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02년 이후, 브라질 Sao Paulo지역 바이오에탄올 가격변동 계량분석

        윤택동(Yoon, Taek-D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3

        브라질은 바이오에탄올 강국이다. 국내에 대규모 바이오에탄올 생산 및 소비시장을 가지고 있고 수출도 가능하다. 바이오에탄올의 생산과 판매는 독자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변수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결정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따라서 정부,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바이오에탄올에 대한 세부정보가 더 많이 있으면 있을수록 더욱 생산적이고 효율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연구는 바이오에탄올 분야 중에서 2003-2015년 사이 쌍빠울루 지역에서 거래된 바이오에탄올 가격을 분석한다. 가격데이터를 바탕으로, 경제이론이나 배경과 상관없이, 전적으로 시계열자료에 대한 데이터 분석만을 하고자 한다. 먼저 구간별로 나눠 추세를 추정하고, 각 구간의 추세를 비교하여 특정구간별로 추세변화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이어서 ARIMA 모델을 통해 시계열자료의 자기상관적 특성을 검토하여, 바이오에탄올 현재 가격과 전기(前期) 가격 사이의 관계를 확인한다. 그 다음으로 VECM 모형을 바탕으로 바이오에탄올과 설탕간의 상관관계, 즉 인과관계를 살펴본다. 이번 연구결과, 연구대상 기간 중, 2011년을 전후하여 가격추세가 양분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크게 강하지 않은 자기상관성과 일정기간 지속되는 자기상관성도 확인되었다. 그리고 전체 기간을 대상으로 한 인과관계는 양방향 영향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바이오에탄올에서 설탕가격 방향으로의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Brazil is one of the leading nations in the bioethanol sector. As well as having a large domestic market for bioethanol production and consumption, Brazil also can export lt. There are many complex processes and variables such as petroleum, sugar, greenhouse gases that affect the bio-etanhol production, consumption and price. So they can not be decided independently from those variables. Therefore, it is needed more detailed researches and information on bioethanol for government, enterprise and consumer to make more informed and effective decision.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price fluctuation of Bioethanol in Sao Paulo during the period of 2003-2015. Based on the bioethanol time-series data, this study does not consider theories or the background of bioethanol sector, but concentrates on the econometric analysis instead. Firstly,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trend on the entire period (2003-2015). It will do so by finding changes between the trends, dividing it into sub-periods and then estimating each trend of sub-periods. By comparing the estimated results of each perio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sub-periods can be found. These differences are sure to prompt question such as: How did these differences happen? And what cause them? Secondly the article analyzes data using the ARIMA model to find the autocorrelation in bioethanol price. This analysis will present the characteristic of the price fluctuation and show the relationship of price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Finally, the article will uses the VECM model to find out the causal relationship of prices between bioethanol and sugar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ich one affects the other more strongly? And what will be the direction of effect from one to the other.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article, it was found that the change of trend did occur, and it could be divided the entire period into 2 sub-periods around 2011. There is also autocorrelation, not being too strong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thanol and sugar during this entire period had a bidirectional effect in some lags. However ultimatel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from bioethanol to sugar is more common and much stronger.

      • KCI등재

        브라질거시경제 변화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양적 변화 사이의 연관성분석: 1984-2017

        윤택동 ( Yoon Taek D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3

        1960년대부터 한국경제는 수출을 통해 급속히 성장하였다. 초기에 소수 국가에 수출이 집중되었고,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1980년대부터 수출다변화를 추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또한 1980년대부터 크게 증가하였다. 2011년에 브라질은 한국의 10번째 수출국가에 올랐었다. 한국의 중요 수출파트너 중에 하나인 브라질에 대해, 지난 50여년간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서 어떤 일이 발생되었는지를 밝혀주는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1-2년 사이에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의 추세와 수출상품의 시대적 변화 그리고 대브라질수출의 한국경제와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논문 3편이 발표되었다. 이 논문들은 양적 분석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양적 변화가 어떤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특히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브라질거시경제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브라질경제의 변화에 따라 한국수출이 어떤 변화를 보여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이 갖는 특징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로서 최근 발표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 관련 논문에 대해 살펴본다. 제 3장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눈다. 먼저 3.1절에서 이번 연구의 대상기간 (1984-2017년) 이전까지 브라질 거시경제 상황을 검토하여 대상기간에 대한 분석의 토대를 마련한다. 이어서 3.2절에서는 1984-2017년 사이 브라질거시경제의 정책/상황 변화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관련한 다양한 시대구분과 함께, 브라질 거시경제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은 (+)의 관계, 즉 강한 동행성을 보여준다는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Since the 1960s,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rapidly through exports. Initially these exports were concentrated in a small number of countries, and to avoid this risk -the vulnerability of concentration-, Korea tri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s from the 1980s. In this process, Korea's exports to Brazil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11, Brazil was the 10th largest country of Korea's export. Regarding Brazil, one of Korea's significant export partners, there are few studies on what has happen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past 50 years. In the recent 1-2 years, three papers have been published examining the trend of Korea's exports to Brazil, the change of export products along tim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economy and Korean exports to Brazil. These papers focus on quantitative analysis. In this study, we will analyse why this quantitative change occurred.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s exports to Brazil and Brazil's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exports to Brazil more, checking how Korean exports to Brazil have changed as the Brazilian economy chang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2 examines 3 recently published paper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as a prior study. Chapter 3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it reviews the macroeconomic policy and situation in Brazil before 1984, laying the groundwork for analysis of the target period (1984-2017). In section 3.2, it analyzes the impact of Brazil's macroeconomic changes on Korea's exports to Brazil. Finally, in Chapter 4, we conclude that Brazil's macroeconomic and Korea's exports to Brazil show a (+) relationship, or strong co-movement, showing 3 types of time divisions related to Korea's exports to Brazil over the last 40 yea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대브라질수출과 경제성장(GDP) 및 총수출 사이의 인과관계분석

