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후기 서원의 경제기반(Ⅱ)

        윤희면 전남사학회 2002 역사학연구 Vol.19 No.-

        The economic base of Sowon had various sources, The flelds and slaves are important sources, Beside them Wonsaeng, Wonbo, Sowonchon, Sikrigeon, temples, village of handcraft, salt Product base, etc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economic base of Sowon. These made use of the authority of Sowon and the ald of local magistrate. Sowon had spent most of the income in education and several kinds of ritual. The rest of income was spent in the basic expense of Sowon; books, foods, the clothes and the movement expense of Wonim and Yuseang. The financial management caused many kinds of vice; prodigality, laziness of management, corruption, etc. The more financial crisis occupied, the worse the authority of Sowon had fallen.

      • KCI등재

        전라도 장성 筆巖書院의 정치사회적 기능

        윤희면 전남사학회 2001 역사학연구 Vol.17 No.-

        Pilam Sowon, wishing to honor Kim, In-hoo, was built in 1590, 30 years after his death by his descendants and disciples. Its purpose was intended to succeed academic features, to extol ancestors and to provide the base of activities. It was also intended to promote political ends. Pilam Sowon had partisan support for Westerners(Seoin) from the first. Pilam Sowon, which became a royally chartered Sowon in 1662, received such economic benefits as the exemption from taxation, provision of food for ancestral rituals. Pilam Sowon could make its socio-political status higher in Chonnam province after the government honored Kim, In-hoo at Munmyo in 1786. The Taewongun closed Sowon except scattered forty-seven. Pilam Sowon was able to survive but its economic privileges were reduced. Sometimes the descendants of Kim, In-hoo found their relationship with Confucian scholars uncomfortable due to the latter's influence in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Sowon. Pilam Sowon conducted such activities as performing the ancestral rites, education, running library and conducting socio-political roles. Sowon served as a gathering place for Yangban scholars. They gathered at Sowon and held discussions. They sent letters of their consensus opinion to Sonkyunggwan, Hyanggyo and Sowon. In the case of more important issues, they began judicial proceedings or traveled to Seoul to present their case directly. Holding meetings of Yangban and circulating letters were the representative socio-political activities of Sowon. Sowon also took on the ro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from higher levels of government to the villager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의 도서관 기능 연구

        윤희면 역사학회 2005 역사학보 Vol.0 No.186

        A seowon, confucian academy,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owned many books. It acquired books through various means: purchase, donation, copying, and grant from the government. The collection generally included books on history, confucian scriptures, and collections of personal writings. Another function of a seowon was to publish books. The major genre published by a seowon was a collection of works and biographies. Such publications were distributed through school ties, family ties, and political factions. Books and printing blocks were carefully kept in a special building under the supervision of a manager. Lost and damaged books were immediately restored. Books were not checked out but were allowed to be read only inside a seowon. When the library of a seowon was closed, its collection of books and printing blocks were sent to a hyanggyo or a yangsajae, where they were used for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충청도 청안 사마소와 사마록 연구

