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차광조절이 우산고로쇠 용기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윤준혁 ( Jun Hyuck Yoon ),송기선 ( Ki Seon Song ),전권석 ( Kwon Seok Jeon ),김창환 ( Chang Hwan Kim ),신현철 ( Hyeon Cheol Shin ),박용배 ( Yong Bae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최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 우산고로쇠의 유묘 생육 시 차광수준에 따른 우산고로 쇠 용기묘의 생장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우산고로쇠 용기묘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하였다. 실험은 묘포장 내 차광수준(전광 및 25%, 55%, 75%, 95% 차광)을 달리하여 설치된 차광시설에서 실시되었다. 수고와 근원직경은 전광에서 각각 233.7cm와 21.85mm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근원직경의 경우에는 차광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잎, 줄기, 뿌리 및 전체의 건중량은 모두 전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것은 수고와 근원직경 생장이 전광에서 높게 나타난 결과와 부합된다. T/R율은 전체적으로 1.3∼2.3의 범위로 조사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좋은 생장을 보인 전광에서는 2.1로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인 QI(Quality index)는 전광에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차광률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우산고로쇠를 보다 건전한 용기묘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전광에서 생육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Acer okamotoanum container seedling by shading level.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hading treatment (full sunlight, 25%, 55%, 75% and 95% shading) in nursery.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were surveyed to be the highest 233.7cm and 21.85mm separately in full sunlight. Root collar diameter was getting lower in the higher shading level. Leaves, shoot, root and total dry weight were surveyed to be the highest in full sunlight and the same as surveyed value of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T/R ratio was surveyed with 2.1 in full sunlight (overall 1.3∼ 2.3). Quality Index (QI) was the highest in full sunlight and the higher shading level, the lower QI.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whole experiment, Acer okamotoanum grows well in full sunlight.

      • KCI등재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윤준혁 ( Jun-hyuck Yoon ),배은지 ( Eun-ji Bae ),손영모 ( Yeong-mo Son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활용하여 임상별 및 주요 수종별 재적생장량을 추정하고, 연평균생장량(MAI)과 연년생장량(CAI) 등을 도출하여 벌기령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적생장 추정을 위하여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임상별 재적추정식에서는 침엽수림이 가장 높은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종별 추정식은 침엽수종(3종) 중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그리고 활엽수종(3종)에서는 굴참나무가 가장 높은 생장이 예측되었다. 그리고 이들 추정식은 적합도지수가 일본잎갈나무 0.32, 굴참나무가 0.21 등으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재적 추정식의 적용 가능성을 알 수 있는 잔차도 분석에 있어서는, 일부 30년 이상의 임령에서 추정식의 추정치가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 0을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식이 우리나라 현실림의 수종들에 대한 재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재적을 이용하여 연평균생장량을 계산한 결과, 침엽수림 중 중부지방 소나무 34년, 일본잎갈나무 35년, 리기다소나무 31년일 때 MAI가 최대시기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엽수림에 있어서는 굴참나무 32년, 상수리나무 30년, 신갈나무 29년일 때가 최대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I와 CAI를 계산하여, 이들이 만나는 지점을 재적수확 최대 벌기령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산림청이 제시한 기준 벌기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책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volume growth by forest type and major species using the national forest resource inventory and to predict the final age of maturity by deriving the mean annual increment (MAI) and the current annual increment (CAI). We estimated the volume growth using the Chapman-Richards model. In the volume estimation equations by forest type, coniferous forests exhibited the highest growth. According to the estimation formula for each major species, Larix kaempferi will grow the highest among coniferous tree species and Quercus mongolica among broad-leaved tree species. And these estimation formulas showed that the fitness index was generally low, such as 0.32 for L. kaempferi and 0.21 for Quercus variabilis. In the analysis of residual amount, which indic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volume estimation formula, the estimates of the estimation formula tended to be underestimated in about 30 years or more, but most of the residuals were evenly distributed around zero. Therefore, these estimation formulas have no difficulty estimating the volume of actual forest species in Korea. The maximum age attained by calculating MAI was 34 years for P. densiflora, 35 years for L. kaempferi, and 31 years for P. rigida among coniferous tree species. In broad-leaved tree species, we discovered that the maximum age was 32 years for Q. variabilis, 30 years for Q. acutissima, and 29 years for Q. mongolica. We calculated MAI and CAI to detect the point at which these two curves intersected. This point was defined by the maximum volume harvesting age. These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standard cutting age in public and private forests recommend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supporting the reliability of forestry policy data.

