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히스카터 체형분류법의 디지털 변혁: 딥러닝 모델 활용

        윤지운,박재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the Heath-Carter theory and propose a transformed model of the Heath-Carter somatotype method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The deep learning model utilized data from 606 individuals (277 males, 329 females), and the somatotype factors estimated by applying the developed deep learning model were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ctual values and a small estimation error(R2=78%, RMSE=0.82, MAE=0.57, Test Loss=0.67). The deep learning model aimed to calculate somatotype values of endomorphy, mesomorphy, and ectomorphy using limited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exercise, weight, fat mass, and muscle mass. The research result follows: first, the traditional Heath-Carter somatotype declining usage. Second, the Heath-Carter somatotype method applied by the deep learning model is suggested as a replacement for traditional somatotype methods. third, The body charts estimated by deep learning exhibit similar patterns to the body charts calculated by the traditional Heath-Carter somatotype metho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deep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been made publicly available via GitHub (https://github.com/jwyoonknsu/somatotype). It is easily accessible for researchers, and it is anticipated to provide more sophisticated models through continuous updates.

      • KCI등재

        남자체조 도마 종목의 메달획득 예측을 위한 최적모형:의사결정 나무분석의 적용

        윤지운,박재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9 체육과학연구 Vol.3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ptimal model for winning medal on vault event of men's gymnastics. Specifically,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first, for the optimal conditions for qualifying top 8th player that have high possibility into final round, and second, for the optimal model for obtaining the medal of the vault ev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or five official competitions (Olympics, Asian games, and International championship, etc.) organized by the Federation of International Gymnastics (FIG) from 2013 to 2016. In this study, the data of 626 vault players were collected. Also all of these players performed 921 vault skills for qualifying round or final round. Five predictor variables for estimating for qualifying into the final round and for obtaining the medal of the vault event were selected; nationality, difficulty score, acting score, additional penalty score, final score. [Results] The results is as follows.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model for entering into the final round was the difficulty score of vault event. The optimal model for entering into the final round estimates 81.2% when condition would be the 5.6 or higher of difficulty score and 8.6 or higher of the acting score. The optimal model for winning medals was 86.7%, which means that when condition would be the 6.0 or higher of difficulty score and no additional penalty score. [Conclusions] This model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medal acquisition of vault event of gymnastics. [목적] 이 연구는 남자체조 도마 종목의 메달획득 예측을 위한 최적의 모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도마의 선수들이 단체전 도마경기와 종목별 개인 도마경기에서 상위 8위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탐색하고, 둘째, 결승라운드에 진출한 도마 선수들의 메달획득을 위한 조건을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2013년부터 2016까지 수행된 국제체조연맹 주관의 세계대회(올림픽, 아시안게임, 세계선수권대회 등)를 대상으로 하여 도마 종목에 출전한 626명의 선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들 선수들이 수행한 961개의 도마 기술을 구분하였다. 도마 종목에 출전한 선수들이 수행한 961개의 기술을 분류하여 선수의 국적, 해당기술의 난도점수, 실행점수, 추가감점, 최종점수 등을 기록하였다.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CHAID 방법을 적용하여 분류정확확률, 이익도표 등을 산출하였다. [결과] 전체적으로 체조 도마경기의 경기력을 설명하는데 있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술의 난도점수로 나타났다. 국제 체조경기 도마 종목에 출전한 선수들이 예선라운드에서 난도점수가 5.6 이상 그리고 실행점수가 8.6 이상 획득하였다면 81.2%로 결승진출 가능성 높은 선수로 예측할 수 있다. 또한 결승라운드에 진출한 도마 종목 선수들이 6.0 이상의 난도점수의 기술 수행으로 추가감점이 없다면 메달획득 가능성은 86.7%로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남자체조 도마 종목의 결승라운드 진출 및 메달획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우리나라 도마 종목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신체활동을 주제로 한 치매연구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의 활용

        윤지운,송홍선 한국운동생리학회 2019 운동과학 Vol.28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in dementia research based on physical activit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2025 keywords were extracted using Python, from 957 papers cited in PubMed over a 6-year span from 2013 to February 2018. Research trends were classified into introduction period (2013-2014), diffusion period (2015-2016), and settlement period (2017-2018) to confirm the temporal change. To identify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rate of change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Excel program and NetMiner 4.3 softwar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dementia research based on physical activity were exercise (145), cognition (108), and aging (88). Second, when we look at the words associated with the top 3 keywords classified by the central value of connection, ‘exercise’ is connected to ‘depression’, perception is ‘prevention’, and aging is ‘gait’. Third, in the diffusion period (2015-2016) based on the introduction period (2013-2014), keywords such as ‘stress’, ‘neurodegenerative disease’, ‘obesity’, and ‘memory’ were increased, and ‘walking’, and ‘odds ratio’ keywords were tend to decreased Moreover, the settlement period (20172018), ‘nursing home’ and ‘elderly’ keywords were increased and ‘huntington’ keyword was decrease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future dementia research based on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구글 검색어 통계를 활용한 국내 체조종목의 관심도 분석