        윤택동 ( Yoon Taek D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4

        1960년대 이후 고도경제성장 그리고 그 결과 한국이 오늘날 선진국 대열에 들어갈 수 있게 한 일등공신이 수출이라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이 성장과정에서 초기에는 미국과 일본에 집중된 수출로 소수 국가에 의존적인 산업 및 경제구조가 형성되었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1980-90년대에 수출지역다변화가 시도되었다. 한국의 대브라질 수출증가는 1980년대에 들어 급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브라질경제가 호조를 보이던 2011년에는 한국총수출에서 제10위 수출국에 들기도 하였다. 이 시기가 브라질이 세계적 경제강대국 등장 가능성을 가장 강하게 보여주었고, 한국 내에서도 브라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던 시기이기도 하다. 따라서 브라질경제와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을 좀더 깊이 이해하고, 한국과 브라질의 교역관계를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연구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이 인과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의 분석결과는 수출에서 경제성장으로 일방적 인과관계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 연구결과들은 I) 수출에서 경제성장으로, ii) 경제성장에서 수출로, iii) 수출과 경제성장 양방향으로 그리고 iv) 수출과 경제성장서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無방향의 4가지의 인과관계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경험적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브라질수출이 한국의 전체경제활동 또는 한국의 총수출과 어떤 관계, 즉 양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대브라질수출 결정요인을 이해하는데 부분적이나마 기여하려는 것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이다. Many people say that the fast expansion of Korea’s exports since the second half of 1960s has been a major contributor to Korea's high economic growth. Korea's exports were initially and highly concentrated on a few countries, specifically o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it had influenced strongly to Korean industrial structure and economy. It means high dependency of Korean economy on a few countries and at the same time its high instability.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ere happened a regional diversification of export in the 1980s and 1990s. Korea’s exports to Brazil have also expanded rapidly and Brazil became one of the important region of Korea’s exports diversification since the 1980s. Consequently, it made Brazil emerge as one of the Korea’s top 10 export countries in 2011, when the Brazilian economy was booming. So, there is one of the reasons to research the Brazilian economy further deeply and to study what factors determine Korea’s exports to Brazil.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rt and economic growth, it suggests four directions of causality: I) exports affect economic growth, ii) economic growth affects exports, iii) exports and economic growth affect each other, that is, both ways, and iv) exports and economic growth do not affect each ot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isting researches, this article analyzes the causality between Korea's exports to Brazil and Korea's total exports/ economic growth.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partly to understand Korea's export determinants for Brazil.

      • KCI등재후보

        모잠비크 경제와 경제발전

        윤택동(YOON, Taek Dong),이성준(LEE, Sung-Jun)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15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37 No.-

        최근 한국에서는 아프리카의 모잠비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관심의 가장 중요한 이유는 모잠비크의 경제활동이 상당히 활발할 뿐만 아니라, 티타늄, 철광석, 석탄, 천연가스 같은 여러 광물자원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모잠비크에 대해 한국 내의 기초 및 세부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향후 한국과 모잠비크 양국 간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모잠비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깊이 있는 세부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토대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즉, 향후 연구를 해나가기 위해 그동안 어떤 형태의 연구, 조사가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이뤄졌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고, 더 나아가 이 리뷰를 통해 국내 모잠비크 전문가들과 지식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토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모잠비크에 대한 연구의 시발점으로 국내 기존연구의 리뷰를 하였다. 둘째로 국내연구 리뷰를 바탕으로 경제발전론적 관점에서 모잠비크 경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세계 최빈국 중의 하나인 모잠비크 경제가 어떤 상황에 있고,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논의해보고자 한다. Korea’s interest in Mozambiqu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recently. Seemingly, it is due to the fact that Mozambique has so far successfully developed its economy and has abundant natural resources such as titanium, iron ore, coal, and natural gas. However, there has been extremely few, if any, research on the economy of Mozambique in Korea so far. It is highly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Mozambique will be upgraded in the near future, and there is a growing need for research in Mozambique. Hence, this study is designed as a basic study on Mozambique supporting future research.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reviews virtually all prior studies accessible on the economy of Mozambique published so far in Korea, intending to provide an intellectual arena for future scholarly discussion. This goal of the study is two-fold: 1) to identify all accessible studies on the economy of Mozambique so far published in Korea and thoroughly review them and 2) further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it, especially through the lens of development economics, suggesting possibl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ies Mozambique may possibly benefit from.

