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要求分析 연구 –H대학의 한국어 發表 교육 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2023,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어문연구, 198 : 519~549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대학 내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H대학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예비 조사를 시행 후 본 조사에서는 學習者와 敎授者를 대상으로 焦點集團面接을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H대학 한국어 전공생들은 2021년도부터 ‘한·영 프레젠테이션 전략’이라는 전공 필수 과목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發表 기술을 통합하여 학습하고 있었다. 敎授者는 학습 자료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교수 요목 설계부터 자료의 활용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 學習者는 한국어 發表 교육의 수강이 현재의 한국 기업 근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어민 敎授者 및 실제적인 한국어 표현이 추가되기를 요구하였고, 敎授者는 현지 사정에 맞는 맞춤형 發表 교재 개발 및 제작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조사 내용을 종합 후 4장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 연구로 삼아 한국인 敎授者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교재를 개발한다면 실제성 있는 한국어 發表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역번역문에 나타난 베트남어와 한국어 False Friends 현상 연구

        고상미 ( Ko Sang-mi ),응우옌티하이쟝 ( Nguyen Thi Hai Giang ),백승주 ( Baek Seung-j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본 연구는 학문 목적 베트남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역번역문에 나타난 False Friends 현상을 살펴보고 False Friends의 생성 원인에 따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 간의 False Friends를 의미를 기준으로 유형화시켰다. False Friends 유형은 크게 개념적 의미 차이와 연상적 의미 차이로 분류하고, 개념적 의미 차이는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의미가 중첩된 경우, 의미가 완전히 다른 경우로 세분화시켰다. 연상적 의미 차이는 내포적 의미 차이, 사회적 의미 차이, 반사적 의미 차이, 배열적 의미 차이로 나누었다. 다음으로 베트남 하노이 소재 대학교 학부생 15명을 대상으로 역번역 활동을 하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도구는 여성가족부 및 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발행한 『2019 다문화가족ㆍ외국인 생활 안내-한국생활 가이드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선정된 텍스트에서 연구자가 10문항을 선별하여 베트남어 번역문 텍스트를 제시하여 실험 참여자들이 이를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그런 다음 연구자가 역번역문을 분석하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False Friends를 추출해 내었고, 이를 8개의 False Friends 생성 원인에 따라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8개의 생성 원인 중 총 4개의 생성 원인에 의한 False Friends가 나타났다. 먼저 개념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발생시킨 사례는 한국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 베트남어가 의미역이 넓은 경우였다. 다음으로 연상적 의미 차이에 의해 False Friends를 발생시킨 경우는 내포적 의미 차이와 사회적 의미 차이에 의한 사례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Vietnamese-Korean False Friends words in back translation texts of Vietnamese Korean advanced learner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Korean-Vietnamese False Friends. First of all, we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False Friends and classified them based on Semantic meaning. We divided False Friends words into two categories: Conceptual meaning and Associative meaning. Conceptual meaning words are subdivided into cases where Korean words have a wide range of meanings, Vietnamese words have a wide range of meanings, when meanings overlap, and meanings are completely different. Associative meaning differences are divided into implicit meaning differences, social meaning differences, reflective meaning differences, and arrangement meaning differences. 15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Korean were chosen for the test. We selected “2019 Multicultural Family and Foreign Life Guide-Korean Living Guide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Korea Health and Family Promotion Agency as the tool for this experiment. We picked 10 paragraphs from the selected texts and presented the Vietnamese translation text, and the participants translated it into Korean. Then we analyzed the back translation and found False Friends words appeared in students’ works. As a result of experiment, 4 out of 8 of False Friends generation causes were discovered. First, False Friends generated by conceptual meaning difference happened when Korean had wider meaning and Vietnamese had wider meaning. Next, there were cases where false friends were caused by associative meaning differences due to implicit meaning differences and social meaning differ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