        윤지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est in Korea gymnastics using Google search statistics. Using Google Trend as a tool for data collection, we investigated the usage of search terms for gymnastics from January 2004 to November 2019. Since the search index score provided by Google Trend is a relative score with a maximum score of 100, it is impossible to direct comparison between the scor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quating method by the regression analysis introduced by Zhu (2006) was applied and converted into comparable scores. Through the equating method, we set the reference value for volume of searching gymnastics in January 2004 as 100 points. And MS-Excel and SPSS program were used to perform weighted moving average graph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egree of interest in gymnastics events reached a maximum of 435 points in August 2012, which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2016 Rio Olympics. The average degree of interest in gymnastics is 78.4 points, which corresponds to about 15% of soccer and about 10% of baseball. Among the gymnasts, Son Yeon-jae was the most interested in the public, and Yang Hak-sun was the most contributing player to the variance of interest in gymnastics. 이 연구는 구글 검색어 통계를 활용한 국내 체조종목에 대한 관심도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구글트렌드를 자료수집의 도구로 하여 2004년부터 2019년 11월까지 체조에 대한 검색어 사용량을 조사하였다. 구글트렌드가 제공하는 검색지수는 최고 100점을 만점으로 한 상대점수이기 때문에 검색지수 간에 수치를 직접비교하는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Zhu(2006)가 소개한 회귀분석에 의한 척도동등화 방법을 적용하여 검색지수 간 비교가능 한 점수로 변환시켰다. 척도동등화를 통하여 2004년 1월 체조 검색어량 100점을 기준 값(reference value)으로 설정하였으며, MS-Excel과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활법에 따른 가중이동평균 그래프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조종목의 관심도는 2012년 8월에 435점으로 최고로 나타났고, 2016년 리우올림픽 이후 관심도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체조종목에 대한 대중의 평균 관심도는 78.4점으로서 축구종목의 약 15%, 야구종목의 약 10% 수준이다. 체조선수 중 대중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선수는 손연재 선수였으며, 체조종목의 관심도 변화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선수는 양학선 선수였다.

      • KCI등재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 및 평균대 종목 난도점수 계산국면의 오차

        윤지운,박재현,서연희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9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 of the difficulty score on calculation phase by the D judges in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of female gymnastics. The calculation of the difficulty score is divided into the evaluation phase in which the D judges are given grade from A to I to reflect the DV, CV and CR, and the calculation phase that calculates the score of the difficulty by synthesizing the rated skills.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the calculation phase of difficulty scor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used the results data of six D judges who gave the difficulty score to 220 female gymnastics participating in the 44th KBS competition. The six D judges are composed of international referees, level one domestic referees, and referee committee of Korea Gymnastics Association. In regard to the performance of the female gymnasts with the evaluation phase, we calculated the error frequency and error size after calculating the error of the calculation phase. TEM and %TEM were used for size of the error, and the difference in error type was confirmed by the χ2 test. The criterion was set to α = .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 judges in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of female gymnastics incorrectly calculate the difficulty score for one of the players in the counting phas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error in the calculation of the difficulty score between the floor exercise and balance beam. Second, there is differences in the error type that occur between the morning and afternoon in the D judges. Specifically, D judges make the calculation errors in the morning, but they make the selection errors in the afternoon. Third, the error size of the D judges calculate the error about 0.15 when the error of the difficulty score occurs. 이 연구의 목적은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의 난도점수 계산국면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분석하여 오차의 크기와 오차종류별 발생빈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난도점수의 산출은 기술난도가치, 기술연결가치, 필수구성가치를 반영하여 A등급부터 I등급까지 차등점수를 부여하는 평정국면과 평정된 기술을 합산하여 난도점수를 산출하는 계산국면으로 나눠진다. 이 연구는 계산국면의 오차에 주로 관심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제44회 KBS배 전국체조대회의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에 출전한 선수 220명에게 난도점수를 부여한 D심판단 6명의 심사결과를 자료원으로 활용하였다. D심판단 6명은 국제심판, 국내1급심판, 대한체조협회 심판위원 등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이다. 체조선수들의 연기에 대하여 D심판단이 대회에서 실제로 선수들에게 부여하였던 난도점수와 D심판단 6명의 심사결과를 재계산한 난도점수의 차이를 계산국면의 오차로 규정한 후 종목별 그리고 시간대별 오차발생 빈도, 비율 그리고 오차의 크기 등을 산출하였다. 오차의 크기는 TEM 및 %TEM을 적용하여 산출하였고, χ2 검증으로 발생빈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기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은 선수들을 연기를 판정할 때 계산국면에서 약 10명 중 1명에 대하여 결과를 잘못 계산한다.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에 따른 오차의 발생비율은 차이가 없다. 둘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은 오전과 오후에 따라 오차를 발생시키는 종류는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오전에는 계산오류를 많이 범하며, 오후에는 선택오류를 많이 범한다. 셋째, 여자기계체조 마루운동과 평균대 종목 D심판단이 발생시키는 오차의 크기는 난도점수 계산오류를 범할 때 약 0.15점을 오산출한다. 오전에 유발되는 오차에 비해서 오후에 유발되는 오차가 더 크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내 기계체조 활성화를 위한 과제 영역 도출