      • KCI등재
      • KCI등재

        2분과 : 임간재배 시 병풍쌈 유묘의 차광처리별 생장 및 생리 반응

        윤준혁 ( Jun Hyuck Yoon ),전권석 ( Kwon Seok Jeon ),손기선 ( Ki Seon Song ),박용배 ( Yong Bae Park ),문용선 ( Yong Sun Moon ),이도형 ( Do Hyung Lee ) 한국임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1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병풍쌈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1년생 병풍쌈에 대해 차광망을 이용하여4가지 광조건 25%, 55%, 75%와 95% 차광처리(전광의 50%, 30%, 20%, 10% 상대광도)와 대조구(전광)에서 생육 후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분석하였다. 75% 차광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초장, 뿌리생육과 함수율을 보였으나, 잎의 길이, 폭과 면적이 증가하여 엽 건중량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원경과 뿌리길이는 감소하였으며 총 건중량도 감소하였으나, 초장이 약 40% 증가 하였으며 엽 생육과 함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엽면적비(specific leaf area; SLA)와 엽면적률(leaf area ratio; LAR)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잎의 두께가 얇고 수광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병풍쌈은 낮은 광조건에서도 원활한 탄소동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풍쌈의 임간재배를 통한 적정 광요구는차광처리 75~95%(상대광도 10~20%)로 조사되었으며, 산채류로써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임간지역에서 75% 이상 차광재배 함으로써 식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결과는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calia firma is a perennial plant in Asteraceae, Parasenecio that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dietary style changes for well-being life, consumer`s demand of functional food and organic vegetables is getting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light conditions of P. firmus in forest farming. One year old seedlings were grown under four different light conditions 10%, 20%, 30%, and 50% of sunlight by shading (equals50%, 30%, 20%, and 10% relative brightness respectively) and non-treated control under full sunlight. They were analyzed for early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Seedlings grown under 75% shading showed similar height, root growth, and leaf water content to control. However, their leaf length, width, and total leaf area were increased, which caused increased leaf dry weight and total dry weight. Especially, seedlings under 95% shading showed 40% increase in height and more leaf growth and leaf water content, although they had shorter main root length and root collar diameter than control. In addition specific leaf area (SLA) and leaf area ratio (LAR) were higher than control and indicated that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ontrol. Higher SLA refers thinner leaf thickness, higher LAR means larger leaf area. The results indicate seedlings under 95% shading have higher water content, thinner leaf, and wider lightinterceptionareas. It is plausible that P. firmus is active in chlorophyll activities and carbon dioxide assimilation at even lower light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light level of P. firmus for artificial cultivation in forest farming ranges from 75~95% shading (20%-10% of relative brightness). When salability as ‘sanchae’ (wild edible greens)is considered, P. firmus could be cultivated under 75% shading in forest farming and expected to have better taste andhigher yield. We suggest these results as basic data of P. firmus for possible forest farming.

      • KCI우수등재

        부직포 멀칭 방식에 따른 종가시나무 묘목의 생장과 제초에 미치는 영향

        성창현,윤준혁,진언주,배은지,Sung, Chang-Hyun,Yoon, Jun-Hyuck,Jin, Eon-Ju,Bae, Eun-Ji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5

