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영재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유체역학을 중심으로

        윤해정,양권승,조중현,오희균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科學敎育硏究所 2002 科學敎育硏究誌 Vol.26 No.1

        A self- 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scientifically gifted was developed for the science-gifted in a middle school. The program was constructed on the base of self-directed learning model of Treffinger(1982) and focused on the materials in hydrodynamics. The resources developed were applied to both the students in a gifted class and a advanced-course class in Il san Dong Middle School. Th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do creative and self-directed study activities.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색채심리에 관한 자전적 탐구: Jung 분석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윤해정,전순영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2 No.2

        The study experienced the researcher's own analysis process in the art healing process through color psychology painting work, and explored the healing meaning of color symbols from the perspective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According to Jung, the color chosen to create in-ternal images could be discovered as special symbolic ones behind emotions. In addition, he argues that the explanation of personal experience with unconscious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value of images. Therefore, firstly, the researcher drew images and colored directly to ap-proach to basic principle function of ‘basic characteristics of color symbols’ and the ‘color symbol of three primary colors and secondary colors’ to analyze color psychology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Emotional drawings and writings that symbolize the basic colors of red, yellow, and blue and orange, green, and purple, which are mixed colors of the spectrum,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And the mandala work that integrates these six colors symbolizes the whole as a result of the researcher's psychological journey. Jung also suggests a new typology based on two superior functions of introvert and extrovert and four inferior functions of seeing, feeling, thinking, and intuiting. According to this suggestion, by observing the drawings derived from color, it was interpreted and written what was the hypothesis appearing in unconscious when coloring, what was related to the principles of feminity and masculinity, and how they wer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empirical value of the researcher's creative self-real-ization process by exploring the art healing process through color symbols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It was also a meaningful experience that gave m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s an art therapist. This study has meaning as an autobiographical study that analyzes the psychology of an art therapist through associations and symbols that emerge according to colors. 본 연구는 색채심리 그림 작업을 통한 미술치유과정 속에서 치료사인 연구자 자신의 자기 분석과정을 경험하고, 색채상징의 치유적 의미를 Jung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Jung은 내면의 이미지를 창조하기 위해 선택한 색채가, 정서의 이면에 있는 특별한 상징적 이미지로 발견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무의식과 더불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경험의 설명은 이미지의 가치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분석심리학적 색채심리 해석을 위해서 먼저, ‘색채상징의 기본양상’과 ‘세 가지 기본색과 세 가지 기본혼합색의 색채상징’이라는 기본 원리적 기능에 대해 접근하여 직접 이미지를 그리고 색채작업을 진행하였다. 기본 색상인 빨강, 노랑, 파랑과 스펙트럼의 혼합색상인 주황, 초록, 보라의 색채를 상징하여 작업한 정서적 그림과 글쓰기를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Jung은 내향적, 외향적이라 부르는 두 가지 주된 태도와 의식의 네 기능에 기초한 새로운 유형론을 제안했다. 이 제안에 따라, 그 이미지에 색을 칠할 당시에 무의식에 대한 가설과 무엇이 여성 원리, 남성 원리에 관련되는지, 어떤 방향의 전개인지를 색채에서 파생된 그림을 보면서 글을 쓰며 해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색채상징을 통한 미술치유과정을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탐구함으로써 연구자의 창조적 자기실현 과정의 경험적 가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 자질을 갖추게 한 의미 있는 경험의 시간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색채에 따라 떠오르는 연상과 상징을 통하여 미술치료사의 심리를 분석해보는, 자전적 탐구에 관한 연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윤해정,조붕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1 초등상담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f the psychology experiment researches in gratitude and the definition of gratitude, the effects of gratitude on happiness and mental health was examined.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behavioral gratitude program on gratitude disposition and happi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 group consists of 2 classes from the 5th grade at G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total 10 sessions of a cognitive behavioral gratitude program were applied once a week for 10 weeks, while there's no speci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were as follows. Cognitive behavioral gratitude program is shown to very effective in improving on gratitude disposition and happi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감사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하고, 감사의 정의와 심리적 특성을 개관하여 감사가 행복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감사증진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 G초등학교 5학년 학생 62명(남 30명, 여 32명)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31명(남 15명, 여 1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31명(남 15명, 여 1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10회기로 구성되어 있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차이검증을 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본 인지행동적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위험지각과 효능감, 예상되는 후회 요인이 치매선별검사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윤해정,김진남,김상만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23 의료경영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screening test intention to dementia by perceived risk, efficacy belief and anticipated regret. perceived risk and efficacy belief in this study are cognitive factors from Risk Perception Attitude(RPA) framework. To demonstrate the mechanism between these two cognitive factors and anticipated regret that is an emotional factor, a survey with 278 subjects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how perceived risk, efficacy belief effect on anticipated regret and screening test intention to dementia. The mediating role of anticipated regret was significant regards on the link between perceived risk and screening test intention as well as between efficacy belief and test intention. The findings suggest efficacy belief and anticipated regret could be leveraged for health communication on dementia.