        윤지운,남승구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roblem of Artistic Gymnastics(AG) training and to elucidate the task areas for the activation of AG in Korea. To accomplish this goal,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all gymnastics coaches. From the questionnaires, 65 data sets were collected, and 63 of the data se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Krkwic software program was used for keyword cleaning and to calculate the co-occurrence frequency. In order to conduct a keyword network analysis, Netminer 4.0.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ask area for the grievance of coaches who are teaching gymnastic athletes was derived as coach area, training area, and result area. Second, the task area for fostering excellent athletes was derived as a player 's area and a training area. Third, the task area for expanding the base of artistic gymnastics was derived from the promotion area and the contest holding area. Fourth, the task area of the central sports organiz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G was derived as the coach area, the competition area, the facility area, and the official area.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계체조 지도자를 대상으로 기계체조 종목 육성에 대한 문제를 진단하고 기계체조 종목 활성화를 위한 과제 영역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체조협회에 등록된 지도자 전수를 연구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65 개의 데이터 중 63 개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Krkwic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키워드 정제 및 동시발생 빈도를 산출하였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Netminer 4.3.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계체조 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들의 고충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 영역은 지도자영역, 훈련 영역 및 성과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기계체조 우수선수 육성을 위한 과제영역은 선수영역과 훈련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기계체조 저변확대를 위한 과제영역은 홍보영역과 대회개최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기계체조 체조발전을 위한 중앙경기단체의 과제영역은 지도자영역, 대회영역, 시설영역 및 관계자영역으로 도출되었다. 추후 국내 기계체조 선수육성 및 활성화를 위하여 도출된 각 과제영역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Rasch모형을 적용한 유아용 지각-운동능력 검사도구의 타당화

        윤지운(YoonJiwun),최창환(ChoiChang-h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윤지운(2015)이 지각-운동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한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검사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4세부터 7세까지 유아 451명을 대상으로 목적표집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1명의 자료를 제외한 450명의 자료를 무작위로 두 개의 표본(준거집단, 비교집단)으로 분할하였다. 준거집단 표본은 검사의 특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비교집단 표본은 검사결과가 상이한 표본에서도 안정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적용하였다. 다국면 Rasch모형을 활용하여 연령별 문항적합도와 난이도 및 점이연상관계수를 확인(준거집단)하였고 차별기능문항(DIF) 분석(비교집단 포함)을 통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Facets 3.61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aMA검사의 특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각-운동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이론적으로 타당하다. 둘째, PaMA 검사는 표본이 달라지더라도 산출된 결과는 안정적으로 기능한다. 결론적으로 PaMA검사는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use of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est which was developed by Yoon(2015) to evaluate infants’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hus, this study is a follow-up research of Yoon(2015).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451 infants aged from 4 to 7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To verify the generalization of PaMA test, 451 inf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samples(reference group, comparison group). The samples from the reference group were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and those of comparison group were used to confirm that the test results are stable with different samples. The item fit, item difficultly, point-biserial correlation, and dif(differential item function) of different age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many-facets Rasch model. Facets 3.61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al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ere adjusted as α=.05.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aMA test is that the older the infants get, the more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develop, which is theoretically valid. Second, the results of PaMA test function stably even if the subjects change. As a result, PaMA test is regarded as a valid tool to evaluate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