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두피문신(SMP) 인식조사: 탈모인과 비탈모인 중심으로

        이진아(Jin-a Lee),이강현(Kang-hyun Lee),윤지후(Ji-hu Yun),김선정(Sun-jung Kim),김은수(Eun-Soo Kim) 사단법인 대한 문신사 중앙회 2022 한국반영구화장학회지 Vol.3 No.1

        This study is about people who trying to solve hair loss problem in the modern society where hair loss is rapidly increasing. Recently, Scalp Micropigmentation(SMP) has been used as an alternative to hair loss cover. This study was star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how adults perceive SMP.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the results were derived by surveying the questionnaire presented to 601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older residing in Korea. This research shows that adults did not have high awareness of SMP and cosmetic effects. However younger people and women perceived it more positively. Regarding the safety of SMP, 56.4% of adults recognized that it's usually safe and there are many adults who do not regard it as a medical practice. Also people think that SMP is safe in terms of health and hygie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dults who suffer from hair loss aware that SMP is a management that gives high satisfaction as a non-surgical method to improve hair loss. Furthermore, there are currently few studies on SMP and we intend to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follow up studies.

      • 인장이상재의 화학적 특징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 )에 대한 저항성과의 관계

        박승철 ( Seung Cheol Park ),신원재 ( Won Jae Sin ),윤지후 ( Ji Hu Yun ),정현경 ( Hyeong Yeong Jeong ),최기영 ( Gi Yeong Choi ),김종식 ( Jong Si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인장이상재(tension wood)는 경사지나 기울어서 생장한 활엽수의 줄기에서 발달하는 이상 목재로 산세가 험한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자라는 수목에서 흔히 발견된다. 인장이상재에서 나타나는 가장 두드러지는 해부학적 변화는 많은 수종에서 젤라틴층(gelatinous layer, G)이라는 특수한 층이 목섬유에 발달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장응력재는 곧게 자란 정상재(normal wood)와 비교하여 화학적, 해부학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다. 이 같은 인장응력재의 특징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와 그 내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를 대상으로 화학적 특징을 파악하고 백색부후균에 의한 부후내구성을 시험하였다. 졸참나무, 물푸레나무,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의 목섬유 세포벽은 각각 S<sub>1</sub>+S<sub>2</sub>+G, S<sub>1</sub>+G, S<sub>1</sub>+S<sub>2</sub>(혹은 S<sub>1</sub>+S<sub>2</sub>+S<sub>3</sub>)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분석결과 인장이상재는 정상재(변재, 심재)에 비해 리그닌(lignin) 및 자일란(xylan)의 함량이 낮았고, 반대로 글루칸(glucan)의 함량은 높게 측정되었다. 물푸레나무와 졸참나무의 유기용매 추출물량은 인장이상재가 정상재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의 추출물 함량은 정상재에 비해 매우 낮았다. 배양기간(16주 동안 4주 단위로 중량감소율 측정)에 상관없이 세 수종 모두에서 인장이상재의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 )에 대한 부후 저항성은 정상재에 비해 낮았다. 이 같은 결과는 인장이상재의 글루칸 함량이 높고, 반대로 리그닌 함량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과 인장이상재의 부후내구성과의 연관성은 졸참나무에서만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추출물의 함량이 높은 목재일수록 목재부후균에 대한 부후내구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물푸레나무 인장이상재는 정상재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은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을 나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재에 비해 낮은 부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목백합나무 인장이상재는 정상재에 비해 낮은 추출물 함량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추출물의 종류나 다른 화학성분과의 복합적인 원인이 정상재와 다른 이상재의 부후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