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지지, 우울,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 중심으로

        윤춘모(Yun, Chun mo),박재학(Park, Jae hak) 한국노인복지학회 2020 노인복지연구 Vol.75 No.1

        장애노인에게 있어 사회적 지지와 우울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자아존중감은 장애노인에게 있어 주요한 자기강화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하나의 구조적 관계에서 살필 때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을 위한 여러 대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2차 2017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Hayes의 macro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장애가 있는 65세 이상인 노인 7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노인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노인의 우울은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노인의 우울이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을 매개할 때 자아존중감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가 우울을 매개로 하여 삶의 영향을 미칠 때 우울을 완충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제안을 하였다. For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r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Understan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se factors allows for a variety of attempts at practice. In addition, self-esteem, a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has become a major self-reinforcing factor in many fields. Including this self-esteem,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12th 2017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1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with disabilities except no respons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a factor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Second,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mediate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t this time, the mediating effect was partially mediated. Third, self-esteem has a moderate mediating effect when depress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mediate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has the effect of buffering depression when social support influences life through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is, practical suggestions on social welfare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