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葬送儀禮)

        윤호필 ( Ho Pil 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본 연구는 한국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축조과정과 그에 따른 단계별 의례양상을 통해 지석묘의 장송의례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장송의례는 보편적인 사회규범에 속하지만 그 속에는 사자 및 생자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덤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가 반영되는데, 집단의 사생관(死生觀)과 조령관(祖靈觀)으로 나타나며 장기간 지속되면서 강한 전통성을 가지게 된다. 지석묘의 장송의례는 축조의 각 과정마다 의례가 행해지며,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연대 및 통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지석묘의 축조는 생자의 입장에서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Ⅰ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기 위한 준비단계(묘지 선정 석재운반), Ⅱ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고 무덤의 외형적인 틀을 만드는 단계(매장주체부 및 묘역설치), Ⅲ단계는 완성된 무덤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장송의례는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축조방식이 다른 개석식 지석묘와 탁자식 지석묘는 피장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공간관계의 측면에서 보면 수평적 공간관계와 수직적 공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평적 공간관계는 묘역의 범위를 넓게 하여 무덤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고, 수직적 공간관계는 무덤의 외형을 지상에 돌출시켜 무덤을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는 가족적 씨족적 친분관계가 강하고, 후자는 독립적·제단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형식과 장송의례 양상이 다른 두 무덤이 경기도지역에서는 같은 묘구 내에서 함께 조성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인 지석묘에 나타난 장송의례는 당시의 사회구조, 문화, 기술, 세계관, 내세관 등을 반영하므로 청동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restores the burial ritual of dolmen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dolmen in the Bronze Age in Korea and the features of rituals followed in each stage. Based on it, it looks into the burial ritual of dolmen in Gyeonggi do region. The burial ritual belongs to general social norm. On the other hand, social class of the living beings and dead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re. Therefore, the graves reflect such social relationship, and it gains strong tradition as it reveals as a view on life and death and a view on ancestor`s spirit of social group for long term. Rituals are performed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of dolmen, and through this, it plays a role reinforcing social union of members. Construction process of dolmen is divided into three big stages from the view point of a living person. The first stage is preparation stage for burial of dead body(Choosing tomb area and moving stones). The second stage is burial of dead body and building frame of tomb(Building main part of burial area and boundaries of grave). The third stage is maintaining the finished dolmen. Burial ritual appears in various ways in each stage. The cover stone dolmen and table type dolmen with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show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eader. From the view of spatial relationship, it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s.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bring into relief the existence of grave by extending grave area whil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makes the grav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by projecting appearance of grave onto ground. Therefore,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relationship of family and relatives while th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and altar. Likewise, two different graves with different features of burial rituals and formats are built in the same boundary of grave in Gyeonggi do region. Therefore, the burial rituals revealed in dolmen which represents the Bronze Age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culture, technology, world view and the view of afterlife, therefore,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Bronze Age.

      • KCI등재

        밭유구 조사법 및 분석방법

        윤호필,고민정 한국문화유산협회 2006 야외고고학 Vol.0 No.1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논․밭 유구의 조사가 본격화되어, 경작관련 연구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경작관련 연구는 지금까지 대부분 논유구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밭유구의 조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확인된 밭유적은 43개소로 논유적 보다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증가하는 밭유구에 대한 해석과 이해도 중요하지만 이에 따른 조사방법에 대한 연구도 매우 중요하다. 즉, 밭유구의 특성상 야외조사에서 이루어지는 조사 및 분석과정이 매우 중요시되는 것으로, 새로운 조사연구방법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밭경작 과정 모델화 및 밭의 판정, 그리고 지금까지 조사된 밭유구의 검토를 기초로 하여 새로운 조사방법 및 분석방법을 살펴보았다. 조사방법은 먼저 밭경작 과정을 모델화하여 전체적인 경작순서 및 경작방법을 설정하였다. 밭경작 과정 모델은 정지 및 파종(Ⅰ단계), 작물관리(Ⅱ단계), 수확 및 잔여물의 처리(Ⅲ단계)의 3단계의 순환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경작 과정은 각 단계별로 세분화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경작흔으로 나타나게 된다. 경작흔은 경작과정 중 Ⅰ단계인 정지작업에서 가장 많이 흔적이 남는다. 밭의 특징은 작물재배에 필요한 지형 및 토양조건이 비교적 자유롭고,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며, 논에 비해 재배가 간단하고 단기간에 수확할 수 있음을 먼저 살펴보았다. 또한 확실한 밭의 판정 기준은 두둑과 고랑의 확인 및 자연과학 분석을 통해 식물유체를 확인하는 것이다. 밭유구의 조사는 유적의 입지 파악 및 조사범위를 설정하고, 토층조사, 평면조사 순으로 진행한다. 토층조사와 평면조사에서는 구획과 관련된 경계구, 경계둑, 농로 등을 확인하고, 경작 과정행위, 경작 도구흔 등을 찾는다. 이때, 밭 이랑의 방향과 직교되게 기준둑(단면)을 남겨서 토층 및 단면조사를 해야 한다. 대규모로 조사된 밭의 경우에는 항공촬영과 컴퓨터그래픽을 동원하여 유구 도면을 작성하고, 일정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한다. 마지막으로 식물유체, 식물규산체, 토양미세형태학적 분석을 통해서 재배작물을 밝혀내고, 출토유물 및 문헌사료, 절대연대측정법을 통해 연대를 결정하는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e 1990s there came a turning point when the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archaeological dry and wet-field features began. Most excavations centre on wet-field features, but the basic excavation of dry-fields has rapidly increased. In total 43 agricultural field features have been excavated. This increase in field investigations demands that new excavation methodologies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we look at new methods and analysis techniques for the excavation of fields based on modelling cultivation in dry-fields, identity confirmation of field features, and a literature review of excavated field features. Excavation methods involve modelling cultivation processes procedure by establishing the total cultivation procedures and methods. A model of a cycling system is revealed in which seedlings are soil are prepared in Stage I, plants are tended and cultivated in Stage II, and plants are harvested and processed in Stage III. Each stage is further sub-divided and together they present evidence of the cultivation process. In particular evidence from Stage I, soil preparation can be found in greatest abundance. Some characteristics of growing crops in dry-fields are that the topographic and soil conditions are relatively variable, many crop taxa are grown, and compared to wet-field agriculture the planting-to-harvest cycles are shorter and simpler in dry-field agriculture. Additionally, the confirmation of field feature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ridge-and-furrow sequences and through the archaeobotanical analysis of macrobotanical remains gathered from flotation. The standard excavation of dry-field features includes accounting for site location conditions and establishing investigation limits as well as vertical and horizontal excavations. 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plot demarcation, border ditches, bunds, and roadways are confirmed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excavations, as is evidence of cultivation behaviour and tools. It is necessary at this point to strategically establish an excavation baulk so that direction and orientation of ridges and furrows can be seen in cross section and so that profile and stratigraphic investigations can proceed. In cases in which dry-fields are subjected to large-scale investigation, aerial photography and computer illustration techniques are utilized in order to produce plan drawings of the feature, and soil samples are taken at regular intervals. Through archaeobotanical, phytolithic, and soil micromorphological analysis techniques we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crop taxa. Finally, we present the total analysis by completing an analysis of artifacts, radiocarbon dates, and consultation of grey literature.