        윤희면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By the time of 1610 when several Saengwon & Jinsa passed an examination all together, Samaso was built and Samarok was recorded in Cheongan County. Afterward when Saengwon & Jinsa were not produced any more, the activity became stagnant. In the 29th year of King Sukjong(1703) four Saengwon and Jinsa asked help from a county magistrate and built Samaso at the southern Hyangkyo. And they listed 38 Saengwon and Jinsa chronologically ; including a county magistrate and current 5 members ; recording fourty four Samarok. Saengwon and Jinsa who took the initiative in recording Samarok again were influential Yangban Sajok. They intended to establish the dominant position and reestablish the county order. Around the first year of King Jeongjo, Samaso accepted twenty five successful Saengwon and Jinsa candidates who did not have any status flaw through the processes of nineteen times, and it also recorded seven Saengwon and Jinsa among county magistrates of Cheongan county(original Samarok). In the fourth year of King Youngjo (1728) the county magistrate named Lee Jeong-yol died in sin and his name was deleted in Samarok in the aftermath of a rebellion led by Lee In-Jowha. In the fourteenth year of King Youngjo(1738) Jinsa Yang Min-ik was executed because of high treason. Therefore the names of nine people including Yang Min-ik were deleted. Cheongan Eupji made in the twelfth year of King Jeongjo(1788) recorded the names of forty three Saengwon & Jinsa and sons of a concubine were extraordinarily included, and that was because Hyangjok and Hyangri class on the behalf the shrunk Yangban Sajok, made Eupji. By the time of 1894, Saengwon and Jinsa whose status were Yangban Sajok were listed in Samarok(Samarok 1). Meanwhile in Eupji written by Hyangjok and Hyangri class, sons of a concubine, who were still excluded in Samarok, continued to be listed ; in Eupji of 1899 Hojang’s sons, top of Hyangri class, were recorded. These facts showed an aspect of county power in Cheong county. In 1915 the descendants of Saengwon and Jinsa organized a fraternity and repaired Samaso, and utilized the lent money at high percent interest. Their purpose of the action was to pay their respect to their ancestors and show off their status as the descendants of Yangban. In 1970 Samaso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it was converted to a Sama Shrine. The descendants recorded Samarok(Samarok 2) a little differently than original Samarok. Saengwon and Jinsa who did not pass the examination were listed to make their ancestors shine and to secure the finance. 청안현에 사마소가 설립되고 사마록이 작성된 때는 선조 39년(1606년)에 6명이, 광해군 4년(1612)에 3명이 한꺼번에 생원 진사에 합격하던, 1610년 전후라 짐작된다. 그 후 생원 진사가 많이 나오지 않아 침체되었다. 숙종 29년(1703)에 진사 延世華가 비슷한 시기에 합격한 3명과 함께 현감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향교 남쪽에 사마소를 다시 건립하였다. 그리고 자신들 이전의 사마 38명을 연대 순서에 맞게 수록하고, 수령과 현재의 생원 진사 5명을 담아 모두 44명의 사마록을 작성하였다.(『사마록』) 사마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생원 진사가 모두 5명인데, 서얼이거나 정치적 이유(인조반정) 때문이었다. 다른 고을의 생원 진사도 이름을 올릴 수가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읍지에 등재되어 있고 묘소가 청안에 있는 인물들로 본인, 또는 선조들의 연고가 있었다. 사마소, 사마록을 다시 만드는데 앞장섰던 생원 진사들은 여러 명의 생원 진사를 배출한 청안의 유력한 양반 성관들로, 양반사족들의 신분적 우위를 내세우는 목적을, 그리고 변해가는 향촌질서를 재확립하려는 의도를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청안 사마소는 재임을 두어 운영하였고, 講信을 열어 향음주례를 하고 우의를 다졌으며, 새로운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신분을 가려 천거와 권점을 하고, 신참례를 거행하였다. 정조 원년(1777년)까지 신분적 하자가 없는 생원, 진사 합격자와 청안과 연고를 가진 다른 고을 생원 진사를 모두 19번에 걸쳐(際의 표시) 24명을 받아 들였으며, 청안 현감 가운데 생원 진사에 합격한 사람 7명도 이름을 등재하였다. 1728년(영조 4)의 戊申亂의 여파로 현감(이정열)이 罪死하여 사마록에서 刀削되었고, 1738년(영조 14)에는 진사 양민익이 대역부도죄로 처형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양민익을 포함하여 전후에 등재된 9명의 생원 진사 이름이 지워졌다. 위축된 청안 양반사족들의 형세를 반영하듯 정조 12년(1788)경에 만들어진 『청안현읍지』에는 43명의 생원 진사의 이름이 수록되어 있는데, 사마록에서 배제되었던 서얼이 수록되는 이례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향족과 향리들이 읍지를 작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위축된 사마소이지만 1894년까지 여전히 양반 신분만을 가려 생원 진사를 사마록에 등재하였으며(『사마록 1』), 반면에 향족과 향리들이 작성한 읍지에는 사마록에서 배제된 서얼을 계속 기재하였고, 1899년의 읍지에는 戶長의 아들과 역둔토 마름을 수록하고 있어 향권의 일면을 엿보게 해주고 있다. 1915년에 후손들이 계를 결성하여 사마소를 중수하였고, 남은 돈을 식리전으로 활용하였다. 선조를 기리고 자신들이 양반의 후예임을 과시할 목적이었다. 향리 후예가(진사 차재준) 사마소계에 참여하였지만, 『선생자손록』(1930년)에는 이름을 올리지 못하는 등 여전히 반상을 가리는 관행을 이어가고 있었다. 1957년에 사마소계를 해체하여 사마소를 중수하고, 1970년에 사마소를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선조들의 위패를 모시는 사우로 전환하고 청안향교에 관리를 넘기기까지 후손들은 사마록을 原案과는 조금씩 다르게 작성해 왔다. 1957년에 작성된 『사마방목초안』부터 1971년에 작성된 『사마선생성손친목회』까지 후손들의 이해관계, 거주 여부, 성금 납부에 따라 인원의 출입이 계속 일어났으며, 선조를 빛내려는 후손들의 열망과 재정 확보책으로 미합격자들이 명단에 올라 지금까지 이어지고 ...

