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담양 의암서원(義巖書院)의 설립, 사액 그리고 철폐

        윤희면 ( Hee Myeon Yo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5 역사학연구 Vol.57 No.-

        유희춘을 모시는 三川祠는 담양의 양반사림 58명이 앞장서고, 전라도 양반사림의 호응과 지방관들의 도움을 얻어 1610년경에 완성되었다. 삼천사는 1630년경에 향교 근처로 옮기고 白川祠라 이름을 바꾸었다. 옮긴 이유는 유희춘이 文節이라는 시호를 받은 것과 관련 있어 보인다. 1668년에 담양 양반사림들이 사액을 받고자 상소문을 제출하여, 1669년에 「義巖」이라는 사액 이름을 받았다. 의암서원은 사액을 받은 뒤 나라로부터 여러 가지 혜택을 받았다. 제례에 쓸 祭需와 각종 잡물을 관아로부터 지급 받았다. 토지 3결을 면세받았고, 노비도 한때 100여명 이상을 소유하였다. 액외원생(정액 이외의 원생)을 수령으로부터 허락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관에서 보태준 식리전은 재정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19세기에 들어와서는 서원이 문중서원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유희춘 후손들이 원임을 담당하고 의암서원 운영에 깊이 간여하였다. 의암서원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하여 관에 적극적으로 밀착하였다. 수령에게 원장을 맡기고, 19세기에 들어서면 경원장제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후원을 얻어 많은 건물들을 수리하고 건립할 수 있었다. 19세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서원은 교육기능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었다. 의암서원도 마찬가지였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로 의암서원도 1871년에 철폐되었다. 호남의 유생들은 1884년에 유희춘의 문묘 배향을 요청하는 상소를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Samchonsa enshrined Yu Hee-chun was established by 58 Confucian scholars of Damyang who initiated the idea, being responded by Yangban Sarim of Jeolla Province. It moved next to Hyanggyo by the year of 1630 and named it Paekchonsa. Its movement resulted from Yu Hee-chun`s receiving his posthumous epithet(Munjeol)Yangban Sarim submitted public appeals to receive charter and as a result, they acquired EuAhm in 1669. Since then EuAhm Seowon got several kinds of benefits. The economic foundations of EuAhm Seowon were fields, serfs, extra students, wonbo and duty free village. Especially Shickrigeon that was added by public office formed a great part. Since the opening of 19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Yu Hee-chun took the role of wonim and were deeply involved with its management. EuAhm Seowon tried to be close to a local authority to resolve financial difficulty. They entrusted the position of Wonchang to a chief magistrate and chose implementing Gyeongwonjang system. With their support, they could build and maintain more buildings. By the turn of 19th century, most of seowon could not perform its educational fundction. EuAhm Seowon was in the same situation. In line with Daewongun ordered the close of seowon EuAhm Seowon was closed down in 1871. Yangban yusaeng of honam Province filed an appeal to ask a Confucian shrine of Yu, Hee-chun, but could not fulfill their will.

      • KCI등재

        이광린 선생의 조선시대사 연구

        윤희면(Yoon Hee Mye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광린은 개화사 연구의 권위자로 알려져 있지만 개화사에 매진하기 전인 1960년대 초까지는 조선 초기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의 조선시대 연구로 1권의 저서와 12편의 논문을 확인할 수 있다. 13편의 연구를 개괄해보면 크게 제도사와 경제사 둘로 나눌 수 있는데, 어느 한 주제에 집중하기보다 개별 연구로 이어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그는 부지런하고도 광범위하게 자료를 섭렵하고, 간행되는 관련 자료와 저술, 논문에 언제나 눈을 떼지 않으면서 실증 위주로 개별적인 제목의 논문들을 하나씩 발표해나갔다. 이러한 연구 모습과 경향은 개화사 연구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이광린은 실학이나 자본주의 맹아문제와 같은 당시의 연구 유행에 편승하지 않고 개별 주제에 대한 연구를 묵묵히 수행하였다. 그는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역사진행을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세도정치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지녔다. 이러한 점이 1860년대 이후 정치와 사회의 격변에 대처하려고 했던 개화파, 개화사상, 개화활동을 연구한 하나의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실증을 바탕으로 꼼꼼하게 수행된 이광린의 조선시대 논문들은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큰 비판을 받지 않으면서 후대 연구자의 초석이 되고 있다. 개화사연구에 매진하느라 조선시대 연구를 중단하였지만 그는 조선시대의 연구 경향과 문제점을 끊임없이 파악하면서 제자들을 지도하였다. 그 결과 제자들이 그의 관심을 이어가 오랫동안 참고가 될 조선시대 연구 업적을 남기고 있다. Lee Kwang-rin was known as the authority on the Enlightenment History inquiry, but before he concentrated on the Enlightenment Period, he had focused on early Chosŏn History inquiry from 1950s to early 1960s. There were one book and 12 theses about Lee Kwang-rin’s studies related with Chosŏn history. These thirteen researches could be categorized by institutional history and economic history. Nonetheless, these inquiries did not concentrate on one particular subject but characterized as continuation of respective studies. He surveyed references diligently and extensively, and he always focused on related publishing sources, books, and theses. Based on these researches, he presented empirical theses that were covered separated subject. These attitude remained as it is in the Enlightenment History research. Lee Kwang-rin did not conform to the research trend of the ages such as Silhak or awakening of Capitalism but silently carried out individual subjects. He evaluated historical progress from Koryŏ to Chosŏn affirmatively, but he critically perceived Period of Government In-Law Families. This historical perceptive was a reason why Lee Kwang-rin had studied the Progressive Party, the Enlightenment Thought, and their activities, which they struggled to handle and to adapt rapid change of society, after 1860s. Lee Kwang-rin’s Chosŏn Dynasty theses based on positivism, after half century passed, has still remained as footstone of next generation researcher without serious critical comments. Lee Kwang-rin stopped inquiry of Chosŏn Dynasty, because he focused on the Enlightenment history research. However, he continuously analyzed the trends of Chosŏn Dynasty research and their defects while supervising his disciples based on his inquiry. Result of Lee Kwang-rin’s efforts, his disciples continued their professor’s interests and accomplished Chosŏn Dynasty inquiries which could remained as references for age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시대 전라도 사마안(司馬案) 연구 -강진 사마안 사례-