      • KCI등재

        NtHSP70-2 and NtHSP17.6 from Nicotiana tabacum Could Function Together in Chaperone Network

        윤해정,김근필,박수민,홍주봉 한국유전학회 2006 Genes & Genomics Vol.28 No.2

        Heat shock protein 70 (HSP70) is a highly conserved protein family that shows molecular chaperone activity in protecting proteins from aggregation and folding of polypeptides. Small heat shock proteins (sHSPs) that are abundant in plants under abiotic stress conditions are also known to function as molecular chaperones, however, active function of sHSPs in refolding their substrates has not been detected in plants. Thus, possible composite function of sHSPs with other molecular chaperones has been suggested and, in many cases, proven. NtHSP70-2, a HSP70 from Nicotiana tabacum, was overexpressed and purified from Escherichia coli. Firstly, purified NtHSP70-2 was examined for its chaperone activity in vitro and was confirmed as a typical and strong molecular chaperone. Then composite function of NtHSP70-2 and NtHSP17.6, a cytosolic sHSP from N. tabacum, was tested for the activity to refold firefly luciferase in vitro. Luciferase refolding assay showed that luciferase associated with NtHSP17.6 could be reactivated by the components of rabbit reticulocyte lysate and the activity of reticulocyte lysate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NtHSP17.6. NtHSP70-2 could not replace the reticulocyte lysate but dramatically enhanced refolding of luciferase. These data suggest that NtHSP70-2 and NtHSP17.6 function together to refold heat-denatured substrates with the help of other chaperones.

      • KCI등재

        대상관계이론에 기초한 미술치료사의 ‘나’와 ‘대상’에 관한 그림 작업 안에서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윤해정,전순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미술치료사인 연구자가 스스로 이미지를 그리며 ‘나’ 자신과의 의미 있는 접촉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미지로 나타낸 대상관계 속에서 ‘나’와 ‘대상’에 대한 이미지의 변화가 주는 미술 치유과정을 경험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전적 내러티브(Narrative)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개별적인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대상관계의 발달과정에 맞추어 ‘자기 표상’, 대상 표상’, ‘태아였을 때의 나’, ‘엄마의 상징’, ‘모녀 이미지’, ‘분열 이미지’, ‘나의 중간 대상’, 그리고 ‘대상 항상성’의 이미지까지, 총 8점의 그림 작업과 함께 자기 위로와 신뢰라는 따뜻한 치유적 경험을 자전적 이야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변화하는 ‘나’와 ‘대상’의 심 리적 기제를 탐색하고자, 대상관계이론을 공부하던 연구자의 7년 전의 작업화를 함께 비교하여 탐구하였다. 이것은 변화된 ‘나’와 ‘대상’의 상호작용을 이루어지게 하여 미술 치유작업의 과정 이 되었다. 그리고 대상과의 관계 속, 내재화 과정을 자율적으로 동기화시켜준 작업이 되었다. 본 연구는 미술 치유과정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자전적 탐구의 여정으로서 그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eaningful contact with the researcher who is currently an art therapist by drawing an image on own, and the art healing provided by the change in the image of ‘self’ and ‘obj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represented by images. to experience the process. This study, using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worked freely with the image themes including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object rel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object relationship, 'self-representation', 'object representation', the total eight paintings consisting of ‘myself as a fetus’, ‘mother and daughter image’, ‘transitional object for me’, and ‘homeostasis of object’, etc., and warm experiential therapy with self-consolation and trust were composed into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Also, in order to explore psychological mechanism changing ‘myself’ and ‘objects’, it was compared and investigated with the work by the researcher who studied the object relation theory 7 years ago. This has become a process of art healing by allowing the changed 'self' and 'object' to interact.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the internalization process was autonomously synchronized. This study has its meaning as an autobiographical exploration journey of an art therapist who has experienced the art healing process.

      • KCI등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편집증적 비평방법시기의 회화작품연구

        윤해정,전순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7 美術治療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편집증적 비평방법 시기에 나타난 대표회화작품들을 분석하여 무의식속 표출이 예술로 승화되고 편집증이라는 강박이 치유의 과정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달리의 편집증적 비평방법시기의 작품들을 세 유형으로 구분하여 그 작품들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만종 시리즈’작품 속에서 비극적 죽음의 요소의 발견이었다. 이것은 ‘수확에 대한 감사’에서 ‘죽음에 대한 추모’로써의 이원론적 해석이 기존의 <만종>과 전혀 다른 해석을 보여주고 있다. 두 번째는 이중과 다중의 이미지로써 ‘환상의 실제화’를 보여주는 작품들을 들 수 있다. 달리만의 비평방법으로 변형된 작품들은 환각적 이미지를 통해 잠재의식의 숨겨진 일면을 드러내게 하였다. 마지막 세 번째는 자기애착이 강했던 달리의 사랑을 무참히 밟으려 했던 아버지에 대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작품으로 표출해낸 것이다. 이것은 불안의 요소들을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에 입각하여 자신을 치유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편집증적 비평방법 이라는 것이 새로운 시각의 방향성을 주고, 다양한 사고의 전환으로 스스로 치유해가는 과정과 더불어 예술적으로 승화시켰던 달리의 작품들을 재조명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ublimation of latent expressions in the unconscious as art, and the process of curing the obsession of paranoia through Salvador Dali’s representative paintings during the period of paranoiac critical metho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study divided Salvador Dali’s works during the period of paranoiac critical method into three types and analyzed them more closely. The first is the discovery of the element of tragic death in The Angelus series. The dualistic interpretation of ‘thanksgiving for the harvest’ and ‘memorial for the dead’ shows an analys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rpretation of The Angelus by Millet. Second, there are works that show ‘the actualization of fantasy’ with dual and multiple images. Works transformed with Salvador Dali’s own critical method revealed the hidden side of the subconscious through the psychedelic images. Lastly, the third is the expression of Dali’s Oedipus complex for his father, shown through Dali’s brutally stamping of his love with strong self-attachment in his works. Thus, this study revisited Salvador Dali’s paranoiac critical method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examining his artistically sublimated works and the process of self-healing through various mindset changes.