      • KCI등재

        담양 義巖書院의 설립, 사액 그리고 철폐

        윤희면 호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유희춘을 모시는 三川祠는 담양의 양반사림 58명이 앞장서고, 전라도 양반사림의 호응과 지방관들의 도움을 얻어 1610년경에 완성되었다. 삼천사는 1630년경에 향교 근처로 옮기고 白川祠라 이름을 바꾸었다. 옮긴 이유는 유희춘이 文節이라는 시호를 받은 것과 관련 있어 보인다. 1668년에 담양 양반사림들이 사액을 받고자 상소문을 제출하여, 1669년에 「義巖」이라는 사액 이름을 받았다. 의암서원은 사액을 받은 뒤 나라로부터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았다. 제례에 쓸 祭需와 각종 잡물을 관아로부터 지급 받았다. 토지 3결을 면세받았고, 노비도 한때 100여명 이상을 소유하였다. 액외원생(정액 이외의 원생)을 수령으로부터 허락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관에서 보태준 식리전은 재정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19세기에 들어와서는 서원이 문중서원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유희춘 후손들이 원임을 담당하고 의암서원 운영에 깊이 간여하였다. 의암서원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하여 관에 적극적으로 밀착하였다. 수령에게 원장을 맡기고, 19세기에 들어서면 경원장제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후원을 얻어 많은 건물들을 수리하고 건립할 수 있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서원은 교육기능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었다. 의암서원도 마찬가지였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로 의암서원도 1871년에 철폐되었다. 호남의 유생들은 1884년에 유희춘의 문묘 배향을 요청하는 상소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Samchonsa enshrined Yu Hee-chun was established by 58 Confucian scholars of Damyang who initiated the idea, being responded by Yangban Sarim of Jeolla Province. It moved next to Hyanggyo by the year of 1630 and named it Paekchonsa. Its movement resulted from Yu Hee-chun's receiving his posthumous epithet(Munjeol)Yangban Sarim submitted public appeals to receive charter and as a result, they acquired EuAhm in 1669. Since then EuAhm Seowon got several kinds of benefits. The economic foundations of EuAhm Seowon were fields, serfs, extra students, wonbo and duty free village. Especially Shickrigeon that was added by public office formed a great part. Since the opening of 19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Yu Hee-chun took the role of wonim and were deeply involved with its management. EuAhm Seowon tried to be close to a local authority to resolve financial difficulty. They entrusted the position of Wonchang to a chief magistrate and chose implementing Gyeongwonjang system. With their support, they could build and maintain more buildings. By the turn of 19th century, most of seowon could not perform its educational fundction. EuAhm Seowon was in the same situation. In line with Daewongun ordered the close of seowon EuAhm Seowon was closed down in 1871. Yangban yusaeng of honam Province filed an appeal to ask a Confucian shrine of Yu, Hee-chun, but could not fulfill their will.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