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간호학생의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윤지아(Yun, Jiah),강인순(Kang, In-Soon),손민서(Son, Min-Seo)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간호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 대학교 4학년 간호학생 중 1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질적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Elo and Kyngas(2008)에 기반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 고충실도 환자 모형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공통적으로 경험한 주제는 ‘집중하기 어려움’, ‘실습 환경에 몰입’, ‘부정적인 심리변화’, ‘긍정적인 심리변화’, ‘간호역량의 향상’ 이었다. 고충실도 환자 모형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임상수행능력의 향상’, ‘실습환경의 생동감이 떨어짐’ 이었으며,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에서만 경험했던 주제로는 ‘의사소통의 생생함’, ‘제한된 직접 간호 술기’, ‘SP 역할 숙련도’ 이었다. 간호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예비 간호사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과정으로 인식했지만, 몰입감, 부담감과 한계 및 몇 가지 제약의 어려움을 겪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 효율적인 커리큘럼 운영을 위한 논의, 학습 효과 극대화를 위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nursing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19 4th-year nursing students of D University were conducted. After the interviews,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proposed by Elo and Kyngas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pics commonly experienced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and standardized patients were: ‘Difficulty to concentrate’, ‘Immersion in the practice environment’, ‘Negative psychological chang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Improvement of nursing capacity’.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were: ‘Improvement of clinical performance capability’ and ‘Insufficiency of reality in the practice environment’. The topics experienced only in simulation practic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ere: ‘The vividn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of limited direct nursing skills’, and ‘SP s role proficiency’. Nursing students perceived the simulation practice as a process to cultivate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nurses, but experienced difficulties in immersion, burdens and limitations, and several restrictions. For efficient simulation practice train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cenarios, discuss efficient curriculum operation, and create an environment to maximize learning effects.

      • ‘스케치코미디’의 숏폼콘텐츠 특성 연구

        윤지아(Ji-A Yun)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3 스토리콘텐츠 Vol.- No.3

        본 연구는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개념과 특성을 분석하고 유튜브 채널 ‘숏박스’, ‘너덜트’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재개념화와 특성, 공감 유도방식을 알아본다.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미국 스케치코미디는 TV, 영화, 희극, 라이브 공연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나타났다. 주제는 정치 풍자, 정체성, 이념, 패러디 등이 주를 이뤘다. 미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간결성’, ‘단속성’, ‘완결성’, ‘다양성’, ‘재귀성’, ‘가단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 호모모빌리쿠스, 호모텔레포니쿠스로 정의되는 현대인들의 콘텐츠 소비변화는 모빌리티 문화와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 스케치코미디를 맹아로 한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향유방식과 구성방식에 변화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 스케치코미디는 ‘SNS에서만 소비되는 숏폼 콘텐츠 형식의 코미디’로 재개념화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스케치코미디의 특성은 ‘자율성’, ‘단축성’, ‘가시성’, ‘휘발성’, ‘한정성’, ‘일상성’이 있다. 간결성과 단속성은 미국 스케치코미디와 공통점으로 볼 수 있으며, SNS 매체로 한정하는 것은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한국 스케미코미디의 특징인 공감 유도방식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었다. 채널 ‘너덜트’는 일상의 시현을 통해 캐릭터 설정보다는 상황 설정과 묘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채널 ‘숏박스’는 캐릭터의 언어적⸳비언어적 내용과 상황 묘사를 통해 일상의 사소함을 표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merican sketch comedy and examines the re-conceptualization, characteristics, and empathy of Korean sketch comedy through YouTube channels “Shortbox” and “Nerdult.” The American sketch comedy, which began in the late 1950s, appeared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movies, comedies, and live performances. The themes were mainly political satire, identity, ideology, and paro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merican sketch comedy can be summarized into 'simplicity', 'restrictiveness', 'completeness', 'diversity', 'recursivity', and 'tendency'. The change in content consumption of modern people, defined as Homo Mobilicus and Homo Telephonicus, is changing along with the mobility culture. Therefore, there was a change in the method of enjoyment and composition of Korean sketch comedy with American sketch comedy as a blind child. Through this, Korean sketch comedy can be reconceptualized as a “comedy in the form of short form content consumed only on SN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ketch comedy include 'autonomy', 'shortening', 'visibility', 'volatile', 'limited', and 'daily'. Simplicity and crackdownability can be seen in common with US sketch comedy, and limiting them to SNS media is the biggest difference. The method of inducing empath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Korean schema comedy, could be divided into two. The channel “Nerdult” focuses more on setting and describing situations than setting characters through daily expressions. The channel “Shortbox” uses a method of expressing the triviality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verbal and non-verbal content of the character and the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 KCI등재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의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윤지아(Ji-Ah Yun),손민서(Min-Seo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디브리핑은 중요하나,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효과가 상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디브리핑 방법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효과적인 디브리핑을 위한 방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가 제시한 5가지 단계를 이용하여 1995년 1월부터 2021년 7월 31일까지 한글 및 영어로 발표된 국내·외 문헌 중 2,608편 중 2,580편을 제외한 총 28편을 선정하였다. 이 후, 연구자 2인이 RoB(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2를 이용하여 질평가를 수행하여 최종 28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디브리핑 방법으로는 매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39.3%),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 (35.7%), 비대면 디브리핑 방법(14.3%), 디브리핑 시점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3.6%), 디브리퍼의 숙련도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7.1%)이 있었다. 디브리핑 방법을 분석한 결과 매체를 활용한 디브리핑 방법, 비대면 디브리핑 방법, 디브리핑 시점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 및 디브리퍼의 숙련도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은 각 연구마다 결과가 상이하였으나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의 경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Debriefing is important in practice education simulation, but the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briefing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effective debriefing methods were identified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debriefing methods used in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Literature was selected for review using the five-step process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From January 1995 to July 31, 2021, out of 2,608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a total of 28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fter excluding 2,580 articles. Qua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two researchers using RoB(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2. Methods of debriefing included a debriefing method using media (39.3%), a structured debriefing method (35.7%), a non-face-to-face debriefing method (14.3%), and a debrief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debriefing time (3.6%). There was also a debriefing method using the difference in the proficiency of the debriefers (7.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briefing method, a debriefing method using media, a non-face-to-face debriefing method, a debrief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debriefing time, a debriefing method (7.1%) using the difference in the proficiency of the debriefers were different for each study. The structured debriefing was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