      • KCI등재
      • KCI등재

        브라질의 제이칭뉴(jeitinho)와 한국의 연고주의 간 비교 연구: 비즈니스 관점을 중심으로

        이성준 ( Sung Jun Lee ),윤택동 ( Taek Dong Yoon ) 국제지역학회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기존 문헌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1) 브라질 문화의 핵심을 구성하는 ‘제이칭뉴(jeitinho)’의 역사적 배경 및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2) ‘제이칭뉴’와 ‘연고주의’ 간 유사점 및 차이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3)‘제이칭뉴’로 대표되는 브라질의 고유한 문화적 특성을 고려, 브라질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관점에서 성공적인 현지 비즈니스를 위해 이들 기업이 취해야 할 바람직한 인사·조직 관리전략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제이칭뉴’와 연고주의를 각각 살펴본 일련의 선행 연구는 이를 서로 다른 두 가지 시각, 즉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는 이들연구 결과를 정리, 비교함으로써 ‘제이칭뉴’와 연고주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가 특히 브라질에 진출한 한국 다국적 기업의현지 문화 통합 전략 수립과 관련하여 가지는 의미를 이론적 관점에서 함께 논의했다.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1) What is “jeitinho” in Brazil and its historical roots, 2) What a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eitinho” and nepotism in Korea, and 3) Considering the nation-wide prevalence of “jeitinho” in Brazil as a desirable way of thinking and acting, how can Korean firms in Brazil effectively manag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Brazil and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views previous research on “jeitinho” and nepotism and systematically compare them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fter that, the comparison results a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firms in Brazil, suggesting how the Brazilian and Korean culture can be successfully integrated to boost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브라질의 불평등, 제도 그리고 경제발전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윤택동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2003 국제지역연구 Vol.12 No.1

        최근 브라질에는 엄청난 사회적 불안이 야기되고 있으며, 특히, 치안문제가 가장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 문제의 원인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구조적 분배의 불평등을 주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러면 왜 분배의 불평등이 이렇게 심하게 되었는가? 이 논문은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하였으며, 불평등 문제를 제도적 접근을 통해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결론적으로 브라질에서는 식민지 초기개발과정에서부터 경제적 불평등이 형성되었고, 이 영향으로 사회적, 정치적 불평등까지 야기되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에 형성된 제도자체가 불평등을 내포하고 있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도는 최근까지도 크게 바뀌지 않고 유지되면서, 현재의 사회적 갈등이 폭발하게 된 원인을 제공하였다. 이는 국민의 인간적 삶의 질 악화로 연결되며, 결국 제도문제가 경제발전을 저해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5개 절로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 이어, 제도경제학의 기초개념을 논의하였으며, 제 3절에서는 브라질의 불평등상황을 통계수치를 가지고 보여주었다. 그리고 제4절에서 불평등의 원인을 제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se days, there are serious social conflicts and instability in Brazil. Particularly, it is presented by the problems of social peace, such as brigand, stealing, homicide, abduction and kidnapper. Many people indicate that the Brazilian structural inequality of income distribution is the principle cause of these problems. Why did they occur and worsened? This article was set up with this question and tried to analyse the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approaches. In Brazil, the economic inequality was formed from the sugar economy of early 16th century, that is, from the initial stage of colonial development by Portugal. In a plantation, one people owned most of instruments that are needed to produce sugar, lands, slaves, and capitals. It meant absolutely high economic concentration. The economic inequality influenced the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 of Brazil and maintained until 1930s, the turning point from the agricultural economy to industrial economy. But the industrialization of Brazil after the 1930s could not resolve the improve the problem of inequality. On the contrary, the industrialization deteriorated economic concentration, adopting inadequate industrial policy. Consequently, it indicates that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inequality were based on the formal institutions formed in Brazilian society, meaning that institutions themselves had serious problem. Because of these inadequate institutions, forceful interest groups formed in Brazilian society. Thus, formal institutions and interest groups could be the indicators of the principal cause of Brazilian inequality. This problem of inequality provides the cause of actual explosion of social conflicts, the deterioration of Brazilian life quality, between classes. Finally, it also indicates that institutional problems have impeded the economic development. This paper consists of 5 sections. After introduction, basic notions of institutional economics are discussed. The third section demonstrates the situation of Brazilian inequality with the economic data. The forth section analyzes the cause of Brazilian inequality through the institutional approaches. Finally, this paper presents con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