        최근 이상기후 등 기후변화에 적응하고 관상가치가 높은 상록활엽수의 활용을 높이기 위한 재배 및 관리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1-2묘를 공시수종으로 하여 10개월간 경남 진주시 금산면에 위치한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월아 시험림에서 1m×22.5m 크기의 묘상을 만들어 부직포 멀칭 소재 60g/㎡, 80g/㎡ 두 종류와 멀칭 방식 겹치기, 구멍뚫기 두 방식 그리고 멀칭을 하지 않은 대조구 총 5개 처리구로 각각 92본씩 시험지를 조성하였다. 부직포 멀칭 소재 60g/㎡ 겹치기 방식은 대조구와 비교 시 묘고는 약 1.9배 근원경은 약 1.1배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처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건전한 묘목은 H/D ratio 7.0 이하, T/R ratio 3.0 이하, 부위별 물질 생산량 값이 높은 조건으로 분석 결과, 이를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 처리에 따른 묘목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LWR, SWR, RWR 값을 대조구와 비교해 보면, 잎과 줄기를 포함하는 지상부의 생장은 증진되었지만, 뿌리를 포함하는 지하부의 생장은 대조구 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묘목의 종합적인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SQI 값은 대조구와 멀칭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멀칭 처리에 따른 생육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엽록소 함량 분석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조구의 잡초 발생이 환경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엽록소 함량의 저하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직포 멀칭 소재 80g/㎡ 겹치기 방식은 잡초 발생량이 대조구 대비 약 4배 더 적게 발생하며, 식재지 조성인력과 제초작업에 소요되는 총 작업인력은 3.3인/100㎡/1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멀칭처리는 묘목의 생장과 품질 그리고 제초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생육증진 효과가 있으며, 대규모 식재지를 포함한 일반수목 생산지에서의 제초작업에 투입되는 인력수급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된다. Recently, cultivation and management technologies have been needed to adapt due to climate change, which is causing abnormal weather conditions. One techniqu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with high ornamental value. A total of five treatments were installed (1m×22.5m), including 60g/㎡ and 80g/㎡ using two types mulching material with an overlapping and hole-drilling mulching method and these were compared to un-mulching treatment a total of planted 92㎡ attheWol-aTestSiteForestattheForestforBiomaterialsResearchCenterinJinju-si, Gyeongsangnam-dofor 10monthsusing3-years-oldQuercusglaucaThunb.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site, the 60g/㎡ overlapping method was about 1.9 times higher than the root collar diamet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reatments. Healthy seedlings were found to meet these conditions due to high biomass values and below and T/R ratios of 3.0 or lower and H/D ratios of 7.0 or lower. Comparing the values of LWR, SWR, and RWR, which can be evaluated for seedling due to the mulching treatmen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growth of the ground areas including leaves and stems was enhanced, but the growth of the underground areas containing roots tended to have high control values. Based on this, the SQI value, which can be evaluated for the comprehensive quality of seedling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site and the mulching treatment sites, confirming that the growth and growth improvement effects were achieved with mulching treatments. The chlorophyll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site, and it was judged that weed generation in the control acted as an environmental stress, causing a decrease in chlorophyll content. It was found that the overlapping 80g/㎡ of polypropylene mulching material generated about 4 times fewer weeds than the control, and the manpower required for the mulching test field and weeding were equal at 3.3 people/100㎡/1 day. Mulching treatments have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motion of growth and quality of the seedlings and are judged as an alternative that can reduce the economic burden incurred by the purchase of the supplies and the manpower required to weed forestry plantations.

      • KCI등재

        들잔디 재배지에서 규산질비료 살포 효과

        배은지,김충열,윤준혁,이광수,박용배,Bae, Eun-Ji,Kim, Chung-Yeol,Yoon, Jun Hyuck,Lee, Kwang-Soo,Park, Yong-Bae 한국잡초학회 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3

        들잔디의 품질과 줄기 밀도 향상을 위한 적정 규산질비료 시비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들잔디 재배지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상부와 지상 포복경의 생체중과 건물중, 지상부 줄기 개수, 지상 포복경 길이 등은 규산질비료 100, 200과 $400kg\;10a^{-1}$로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규산질비료 시비량 200과 $400kg\;10a^{-1}$ 처리구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규산질비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토양 내 pH, EC, 토양 내 유효규산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들잔디 생육 증가 및 토양의 화학성을 고려한 적정 규산질비료 살포량은 $200kg\;10a^{-1}$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silicate fertiliz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density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the growth of zoysiagrass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field experiments treated with different levels of silicate fertilizer during 3 years from 2012 to 2014. An increase in the silicate fertilizer from 100, 200, to $400kg\;10a^{-1}$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s and stolons, the number of shoots and length of stolon,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200 and $400kg\;10a^{-1}$. Moreover, soil pH, EC and the contents of available $SiO_2$ were increased as the rate of silicate fertilizer application increased.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ilicate fertilizer rate for maximum growth of zoysiagrass was $200kg\;10a^{-1}$ in consideration of improving growth of zoysiagrass and the chemical property of the soil.