      • KCI등재

        콩쥐 팥쥐 민담의 상징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개성화 과정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윤해정(Yoon, Hae-Jeong),전순영(Chun, Soon-Young)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콩쥐 팥쥐 민담의 상징을 통한 개성화 과정에 미술치료사인 연구자 자신의 치유 미술작업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이에 민담의 긍정적 모성 상징 해석의 전개를 첫째, ‘콩쥐, 새로운 여성 인물상의 탄생’, 둘째, ‘잃어버렸던 아니무스를 찾아준 조력자’, 셋째, ‘긍정적 모성상을 통한 개성화 과정의 통과의례와 재탄생’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또한 콩쥐 팥쥐 이야기를 이미지화한 치유 미술작업에서 나온 그림을 자전적 분석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심리학은 콩쥐 팥쥐 민담에 나타난 회복된 긍정적 여성성 상징의 해석방법이 되었다. 그리고 치유 미술작업은 미술치료사의 자기실현과 개성화 과정을 위한 체험적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콩쥐 팥쥐 민담의 상징을 통한 미술치료사의 개성화 과정을 그림으로 그리면서, 연구자 자신의 자기실현 경험의 의미와 치유 미술작업의 가치를 탐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콩쥐 팥쥐 민담 안에서 나타난 ‘재탄생’이라는 상징을 통하여, ‘치유 미술작업으로 풀어가는 미술치료사의 개성화 과정’이라는 경험적 자전적 탐구에 관한 연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studied the healing art work of the researcher, an art therapist, from an analytic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through the symbol of Kongjwi patjwi folktales. 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positive motherhood symbol of folk tales was divided into first, the birth of Kongjwi, the new female figure, second, the helper who found the lost Animus, and third, the rite of passage and rebirth of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through positive motherhood. In addition, paintings from healing art work that imaged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were used as data for autobiographical analysis. Analytical psychology has become a method of interpreting the recovered positive femininity symbol in the Kongjwi patjwi folktale. And healing art work has empirical meaning for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of art therapist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own self-realization experience and the value of healing art work by drawing the individualization process of art therapists through the symbol of Kongjwi patjwi folktale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study on the empirical autobiographical exploration of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as an art therapist who solves through healing art work’ through the symbol of ‘rebirth’ in the Kongjwi patjwi folktale.

      • KCI등재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을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윤해정(Yun, Hae-Jung),김지은(Kim, Jee-Eu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5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로 사고 이후 본인은 물론 가족에까지 심각한 피해를 준 사고에 관한 연구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20년 전 음주운전 뺑소니 차 사고를 입은 50대 중반 여성 1인으로 2020년 6월부터 2020년 9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90분씩, 총 20회기 개인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회기 연구수행일지, 참여자의 회기 반영 글쓰기 자료, 축 어록과 미술 활동 작품 사진으로, 단일사례에 대한 이해와 의미형성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을 통한 단계별 심리 변화는 자기표현을 통한 정체성 인식, 자기 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형성, 자기 주도적인 소망의 변화로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작품에 나타난 심리 변화는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 관계의 변화, 자아 성장 욕구의 변화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음주운전 교통사고 피해 여성의 가중된 심리적 충격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자기표현을 경험함으로써 자아 성장의 새로운 변화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해 논의 하였다. As a single case involving art therapy for a woman who was in a traffic accident caused by a drunk driv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changes the woman experienced after the incident, which has also seriously affected her family since it occurred. For this study, 20 art therapy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for 90 minutes once or twice a week from June 20, 2020 to September 2 2020; the participant was in her mid-50s a car accident involving hit-and-run 2 drunk driver 20 years ago.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include activity records, the participant’s writing materials, verbatim records, and photographs of work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records, this study involved creating two categories based on understanding a single case and meaning formation. First, the following step-wise psychological changes of art treatment experiences occurred: Identity recognition through self-expression, formation of self-respect and self-efficacy, and change in self-directed wishes. Second, the following psychological changes occurred in art works: change of aggressive attitude, change in relations, and change of desire. As a result, the art therapy has reduced the psychological impact on a woman who was the victim of a drunk driving accident and allowed her to experienc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ositive self-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