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asch모형을 적용한 유아용 지각-운동능력 검사도구의 타당화

        윤지운(YoonJiwun),최창환(ChoiChang-hwa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윤지운(2015)이 지각-운동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한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검사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4세부터 7세까지 유아 451명을 대상으로 목적표집을 실시하였다. 검사도구의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1명의 자료를 제외한 450명의 자료를 무작위로 두 개의 표본(준거집단, 비교집단)으로 분할하였다. 준거집단 표본은 검사의 특성을 확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비교집단 표본은 검사결과가 상이한 표본에서도 안정적으로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적용하였다. 다국면 Rasch모형을 활용하여 연령별 문항적합도와 난이도 및 점이연상관계수를 확인(준거집단)하였고 차별기능문항(DIF) 분석(비교집단 포함)을 통해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Facets 3.61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aMA검사의 특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지각-운동능력이 발달하는 것으로 이론적으로 타당하다. 둘째, PaMA 검사는 표본이 달라지더라도 산출된 결과는 안정적으로 기능한다. 결론적으로 PaMA검사는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the generalization of the use of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est which was developed by Yoon(2015) to evaluate infants’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Thus, this study is a follow-up research of Yoon(2015).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451 infants aged from 4 to 7 were chosen as research subjects. To verify the generalization of PaMA test, 451 inf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samples(reference group, comparison group). The samples from the reference group were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st and those of comparison group were used to confirm that the test results are stable with different samples. The item fit, item difficultly, point-biserial correlation, and dif(differential item function) of different ages were identified by applying many-facets Rasch model. Facets 3.61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all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ere adjusted as α=.05.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PaMA test is that the older the infants get, the more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develop, which is theoretically valid. Second, the results of PaMA test function stably even if the subjects change. As a result, PaMA test is regarded as a valid tool to evaluate perceptual and motor ability of infants.

      • KCI우수등재

        네트워크-메타분석을 활용한 치매환자 대상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윤지운(YoonJiwun),윤효준(YunHyo-Jun)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2

        이 연구는 네트워크-메타분석을 활용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통합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Pubmed 등 국제학술지에서 보고된 신체활동 및 치매관련 연구주제를 키워드로 하여 검색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18편의 논문에서 치매관련 신체활동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적용한 6개의 독립변수를 추출하였고, 치매의 개선정도(예: 인지기능의 향상)를 측정하는 MMSE, TCD 등의 변화 값을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전체 192개의 중재변수들 간 일대일 관계를 대상으로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네트워크-메타분석에 적용하였다. 각 연구에서 변수 간 관계로부터 산출한 ES를 넷마이너 4.3을 이용하여 행렬로 변환시킨 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2-모드 네트워크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연결중앙성과 페이지랭크 값을 활용하여 독립변수의 효과순위를 산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신체활동 프로그램 효과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MMSE, CDT, TCD 검사를 활용할 때 독립변수의 효과를 민감하게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치매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독립변수의 효과는 80-85세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유산소 및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표준케어방법으로 1회1-2시간의 활동을 수행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크다. 셋째, 치매검사도구에 따라서 독립변수의 효과크기는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tegrated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on dementia using network - meta analysis. For this purpose, the keywords were searched relative to physical activity and dementia research reported in journal database such as Pubmed. Six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from the 18 papers selected for the study. Changed values in MMSE or TCD,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improvement (eg, improvement in cognitive function)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was transformed into a matrix using NetMiner 4.3 for network analysis. The 2-mod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and the ranking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calculated using pagerank algorith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can be confirmed sensitively when using the MMSE, CDT, and TCD tests for th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econd, the effe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mented elderly people was found to be 80-85 years old. The combined aerobic exercise program with 1-2 hours of one time. Third, the effect siz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varies according to the dementia test tools.

      • KCI우수등재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기본운동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네트워크 분석에 의한 연구통합

        윤지운(YoonJiwun),박재현(ParkJae-hye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기본운동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통합하여 종합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기본운동기술 향상을 위해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18편의 국내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으로 통합된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발달장애학생의 기본운동기술을 이동능력과 조작능력으로 구분하여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ES(effect size) 형태로 산출하였고, 각 연구에서 변수 간 관계로부터 산출한 ES를 대상으로 Netminer 4.0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형태로 분석하였다. 이때, 2-모드 네트워크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각 변수별로 연결중앙성, 매개중앙성 그리고 위세중앙성의 값을 산출하였고 변수 간 관계를 통합하여 시각화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발달장애학생의 기본운동기술에 관한 18편의 선행연구를 통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남학생의 기본운동기술 중에서 갤롭과 홉 기술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기본운동기술에 관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12주 이내’로 구성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셋째,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장애 유형에 따라 기본운동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gross motor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18 research results that is related with this research issu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gross motor skill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ntegrate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the basic unit for equating of different research situations, and 2-mode network analysis was applied by Netminer 4.0 for integrating of 18 research results. The degree, between and eigenvector centralit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ng indicators on network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 of 'within 12 week' applied to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ogram was most effective. Secon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studen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different effect to the development of gross motor sk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