      • KCI등재

        청동기시대 묘역지석묘의 복원 실험을 통한 축조과정 연구

        윤호필,장대훈 한국문화유산협회 2009 야외고고학 Vol.0 No.7

        청동기시대 묘역지석묘의 실험고고학적 복원은 당시 시대문화상과 관련된 전반적인 축조기술과 더불어 관념적인 인간의 행위와 의미를 추정할 수 있는 연구방법 중의 하나이다. 특히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석재가공과 무덤축조행위들은 돌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가공능력을 소유한 전문집단의 기술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체계적인 제작공정 들은 수렵과 농경의 생산단계를 도출해 내는 생활도구제작의 영역에서 벗어나 청동기 시대인들의 사후세계관(死後世界觀)을 표출한 축조영역까지 확대되어 적용된 것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진주 평거동유적에서 확인된 묘역지석묘를 기본모델로 선정하여 실험에 임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 축조과정을 복원하여 나타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작업현상 들과 변수들을 파악하는데 주력하였다. 그 결과 무덤축조계획, 굴광, 매장주체부 시설, 충전과정, 묘역설치 및 상석안치 등과 같은 일련의 축조과정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접근이 가능하였다. 무덤축조행위는 단순히 죽은 자에 대한 관념적인 의식보다는 여러세대에 걸쳐 반복적이고 세습적인 축조구도와 시스템이 마련되어야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이러한 체계적인 축조시스템은 무덤제작의 효율성과 능률성을 가져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무덤을 축조하기 위한 배경에는 일정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면서 그와 연관된 경제적 능력과 재화와 같은 물질적 요건이 충족되어야만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The experimental reconstruction of Bronze Age dolmens with graveyard facilities enables the understanding of past human behavior and its meaning, in addition to masonry technology. Stone working and tomb construction would have only been possible by those groups with a deep understanding of stone and masonry technology. The systematic production process wa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e of tools used for hunting and farming, but also included expressing the realm of the afterlife. This study selected the dolmens with graveyard facilities found at the site of Pyeonggeo-dong, in Jinju, as its basic model. Through reconstruction, it evaluated the various phenomena and variables which could appear during each stag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As a result, various technical approaches were possible with regard to the processes of construction. It was recognized that tomb construction was not merely a spiritual ceremony for the deceased; rather, it was a process made possible by a construction system, as well as knowledge, which was the result of repeated and accumulated practices. Such a construction system must have been supported by sufficient masonry technology, and thus it is assumed that its application brought about efficiency in tomb design and reduction in construction time. It is thought that this background would only have been possible when the material conditions, such as economic capability and commodities, as well as a certain amount of labor, were met.

      • KCI등재

        석재가공기술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무덤 축조과정 연구-진주 평거3지구(Ⅰ구역)유적 출토 지석묘·석관묘를 중심으로-

        윤호필,장대훈 한국고고학회 2009 한국고고학보 Vol.70 No.-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technical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dolmens and stone cist tombs from Pyeonggeo-dong Locality 3 (Sector I), Jinju, and looked into the social meaning of tomb building. Stone manufacturing technology represents the technological tradition of prehistoric communities, with stone material selection and stone manufacturing technology reaching its zenith following the Paleolithic and Neolithic periods. During the Bronze Age, stone manufacturing technology was no longer limited to tool manufacture and was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large structures. As a result of this, the utilization of stone materials came to display higher diversity and speciality. However, in applying stone manufacturing technologies to the building of structures, only techniques required for the process of tomb building were adopted. This demonstrates that stone material production or tomb building techniques were carried out by specialized individuals or a group. This also provides insight into the nature of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nge which took place at this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