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션 간호실습교육의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윤지아(Ji-Ah Yun),손민서(Min-Seo S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디브리핑은 중요하나, 디브리핑 방법에 따른 효과가 상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에서 디브리핑 방법의 차이에 따른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효과적인 디브리핑을 위한 방법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가 제시한 5가지 단계를 이용하여 1995년 1월부터 2021년 7월 31일까지 한글 및 영어로 발표된 국내·외 문헌 중 2,608편 중 2,580편을 제외한 총 28편을 선정하였다. 이 후, 연구자 2인이 RoB(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2를 이용하여 질평가를 수행하여 최종 28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디브리핑 방법으로는 매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39.3%),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 (35.7%), 비대면 디브리핑 방법(14.3%), 디브리핑 시점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3.6%), 디브리퍼의 숙련도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7.1%)이 있었다. 디브리핑 방법을 분석한 결과 매체를 활용한 디브리핑 방법, 비대면 디브리핑 방법, 디브리핑 시점의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 및 디브리퍼의 숙련도 차이를 이용한 디브리핑 방법은 각 연구마다 결과가 상이하였으나 구조화된 디브리핑 방법의 경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Debriefing is important in practice education simulation, but the effec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briefing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effective debriefing methods were identified by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debriefing methods used in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Literature was selected for review using the five-step process suggested by Whittemore and Knafl. From January 1995 to July 31, 2021, out of 2,608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a total of 28 articles were finally selected after excluding 2,580 articles. Quality evaluation was performed by two researchers using RoB(Revised Cochrane risk-of-bias tool for randomized trials)2. Methods of debriefing included a debriefing method using media (39.3%), a structured debriefing method (35.7%), a non-face-to-face debriefing method (14.3%), and a debrief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debriefing time (3.6%). There was also a debriefing method using the difference in the proficiency of the debriefers (7.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briefing method, a debriefing method using media, a non-face-to-face debriefing method, a debriefing method using a difference in debriefing time, a debriefing method (7.1%) using the difference in the proficiency of the debriefers were different for each study. The structured debriefing was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