      • KCI등재

        한국 남부지역 가로수종 잎 미세구조와 미세먼지 흡착량의 계절 변화: 가시나무, 종가시나무, 참가시나무, 동백나무, 왕벚나무 중심으로

        진언주 ( Eon-ju Jin ),윤준혁 ( Jun-hyuck Yoon ),최명석 ( Myung Suk Choi ),성창현 ( Chang-hyun Su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2

        본 연구는 한국 남부지역의 주요 조경수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참가시나무(Quercus salicina),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왕벚나무(Prunus x yedoensis) 등 5수종을 대상으로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 및 수종별 잎 표면 미세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 범위는 1월(31.51~110.44 ㎍/㎠), 11월(23.20~79.30 ㎍/㎠), 5월(22.68~76.90 ㎍/㎠), 8월(9.88~49.91 ㎍/㎠) 순으로, 8월보다 1월에 54.4% 더 높은 미세먼지 흡착량을 보였다. 잎 표면에 홈이 있고 털을 갖고 있으며, 왁스층 함량이 높은 Q. salicina는 미세먼지 입자 크기별 흡착량이 높게 유지되었으며, 광택이 있고 잎 표면이 매끄러우며, 왁스층 함량이 낮은 C. japonica와 Prunus x yedoensis는 계절별 미세먼지 흡착량이 낮았다. 엽면적 크기, 기공밀도 및 기공 길이의 증가는 PM 흡착량의 감소와 관련이 있고 반면, 잎 표피 거칠기, 왁스층 함량, 기공 폭의 증가는 PM 흡착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잎 표면 왁스층 함량이 증가할수록 잎 표면 PM 흡착량도 증가하였으며, PM<sub>10</sub>, PM<sub>2.5</sub> 보다는 PM<sub>0.2</sub>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앞으로 개별 수종에 대한 미세먼지 저감 효율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통한 저감 수종 선발과 더불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숲조성 가이드라인 또한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asonal changes in the absorption of fine dusts and the fine structure of surface on each type of street tree, such as Quercus myrsinifolia, Quercus glauca, Quercus salicina, Camellia japonica, and Prunus x yedoensis in the southernareas of Korea. The absorption ranges of fine dust were 31.51~110.44 ㎍/㎠ in January, 23.20~79.30 ㎍/㎠ in November, 22.68~76.90 ㎍/㎠ in May, and 9.88~49.91 ㎍/㎠ in August. The absorption value was about 54.4% higher in January than in May. With the grooves and hairs on the leaf surface and lots of wax, Q. salicina seems related to the high absorption rate of fine dust for each fine dust particle size. The one with gloss and smooth leaf surface has a low amount of wax. C. japonica Prunus x yedoensisshowed a low absorption rate of fine dust in each season. Whereas the increase in porosity density, length, and leaf area size can be related to the reduced PM and increasedabsorption rate, the leaf surface roughness, total wax amount, and porosity width can be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PM absorption rate. There was also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wax amount and absorption rate of the leaf surface at the size of PM<sub>0.2</sub> than PM<sub>10</sub> and PM<sub>2.5</sub>.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rais of leaf, such as wax amounts and leaf surface,can increase the absorption of fine dusts, and the small-sized particles seem to be highly adsorbed with the high wax amounts.