        윤희면 ( Hee Myeon Yo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3 호남학 Vol.0 No.53

        조선시대에 생원 진사들이 모여 공부하는 사마재가 있었다. 사마 재에서는 생원 진사의 명단을 적은 사마안을 작성하였다. 전라도 강진에서는 여러 명의 생원 진사가 배출되자 1612년에 사마재가 건립되고 사마안이 작성되었다. 새로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기존의 회원들이 심사를 하여 새로운 회원으로 받아들였다. 심사 기준은 신분의 하자였으며 양반 신분이 아니라면 가입이 불가능하였다. 다른 고을의 생원 진사들도 부모의 고향, 처가, 외가 등의 연고가 있으면 사마안 입록이 가능하였다. 강진사마재와 사마안은 새로운 생원 진사가 많이 합격하지 못하자 어느 때인지도 모르게 없어지고 말았다. 1727년에 생원 진사들이 사마재를 중건하려했으나 경제적 부족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렇지만 사마안을 다시 작성하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그리고 후손들의 요청으로 예전 사마안에 누락되었다는 선조들을 추가로 기재하기도 하였다. 사마안이 양반신분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강진사마안은 생원 진사가 합격하면 사마안에 계속 이름을 등재하면서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그 결과 1745년, 1881년, 1900년에 각각개수, 속수되면서 유지되어 왔다. 고종대에 이르러 생원 진사의 합격 정원이 늘어나 모두 18명의 생원 진사가 합격하였지만 13명만이 사마안에 입록되었다. 5명은 신분적 하자를 빌미로 사마안 입록이 거부된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말까지도 신분의 완강함이 강진 사마안에서 작용하였던 것이다. 1935년에 편찬된 『조선호남지』에는 조선시대 작성된 강진사마안과 비교하여 24명의 새로운 이름이 등재되어 있다. 그런데 24명 가운데 18명이 합격 여부가 불투명한 사람들이었다. 이는 모두가 양반 후 손임을 주장하려는 당시의 사회적 풍조를 나타내주는 것이었다. Samajae(or Samaso) was the school where Saengwon(classics licentiate) and Chinsa(literary licentiate) got together and engaged in studying. Samajae made SamaAhn in which the names of Saengwon, Chinsa were listed. When there were several Saengwon, Chinsa in Kangjin, Samajae was built in 1612 and SamaAhn was written. When new Saengwon, Chinsa passed the test, the existing members conducted screening and accepted them as members. The criteria of evaluation was a flaw of class and only Yangban clan was accepted. Saengwon, Chinsa of other counties could be members when they had connection such as parents, wife or materal grandparents. Kangjin Samajae and SamaAhn disappeared gradually when new Saengwon, Chinsa could not pass the exam. Saengwon, Chinsa of Kangjin county tried to rebuilt Samajae in 1727 but could not accomplish the goal because of lack of fund. But they replaced it with writing SamaAhn again. And with the request of descendants, they added the names of ancesters additionally whose names were not recorded in the former SamaAhn. This fact showed that SamaAhn was working as a means to show their social status of Yangban. Kangjin SamaAhn continued their activity by enlisting new Saengwon Chinsa; as a result it could be maintained through revising and continuing in 1745, 1881, and 1900 respectively. In King Kojong the number of Saengwon, Chinsa who passed the exam has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18 has passed but only 13 was enlisted in SamaAhn. 5 was rejected because of flaws of their social class. Up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stubbornness in regard to social status was still working in SamaAhn. 『Joseon Honamji』 that was published in 1935, 24 new names was recorded when it was compared with Kangjin SamaAhn of Joseon period. The pass of 18 people out of 24 was not clear. It reflected the trend of those days when people wanted to maintain their descent from Yangban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