM exposure in occupational settings and summarized them. In the field evaluation, five construction sites and one golf course were selected: two from Gyeonggi-do Province and four from North Gyeongsang-do Province. For each site, personal samples from outdoor construction workers and area samples from the outdoor area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office were collected according to construction work types. PM concentrations reported from nearby National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s were recorded.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respirable silica concentrations, and several metal concentrations including Cd, Cr, Pb, and As were monitored over four months. In the end we suggested how to manag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at construction sites. Results: There was little literature reporting on exposure levels of construction workers to PM.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in Gyeonggi-do Province were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North Gyeongsang-do Province. The geometric means of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in personal samples and area samples were 37.89 μg/m3 and 92.86 μg/m3, respectively. The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e PM concentrations reported from nearby National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 The geometric means of respirable silica concentrations of personal samples and area samples were 1.3 μg/m3 and 1.1 μg/m3, respectively. All metal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10% of individual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Conclusions: Assuming that personal samples consisted of ambient PM and dust originating from work activities and area samples only collected ambient PM, we concluded that the dust exposure of outdoor construction workers originated 40.8% from the atmosphere and 59.2% from construction activities. PM exposure at construction sites should be controlled by employers, as in the case of outdoor heat stres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setting 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 for respirable dust.
맹꽁이(Kaloula borealis) 음성활동성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분석 연구
이지아 ( Ji-a Lee ),김지원 ( Ji-won Kim ),이세형 ( Sae-hyung Lee ),이가현 ( Ga-hyun Lee ),윤지영 ( Ji-young Yoon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맹꽁이의 번식기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주시 인근 7개 지점에 야외자동녹음장치(Songmeter SM4, Wildlife Acoustics Inc., Concord, MA, USA)를 설치하였다. 녹음 기간은 2019년 6월 10일부터 8월 1일까지이며, 매시간 당 5분씩 녹음하여 음원 자료를 확보하였다. 녹음 자료 분석 항목은 맹꽁이 개체수 (1: 0개체, 2: 1개체, 3:2-3개체, 4: 4개체 이상), 분당 맹꽁이 call 수, 청개구리 call 수, 참개구리 call 수이다. 온도, 습도, 강수량 등 기후환경 요인 데이터에 대한 조사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에서 청주시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① 7개 지역 간 울음소리를 내는 음성 활동성의 차이가 있는지, ② 음성 활동성의 일주 특성이 있는지, ③ 맹꽁이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온도, 습도, 강수량과의 관계가 있는지, 또한 ④ 생물학적 요인(청개구리 울음소리와 참개구리 울음소리)의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맹꽁이 울음소리는 Songmeter를 설치한 각 지역마다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1, 5 지역에서 개체수와 분당 call 수가 높게 나타났고, 2, 6 지역에서 가장 늦게 나타났다. 또한, 주변 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call 수가 많아질수록 맹꽁이의 분당 call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분당 call을 많이 내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루 중 음성활동성은 21~22시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새벽 5시 전까지 어느 정도 활동성이 보이다가 점차 활동성이 낮아졌으며, 낮 시간에는 음성활동이 밤 시간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맹꽁이의 일별 음성활동성 패턴은 주변에 서식하는 참개구리, 청개구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참개구리와 더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맹꽁이의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습도가 높아지고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음성 활동성을 보였다. 반면 온도는 크게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로 여름철에 번식하는 양서류의 경우 계절적으로 충분한 온도조건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맹꽁이가 번식기에 내는 울음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7개 지점 별로 환경 특성 차이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서식지 환경 변수를 반영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