      • 광량에 따른 상록활엽수 3수종의 내음성 평가

        최수민 ( Su Min Choi ),신현철 ( Hyeon Cheol Shin ),윤준혁 ( Jun Hyuck Yoon ),박용배 ( Yong Bae Par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수목의 종류에 따라 광요구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를 실내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적정광량을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재배 관상수종으로 가능성이 있는 3수종을 대상으로 광량에 따른 형태적·생리적 반응을 조사하여 내음성을 평가하였다. 죽절초와 자금우의 엽면적 변화는 차광률 50%까지 엽면적이 증가하였다. 백량금은 차광률 95%에서 엽면적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광량의 감소에 따른 3수종의 엽색은 L*a*b 값이 낮아지며 진한 녹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3수종 모두 광량의 투과정도에 따라 엽색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광합성 능력은 죽절초, 자금우는 차광률 50%, 백량금은 95%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H/D율과 T/R율은 전광 처리구에 비해 차광 처리구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 죽절초, 백량금, 자금우3수종은 95%차광의 저광도에서도 적극적인 적응반응을 보이며 내음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록활엽수 3종의 건전한 관상수로 생육을 위해서는 차광률 50%까지의 광량이 적정할 것이라 판단된다. Every different type of tree would need different light intensity, and in the light of that, we need to look deep into optimal light intensity in order to ornamental value of plants growing indoors.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ridisia japonica (Thunb.) Blume and Ardisia crenata Sims,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potentials to grow as indoor-cultivated ornamental trees, were assessed on the shade tolerance with shading treatment by using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s. The total leaf area(cm2) of S. glabra and A. japonica were observed to increasing by 50%. shading. A. crenata showed highest at 95% shading. A decrease in light intensity would lower the L*a*b value and turn a leaf color into dark green. The leaf color of all the three trees was determined to have a sensitive reaction to light intensity.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S. glabra, A. japonica and A. crenata respectively was greatest at 50% shading or 95% shading. H/D ratio and T/R ratio turned out to be higher with shading treatment than they are with full shading. As a result, S. glabrai, A. crenata and A. japonica, would take an active reaction even to low light intensity of 95% shading as they are confirmed for shade tolerance. However, 50% shading was suitable for planting vigorous ornamental tree of the broad-leaved evergreen three species.

      • KCI등재

        한국잔디 유전자원의 내마모성 지표로서 MDA함량과 형태적 특성과의 상관분석

        배은지(Eun-Ji Bae),조현민(Hyun-Min Cho),윤준혁(Jun-Hyuck Yoon),진언주(Eon-ju Jin),이긍주(Geung-Joo Lee) 한국잡초학회 2021 Weed & Turfgrass Science Vol.10 No.4

        본 연구는 한국잔디 수집 유전자원의 답압 처리에 따른 지상부 마모 스트레스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그 중 스트레스 환경에서 지질막 구성물질의 높은 산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MDA (malondialdehyde) 함량과 잔디 지상부 형태적 특징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높은 지표들을 조사하였다. 전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Zoysia spp.) 242개체 중 높은 피복률을 보이는 적응력이 우수한 144개체를 선발하여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해당 유전자원들을 답압 처리 후 마모스트레스를 주어 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식물체가 환경적 스트레스에 노출 시 유발되는 생리적 산화 반응물인 MDA의 축적 정도가 유전자원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한 MDA 함량의 통계적 차이로 서로 독립된 세 개 집단(L, M, 그리고 H)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상관성 분석 결과, 마모 스트레스 후에도 생체 내 산화 반응 정도가 낮아 스트레스로 인한 피해 수준이 적을 것으로 보이는 낮은 MDA 함량 그룹(L)에서 포복경 마디지름이 두껍고, 엽폭이 넓고, 엽장이 길고, 초장과 최하위 잎 높이가 높으며, 잎각도가 좁게 발달하는 형태적 특징을 갖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잎각도를 제외한 나머지 5개 형태적 특성은 MDA 함량 수준과 매우 밀접한(P<0.001)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실제 내마모성 기작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줄기밀도, 신초의 탄력성, 리그린 및 리그노셀룰로오스 함량, 잎의 K 함량 등도 추가적으로 조사되어 종합적으로 분석된다면 MDA 함량 측정으로 내마모성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을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indicator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degree of wear stress on aerial shoots after traffic stress on zoysiagrass collections in South Korea to be used in the school playground. The contents of malondialdehyde (MDA) which may indicate the oxidation degree of cell membrane under stress was correlated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ysiagrass shoots. A wear simulation roll made of aluminum cylinder at 40 kg weight and 1.1 m width with circular studded projections was used to apply artificial traffic stress of pressure and wear for 144 zoysiagrass accessions that had 70% or more of ground coverage. The equipment was driven by the motor at a steady speed rate to reciprocate in the designated potted turfgrass trays in the greenhouse.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lant height, leaf length, lowest leaf height, leaf width, leaf angle, stolon length, internode length and diameter of stolon, and stolon node number were investigated. It appear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zoysiagrass accessions in the MDA content, with grouping into 3 categorie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low MDA content group (L) where shoot damage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weak due to the low degree of stressful oxidation in vivo even after the traffic stress showed thicker node diameter, wider leaf width, longer leaf length, higher plant height and lowest leaf, and narrower leaf angle. Although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morphological measurements, it was thought that the MDA content alone had a limit to be used as a wear tolerance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