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이유·원인 연결형 문법 항목의 난이도 위계화 연구

        응웬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이유·원인 연결형 문법 항목을 위계화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법 항목의 통사적 특징 제약에 대해 베트남어와 대조분석을 하고,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에 각 항목에 대한 체감 난이도 및 사용빈도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계량적 위계화 목록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 및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째, 이유 원인을 나타내는 인과관계 연결형 문법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최근에 베트남 내 대학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5종의 한국어교재들과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모형 4단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항목들 모두 추출하여 중복도 조사를 하였다. 중복도 조사를 통해 평균 중복도가 5.77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하였고 평균 중복도보다 높은 중복도를 갖는 문형을 중요한 항목으로 보아, 평균 중복도 6 이상인 문법 항목들을 선정하였다. 둘째, 이유·원인 문법 항목의 난이도를 측정하기 위해 내적 난이도와 외적 난이도를 분석하였다. 외적 난이도 경우, 선정된 각 항목의 통사적 제약의 수를 조사하고 베트남어와 대응 분석하여 대응 양상을 수치화하였다. 내적 난이도의 경우,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입장에서 이유·원인 문법 항목에 대한 난이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내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각 문법 항목의 난이도 및 사용빈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를 통해 계산된 각 항목의 난이도 값에 따른 위계화 목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학습자가 느끼는 체감 난이도와 대조분석을 통한 통사적 제약의 수에 의한 난이도를 분석하는 데에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select and hierarchy the Reason and Cause Connective Expression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n Vietnam Universities. To meet this goal, we collected and selected a list of 15 educational items based on redundancy surveying the reason and cause connective Expressions in Korean textbooks. Thus in order to measure the difficulty of each item, it is required to find difficult of the expressions of reason and cause. The difficult of the grammatical item was made from two factors: internal factor(the difficulty that Vietnamese learners experiencing) and external factor(the syntactic features patterns of responses to Vietnamese). In order to measuring the internal factors we analyzed the difficult that Vietnamese learners experiencing. With external factors, we analyzed the syntactic feature of each items and contrast with Vietnamese. Therefore basing on the average value of each item, a list of hierarchy of the reason and cause connective expressions was suggested as follows. The lack of study is that we can not analyze all of expressions of reason and cause. Lastly, we hope that study could contribute to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응웬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연구물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및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연구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연구의 방향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에서 발표된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 논문 수의 총 390편을 선정하여 일반 기준(논문유형별, 연도별)과 영역별(한국어 교육일반, 한국어 교육내용, 교수학습, 대조연구, 통·번역)의 두 가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한다. 첫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최근 3년 안에(2017년, 2018년, 2019년) 발표한 논문 수는 176편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전체 연구물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들이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분석 대상인 전체 390편에 중에 박사학위 논문은 단 24편에 그쳐 베트남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보다 전문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영역별 동향 분석을 통해 보면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의 대부분은 개별어휘나, 한자어 대조 분석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적 대조를 이룬 연구들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내 대학기관의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나 전문적인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보다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앞서 연역적인 접근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learners and summarize its result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propos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390 studies published from 1995 to August 2019. Then,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of yearly trends and research types with five genres includ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trastive Study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Vietnam has a quantitative growth. In specific, there were 176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3 years(2017, 2018, 2019), accounting for 45% of the total published works from 1995 to present.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has risen sharply since 2005, many problems still need to be solved. Among 390 studies analyzed, there are only 24 doctoral thesis. This mean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Vietnam needs to be discussed deeply and professionally. Third, most of the Vietnam-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ontrast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anguage,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or Phonological contrast. The lack of study related to Korean curriculum or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Lastly, to confirm that results, we analyzed and made the key-words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